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98743

"고기랑 섞어줬잖아" 묻지도 않고 2000원 추가…광장시장 '바가지' 질린다

'바가지요금'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서울 광장시장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이번엔 음식 재사용 의혹도 제기됐다.
구독자 149만 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이상한 과자가게'를 운영하는 A 씨는 지난 4일 '이러면 광장시장 다시는 안 가게 될 것 같다'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A 씨는 "저는 시장을 사랑하는 사람임을 먼저 밝히겠다. 구독자들은 아실 것"이라면서 "머리털 나고 처음으로 광장시장에 가봤는데 다신 안 가봐도 될 것 같다"라고 운을 뗐다.
그는 최근 광장시장 내 노점 5곳을 방문했다가 4곳에서 '불친절'과 '바가지' 가격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칼국수를 먹으러 갔는데 저의 바로 다음 손님 칼국수에 누가 봐도 오해할 수밖에 없게 생긴 김가루와 고명이 덕지덕지 붙은 불은 면을 면 삶을 때 섞으셨다. 나도 다 먹고 나서 봤다. 근데 나만 본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분식을 파는 노점에서 8000원에 판매 중인 '큰순대'를 주문했다. 그런데 상인은 순대 가격이 1만 원이라고 안내했다. 의아했던 A 씨가 "여기 써 있는 큰순대는 뭐냐?"고 묻자, 상인은 "그게(A 씨가 받은 게) 큰 순대다"라고 말했다.
0008585739_001_20251105092214971.jpg
A 씨가 "근데 왜 1만 원이냐? 메뉴판엔 8000원이라고 쓰여 있다"라고 따지자, 상인은 "고기랑 섞었잖아 내가"라고 답했다. A 씨가 재차 "메뉴판엔 8000원이라고 쓰여 있다"고 하자, 상인은 "그래, 8000원이라고 써 있잖아. 고기랑 섞으면 1만 원이 되는 거다"라고 설명했다.
A 씨가 일행에게 "고기랑 섞어달라고 했어?"라고 물었지만, 일행 또한 그러한 요구를 한 적이 없었다고. A 씨는 "제게 '고기를 섞을 거냐'고 미리 물어보신 적도 없다. 섞어달라고 한 적도 없다"라며 "끝까지 여쭤보고 싶었는데 소리가 커지니까 주변에서 쳐다보길래 이쯤에서 멈췄다"라고 털어놨다.
또 A 씨는 "이날 상인 분들이 외국 손님한테 갑자기 버럭하는 걸 여러 번 봤다. 언성을 높일만한 상황이 아닌데 막 화를 내니까 외국인들이 매우 당황해하더라"라며 "BTS, 케이팝데몬헌터스로 한껏 기대에 부풀어서 한국에 놀러 왔을 텐데 참 안타깝더라"라고 꼬집었다.
A 씨는 "이날 방문한 다섯 군데 중에 네 군데에서 불친절을 경험하고 왔다"라며 "솔직히 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막상 이래버리면 누가 시장을 가겠냐? 요즘 사람들은 정찰제에 위생적이고 감정 낭비할 일 없는 마트를 가지 않겠냐"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장 시장의 모든 상인이 다 이러진 않겠지만 (이 같은 행동을 한 상인의)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건 다른 시장들이라고 다 이러진 않는다"고 했다.
0008585739_002_20251105092215031.jpg
해당 영상은 업로드 하루 만인 5일 기준 조회수 199만회를 돌파했고, 약 5만3000개의 '좋아요'를 얻었다.
37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 누리꾼들은 "순대는 진짜 강매네", "저 (순대) 상인 화법이 진짜 별로인 게 자기가 멋대로 행동해 놓고 일부러 한숨 쉬고 답답한 척해서 상대를 무안하게 만든다", "외국분들 광장시장 말고 경동시장 가세요", "시장 상권은 상인들 본인이 죽이고 있다는 걸 아셨으면 좋겠다", "광장시장은 개선될 여지가 없다. 외국인들에게 소개시켜 주기도 망신스러워서 싫다", "6년 전에 광장시장에서 손님이 먹다 남긴 떡볶이 재활용해서 다음 손님 그릇에 슬쩍 담는 거 보고 다신 안 간다" 등 A 씨의 영상 내용에 공감했다.
이후 A 씨는 댓글을 통해 "영상을 1분 이내로 끊느라 내용을 전부 넣지 못했지만 광장시장에 있는 그 잠깐동안 위생 문제, 가격문제 그리고 카드결제기가 뒤에 뻔히 보이는데도 무조건 카드결제 안 되니깐 현금 계산하라고 하시는 분까지 봤다"고 털어놨다.
동시에 "이게 단지 개인 업장의 문제라면 편집할 때 그냥 잘라버리고 마는데, 광장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라고 생각돼 올린다"며 "광장시장은 한국에 온 외국인들이 관광 오면 꼭 들리는 대표적인 곳 아니냐. 아무리 외국인, 관광객 등 일회성 손님이 많다고 해도 이런 식으로 하시면 너무 망신스럽다"고 비판했다.
외국인들이야 몰라서 간다그렇다치고
저길 기여코 가는 내국인들 심리는 뭔가요?

댓글
  • ♡메이플시럽 2025/11/05 09:42

    외국인한테도 그냥 이마트나 동네체인점 가라고 안내해줘야겠네요.

    (PDSwLo)

  • 죽방멸치 2025/11/05 09:44

    내국인들도 관광지죠. 왠만하면 가게에서 먹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PDSwLo)

  • 지원재경 2025/11/05 09:46

    지방 사는 사람 입장에선 광장시장이 관광지 개념입니다. 거길 왜 가냐고 하면 할 말이 없네요.

    (PDSwLo)

  • Gonzo 2025/11/05 09:48

    서울에 갈만한 다른시장 널리고 널렸는데
    맨날 저딴기사만 나오는 곳을 굳이요?

    (PDSwLo)

  • 지원재경 2025/11/05 09:50

    서울에 갈만한 다른 시장이 또 어딘가요?

    (PDSwLo)

  • Gonzo 2025/11/05 09:55

    망원시장 경동시장 암사시장 남대문시장 등등 널렸어요
    광장시장만 아니면 다 갠찮습니다
    먹거리 규모가 광장시장이 젤크다고하지만 저딴기사만 허구한날 나오는곳을 제발로 찾아간다?
    관광지 특수고 뭐고 저라면 절대안갑니다

    (PDSwLo)

  • 4살아빠 2025/11/05 09:48

    동네 다른 시장은 저렇게 장사 안하죠
    명동 / 광장시장 이쪽은 어케든 외국인들 눈탱이 치려고
    장사 안된다고 징징 거리지 말고 상인회에서 단속 하건
    눈탱이 신고 받고 유죄 뜨면 바로 장사 접게 해야함
    삼진 아웃 다 필요없음 ㄷㄷ
    한번에 아웃 시키고 해야지 그 외국인도 좋은 기억으로 우리나라 기억 할 수 있는거쥬
    내가 갈때마다 눈탱이 맞으면 그나라 다시는 안가니께 ㄷㄷ

    (PDSwLo)

  • 달콤한라이프 2025/11/05 09:57

    저는 갑니다.
    저런 곳 진짜 못봤고, 처음엔 바깥에서 빈대떡 먹다가
    이젠 가게쪽으로 가는데...빈대떡, 김밥, 막걸리 조합이 좋네요.
    이번 주에도 가려고 하는데..
    물론 저런 곳은 망해야죠. 가게를 정확히 짚어서 말을 해야지
    유튜버도 비율이 높다는 말도 함부로 하면 안되지. 처음 가봤고 기껏 다섯군데인데..
    저는 20년간 먹는 것외에도 한복이나 다른 잡화 파는 곳도 보러 가봐도 저런 곳 못봤음
    물론 어디에든 저런 상인들 있겠지만..
    (시장이 다 그렇지만 주관적인 기준으로, 비싸다 싶거나 더러운 위생상태면 안감..)

    (PDSwLo)

(PDSw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