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만 보면 상당히 저주받은 지형같지만
유역일대가 좁디좁았던 나일강 유역과 달리
황하 및 장강은 유역일대가 차원이 다르게 넓어서
중원일대(관중, 화북, 하북, 화남, 파촉)를 다합친 것만으로도
당시 지중해권 전체와 인구수가 비슷했는데
당시 황하유역이 장강유역보다 인구가 더 많던 시절이라
황하가 먹여살린 인구가 나일강보다 4배는 되는 인구부양력을 가지고있었다.
그러니까 그만큼 죽는데는 이유가 있어서 죽는(애초에 사람이 많다.)거라고 한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지
근데 나일강은 아무리봐도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임 ㄹㅇ
근데 유역면적이 하도 좁아서 절대생산량은 황하유역이랑 차이가 좀 심하긴하다드라
나일강도 범람하면 강이 점프해서 이동했나 보네.
황하의 메리트가 끝났을 때 쯤 장강 개발이 완료됐다던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지
근데 나일강은 아무리봐도 로우리스크 하이리턴임 ㄹㅇ
근데 유역면적이 하도 좁아서 절대생산량은 황하유역이랑 차이가 좀 심하긴하다드라
하지만 천년넘게 제국의 빵주머니할정도면 절대생산량도 그냥 미쳐돌아가는거아닐까
나일강도 범람하면 강이 점프해서 이동했나 보네.
황하의 메리트가 끝났을 때 쯤 장강 개발이 완료됐다던가
(황하가) 죽인만큼 낳아라
범람할때마다 백성들이랑 집과 농작물이 그대로 떠내려가는 사소한 찐빠가 있긴했지만 그이상으로 인구를 늘려줌.
근데 이렇게 보니깐 촉이 세력이 확실히 약할 수 밖에 없긴 헀네
방어하기엔 좋은데 발전하기가 너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