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름 아닌 열기구 강하
꼴랑 300M에서 뛰어내리는 데다가
정지된 상태에서 뛰는 거라서 낙하산이 자력으로 펴지기까지 시간도 오래 걸림
보통 떨어질 때
"1만, 2만, 3만" 하면서 낙하산 산개까지의 시간을 재는데
C-130이나 CH-47같은 놈들은
기체가 앞으로 가면서 뛰는거라
맞바람으로 인해 보통 3만 (3초)에서 펴지는 반면
얘는 혼자 5~6만까지 감
게다가 다른 강하 자산에 비해
주변시가 탁 트여있고 떠오르는 장면이 다 보여서 공포감이 더욱 배가됨
그리고 앞서서 한 두 명씩 뛸 때마다 흔들리는 기체가 공포를 더하는 건 덤
그리고 사실 교관들이 가장 겁을 많이 주는 부분은
바람이 잘못 불어서
낙하산이 저 곳에 감겨버리게 되면
그대로 추락사하며 시체가 분해되는 끔찍한 상황이 펼쳐짐
앞에 맨 보조산을 필 새도 없이 떨어지게 됨
실제로 그래서 교관 아저씨들은 기구 낙하하기 전에
실제 사례인지는 모르겠지만 저런 사고 사례 썰을 어마무시하게 풀며 공포감을 더 올려줌
나도 저게 제일 무서웠어... C-130이나 CH-47은 재미라도 있었는데...
열기구 띄우는게 싸거든
근데 애당초 왜 열기구에서 강하를 하는거야?? 저고도 강하연습같은거야??
가난해서...매번 헬기 띄우면 비용감당이 힘들어
강하 자산을 끌어오기가 되게 빡셈
기초 공수 수료에 필요한 강하 횟수가 총 4회인데,
C-130이나 CH-47과 같은 강하 자산은 육군항공이나 공군 협조 없이 안될 뿐더러
그 마저도 매번 스케쥴이 꽉꽉 참
그런데 공수 훈련 받을 사람은 넘쳐나고 그러니 저걸로 대신하지
근데 애당초 왜 열기구에서 강하를 하는거야?? 저고도 강하연습같은거야??
열기구 띄우는게 싸거든
가난해서...매번 헬기 띄우면 비용감당이 힘들어
강하 자산을 끌어오기가 되게 빡셈
기초 공수 수료에 필요한 강하 횟수가 총 4회인데,
C-130이나 CH-47과 같은 강하 자산은 육군항공이나 공군 협조 없이 안될 뿐더러
그 마저도 매번 스케쥴이 꽉꽉 참
그런데 공수 훈련 받을 사람은 넘쳐나고 그러니 저걸로 대신하지
집단 강하보다 기상에 영향을 덜 받음
아.... 생각보다 현실적인 이유구나....
저는쫄보라서 저런거못뛰어요
와 낙하산 유게이다
님 저걸 해봄?
ㅇㅇ 해봄 개쫄림.
저 때만큼은 같이 올라간 교관도 되게 긴장한 기색이 보임
어우 무섭다
우왕 공수부대 유게이
나 자대 있을 때 실제로 저 와이어에 걸려서 산줄 타버리는 바람에 낙하해서 즉사한 사람 있었음 같은 부대에
공수부대까지 유게를 하다니...
나라가 어찌되려고 이러나
특전사 출신이신가요?
병이었슴미당. 특전병은 조건이 널널해용
강하도 해보고 싶긴 했는데 특공여단은 레펠이랑 패스트 로프까지만 이더라
고어~리 고어리 왓어 헤라바 웨이 투 다이!
고어~리 고어리 왓어 헤라바 웨이 투 다이!
실제로 많이 죽어나가지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