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율령 반포가 373년 소수림왕인데
촉이 항복한게 263년임.
몇번을 이야기 하지만, 삼국시대(중국)은 철기시대라니까?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임.
소위, 물가가 개씹상승하는 인플레이션이란 현상이
서양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계기가 신대륙 발견과 신대륙 식민지에서 뿜어져나오는 금과 은 이었음.
근데 뭔 기원후 200년대, 그것도 파촉 귀투성이에서 화폐를 무진장 뽑아내서
인플레이션이 심해서 백성들이 고통을 받았다느니 그게 말이 됨? 그렇게 선진적이었다고?
화폐를 만드는거하고, 그 화폐를 유통하는 거 하고, 유통된 화폐가 거래되는거하고
전부 전혀 다른 문제라니까?
차라리 후한200년간 낙양이 쌓아온 부를 싸그리 갈취한 동탁이 뒤지는 바람에
동탁이 갖고 있던 금은보화나 비단이 시중에 풀려서 인플레가 났다면 또 몰라
아니면 제갈량이 전쟁에 미쳐서 내정을 싹 다 전쟁에 올인해서(이건 사실이지)
나라가 십창이 났다 뭐 이런 주장이면 (정사의 기록과는 다르지만)
이해라도 할 수 있지
아니면 당시에는 비단 또한 대체화폐로 쓰였었으니,
중국의 비단 주산지인 촉한에서 비단 수출길이 막혀서 비단값이 싸지는 바람에
비단에 대한 쌀값이 올랐다 뭐 이러면 논리라도 맞는데
뭔 금속화폐에 의한 인플레이션이야...
뭐 파촉에 금광 은광이라도 포토시만하게 터져서 은이 쏟아져서 인플레이션이 났다 그런건가?
ps. 지폐...? 종이가 개발된건 채륜(50~121)의 시기임.
아 5ㅁㅁ 개발 그건가
??? : 아무튼 촉은 까고 까여야 한다고요.
여기에서 안보이는것같은데 다른데임? 내가못찾는건가?
아 5ㅁㅁ 개발 그건가
사실 인플레로 보이는 현상(=쌀값이 비싸지는 현상)은 삼국지에 자주 보여오긴 했음.
대표적으로 반동탁 직후 연주 쌀값이 X창난거. 근데 이건 농사를 망친 탓이고.
당시의 운송능력이 너무 일천해서 지역별로 쌀값이 의도적으로 오르락내리락 할 능력이 안됬었음..
그래서 당시의 인플레이션은 대체로 농사 X망, 전쟁으로 인한 수탈, 약탈 등에 의해 이루어졌음,
??? : 아무튼 촉은 까고 까여야 한다고요.
여기에서 안보이는것같은데 다른데임? 내가못찾는건가?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72114554
직백오수전에 직백도 오수도 글찾는걸로는안나오게 되어있으니 못찾은게 당연했네
관련 글 없길레 뭔가 싶었는데 댓글이었구나
내가 전에 중국 역사책 읽었을 때는 오수전 이후로는 꽤나 조악한 화폐들이 나오다가 송대가서야 화폐경제가 복구된다고 들었는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