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군인의 이름은 시라세 노부
1912년 노르웨이의 아문센과 영국의 스콧이 서로 남극점을 정복하겠다는 경쟁으로 전세계가 뜨거울 때
"까짓거 우리 일본도 남극점을 정복해 보겠다."는 야망을 품고 당시 육군 장교 시라세 노부는 남극 탐험대를 조직합니다.
그러나 그의 시도는 남위 80도 선까지 진출했으나 여건이 안 되서 결국 실패, 일본으로 귀환하게 됩니다.
그라고 그가 탐험하며 일본 영토라 선포한 야마토 유키하라란 지역은 알고 보니 남극해 바다 위에 있는 로스 빙붕이라서 영토 획득도 실패했죠.
문제는 그가 돌아온 그 다음이었습니다.
막대한 탐사비용이 모두 시라세 노부에게 떠넘겨진 것이죠.
당시 시라세 노부의 탐사 후원회가 돈을 지원해야 했지만 그들은 그 돈을 자기들 먹는 거랑 유흥비 등으로 횡령해 버렸거든요.
덕분에 그는 30년도 넘게 지나 1946년 9월 향년 만 85세로 죽을 때까지 4만엔의 빚을 졌고 끝내 빚을 갚지 못했습니다.
참고로 4만엔은 지금 가치로 한화 15억원에 달합니다.
돈 갚으려고 그는 평생 강연도 돌아다니고 남극 사진집도 팔며 눈물겹게 노력했지만 말년에 죽을 땐 그런 사람이 같은 마을에 있다는 사실조차 마을 사람들은 몰랐습니다.
그나마 그가 죽고 한참 후에 그의 이름을 딴 쇄빙선 시라세 호가 진수한 게 위안일까요.
지금도 저 배가 남극 기지를 돌아다니고 있죠.
왜는 간사하기 짝이 없어 신의를 지켰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가 없다
(같은 일본인 에게도)
업적이 남은게 다행일까
아니면 그렇게 죽여놓고 이름까지 긴빠이했다고 화가 날까...
업적이 남은게 다행일까
아니면 그렇게 죽여놓고 이름까지 긴빠이했다고 화가 날까...
말년을 허망하게 보냈는데 오히러 허탈함만 나올듯
왜는 간사하기 짝이 없어 신의를 지켰다는 이야기를 들은 바가 없다
(같은 일본인 에게도)
그래도 시대 고려하면 장수했고 전쟁도 어떻게든 살아 남았으니 박복하지만은 않았네.
물론 1946년이면 미군정 지배하에서 경신대기근 마냥 현세지옥이 펼쳐졌긴 하지만.
ㄷㄷㄷ
'당시 시라세 노부의 탐사 후원회가 돈을 지원해야 했지만 그들은 그 돈을 자기들 먹는 거랑 유흥비 등으로 횡령해 버렸거든요.'
뭐야 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