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영화 ‘1987’을 보고 가장 인상적이었던 대사에 대해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나요”라고 대답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의 한 영화관에서 고(故)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을 다룬 영화 ‘1987’을 관람한 뒤 영화에 등장하는 87학번 대학생 연희(김태리)의 이러한 대사를 꼽으며 “가장 마음에 울림이 컸던 대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7일 1987년 6월 항쟁을 회고하며 “역사는 금방은 아니지만 긴 세월을 두면서 뚜벅뚜벅 발전해오고 있다. 우리가 노력하면 세상이 바뀌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
이날 문 대통령은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박종철 열사의 형 박종부씨, 장준환 감독, 배우 김윤석ㆍ하정우ㆍ강동원씨 등과 환담을 한 뒤 영화를 감상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영화관에서 영화를 본 것은 광주항쟁을 다룬 ‘택시운전사’, 여성문제를 다룬 ‘미씽: 사라진 여자’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문 대통령은 관객과의 대화에서 “실제 6월 항쟁 또는 그 앞에 아주 엄혹했던 민주화 투쟁시기에 민주화운동을 한 사람을 가장 힘들게 했던 말이 독재권력 못지않게 부모님이나 주변 친지의 ‘그런다고 세상이 달라지느냐’는 말”이라며 “지난 겨울 촛불집회에 참석할 때도 부모님이나 가까운 사람으로부터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느냐’는 말을 들은 분이 많을 것이다. 지금도 ‘정권이 바뀌었다고 세상이 달라지는 게 있느냐’고 얘기하는 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영화 ‘1987’을 “그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규정한 문 대통령은 “실제로 한순간에 세상이 바뀌지 않는다. 항쟁 한 번 했다고 세상이 확 달라지거나 하진 않는다”면서도 “영화 속 6월 항쟁으로 우리가 ‘택시운전사’라는 영화로 봤던 택시운전사의 세상, 그 세계를 끝낸 것이다. 그리고 6월 항쟁 이후 정권교체를 하지 못해 여한으로 남게 된 6월 항쟁을 완성해준 게 촛불항쟁”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세상을 바꾸는 사람이 따로 있지 않다”면서 “우리가 함께 힘을 모을 때 연희도 참가할 때, 그때 세상이 바뀐다는 것을 영화가 보여주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늘 죄책감이 든다”는 말로 운을 뗀 문 대통령은 “제가 가해자는 아니지만 저 때문에 그런 일이 생겼고 많은 피해를 봤으니 늘 가슴이 아프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에 많은 고통을 겪은 분들께 위로와 함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지만 그럼에도 지난날의 고통에 대해 보상해드릴 길이 별로 없다”면서도 진실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 문화예술인 지원 확대를 약속하며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사건의 진실을 제대로 규명해 책임 있는 사람을 확실히 벌 받게 하는 게 하나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문화예술인이 정치성향이나 정치적 의사 표현 때문에 예술지원 같은 데에서 차별을 받는다든지 또는 예술 표현의 권리에서 억압을 당한다든지 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했다. “나아가 문화예술인이 제대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인 지원을 확대해나가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고도 했다.
생각에 잠긴 문통 표정이 인상적이네요..ㅎ
여사님 옆에 관객 김윤석닮았네
김윤석 저렇게 보니까 또 달리 보이네요 ㅋㅋ
김윤석맞아요
아 김윤석이었구나
비긴이계인// 도플갱어 수준이네요 ㄷㄷ
6월항쟁 당사자이자 대통령인 사람의 말이라 그런지 울림이 크네요
아무것도 안하는 사람들이 이말 많이 하죠..
그런다고 세상이 바뀔것 같냐...??
그런 이렇게 말해야죠.. 니가 몰라서 그렇지 다 바뀐다고...
기사내용 추천
"영화 속 6월 항쟁으로 우리가 ‘택시운전사’라는 영화로 봤던 택시운전사의 세상,
그 세계를 끝낸 것이다. 그리고 6월 항쟁 이후 정권교체를 하지 못해
여한으로 남게 된 6월 항쟁을 완성해준 게 촛불항쟁"
명언을 쏟아내시네.
조금씩 바뀌어 가고 있습니다~
끝부분에 울컥~
이렇게 바뀐 세상이 증명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