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797051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



안녕하세요.

그냥 유게이입니다.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1.webp



글의 서두를 쓰는 것은 상상 이상으로 어려운 일입니다.
즐거운 판타지 소설을 읽는 것에도 도입부의 흡인력은 매우 중대한 역할을 하죠.

하물며 이런 학문적인 내용을 담은 글의 서두는 오죽할까요.
쉽지 않습니다.

쓸데없는 소리는 이쯤하고...
블루 아카이브를 즐기며 종종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2.jpg



"어? 이거 교육학 검수 받은 것 같은데?"


물론 내용 자체가 선생과 학생의 이야기,
특히나 학생의 성장기에 초점이 맞춰진 만큼
기시감이 드는 건 당연한 일이겠지만,

스토리를 보다 보면,
스토리 내부에서의 선생의 행동이나
학생이 걷는 길이 교육학적으로 이상적인 예시가 되는 경우가
종종 등장하곤 합니다.

물론...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3.webp


지금 와서는 그냥 얻어걸린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만은...

실제 검수를 받았다면 나기사 억까의 반은 삭제되지 않았을까요


넘어갑시다.

위의 따라큐 콘은 그냥 신기해서 넣어본 콘입니다.
포켓몬이 왜 프센세의 명대사를 쓰는 걸까요?
정말 신기하네요.


아무튼

갑자기 왠 교육학 이야기냐 싶으실 텐데,
오늘의 주제는 바로 이 기시감에서 시작했습니다.
갑자기 그런 생각이 들더라고요.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4.png


"블루아카로 교육학을 가르치면 재미있지 않을까?!!"

그렇잖아요?
사실 우리도 철수와 영희보다는
샤아와 아무로가,

기차의 속도를 재는 것보단
빔을 도탄시키기 위한 각도를 계산하는 게

더 재미있지 않았을까요????

안 그래도 학생들이 등장해서 미숙한 청춘을 보내는 스토리인 블루아카로
교육학을 가르친다면 더 재미있지 않겠습니까????
저만 그렇게 생각한거 아니죠????

네.
그래서 이 기획이 시작됬습니다.
이 기획에서 소개할 분야는 교육심리학으로,
배우고 나면 정말 많은 걸 얻어갈 수 있는 분야입니다.

오늘 배워볼 부분은 바로
모든 학문의 시작,
"교육심리학의 이해"입니다.


교육학이란 뭘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교육학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사)
 교육의 본질, 목적, 내용, 방법, 제도, 행정 따위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 교육에 대한 역사적ㆍ심리학적ㆍ과학적 연구 등.


즉 교육학이란 교육에 대한 이론과 연구 전반을 일컫는 용어로,
교육~~학,
~~교육학이라는 이름이 붙는 대다수의 과목은
모두 교육학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교육 자체는 유사 이래 항상 존재해 왔으나
이것이 교육학으로 체계화된 것은 의외로 멀지 않은 과거의 일입니다.
19세기 독일의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라는 철학자가
교육방법론과 교육목적론으로 체계화한 것이 최초라고 하죠.

※참고로 교육학 자체는 칸트가 먼저 강의했지만
체계화를 거친 건 헤르바르트가 최초입니다.



그렇다면 교육심리학이란 뭘까?

교육심리학은 기본적으로 심리학의 응용 학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름에서부터 교육심리학이니까요.
때문에 교육심리학의 기본은,

"어떻게 가르칠까?"가 아닌
"쟤는 왜 저럴까?"에서 시작합니다.

예시를 들어 봅시다.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5.jpg


미네와 사쿠라코가 싸웁니다.


여기서,

"어떻게 싸움을 중재할까?"

-물리적으로 제압한다.

-우선 진정시킨 뒤 이야기를 듣는다.

등등...

의 방식은 교육학입니다.


"쟤네는 왜 싸우고 있을까?"

-미네가 사쿠라코의 말을 오해했다.

-사쿠라코가 미네의 수집품을 실수로 사용했다.

등등...

의 분석을 내놓는 것은 심리학의 분야입니다.


이 두 가지가 혼합된 것.

다시 말해,


"미네와 사쿠라코는 ~~한 이유로 싸우고 있으니, ~~한 방식으로 중재하자."


라는 답변을 내놓는 것이

바로 교육심리학입니다.


심리학에서 시작해서 교육학으로 마무리되는 것이죠.


다른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블루아카)로 이해하는 교육심리학-1.교육심리학이란_6.png


여기 정서적으로 안정된 하루카가 있습니다.

하루카는 더 이상 자폭하려는 조짐을 보이지 않으며,

자책하는 발언을 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에 임합니다.

또한 아루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력을 길러,

아루의 행동에 적절한 조언을 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생님이

어떻게 하루카를 가르칠지 고민하고,

하루카가 어째서 그런 성격이 되었는지 이해하여

적절한 교육을 시행한 덕분입니다.



여기서,


"이 하루카를 어떻게 가르쳐야 자학적인 성향을 고칠 수 있을까?"

는 교육학(실천) 측면이고,


"하루카는 어째서 자학적인 성향이 된 걸까?"

는 심리학(연구) 측면입니다.



예시를 든 것이므로, 실제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심리학의 연구적 측면과

교육학의 실천적 측면이 합쳐진 것이 바로 


교육심리학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교육심리학에서는 학부 과정에서부터 

행동주의, 인지주의 등 

리학의 기본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와 그 주변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동시에 학습자가 학습을 이루도록 한다는 목적 또한 가지며


일반 심리학의 '대상 이해' 수준을 뛰어넘어,

학습자가 처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법을 탐색 및 제시하는

실천적인 성격 또한 가지게 됩니다.


때문에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의 객관성과 과학적 연구방법론도 중요시하지만, 

동시에

교육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정의하고 

그 가치를 이루기 위한 옳은 교육방법을 제시해 주기 위해 

주관적인 가치판단이 필요하다는 특성이 혼재되어 있는.


복잡한 과목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배우고 익혀 활용하는 단계로 접어들면

생각보다 훨씬 흥미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좋습니다.


우리는 오늘 교육심리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초를 배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래서 교육심리학이 왜 중요한데?"

"왜 이걸 배워야 하는데"


라는 부분을 진행해보도록 합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챠 대박나시길 바라요.



저는 폭사했습니다.





------------------



댓글
  • Jet Leg 2025/07/20 18:04

    찐센세네요 이 사람

    (xVcwyh)

  • 오랑우탄맨 2025/07/20 18:07

    안정된 하루카라 그렇게 되면 선생은 정말 대견스러울듯

    (xVcwyh)

(xVcwy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