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그냥 유게이입니다.
지금 와서는 그냥 얻어걸린게 아닌가 싶긴 합니다만은...
실제 검수를 받았다면 나기사 억까의 반은 삭제되지 않았을까요
넘어갑시다.
미네와 사쿠라코가 싸웁니다.
여기서,
"어떻게 싸움을 중재할까?"
-물리적으로 제압한다.
-우선 진정시킨 뒤 이야기를 듣는다.
등등...
의 방식은 교육학입니다.
"쟤네는 왜 싸우고 있을까?"
-미네가 사쿠라코의 말을 오해했다.
-사쿠라코가 미네의 수집품을 실수로 사용했다.
등등...
의 분석을 내놓는 것은 심리학의 분야입니다.
이 두 가지가 혼합된 것.
다시 말해,
"미네와 사쿠라코는 ~~한 이유로 싸우고 있으니, ~~한 방식으로 중재하자."
라는 답변을 내놓는 것이
바로 교육심리학입니다.
심리학에서 시작해서 교육학으로 마무리되는 것이죠.
다른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여기 정서적으로 안정된 하루카가 있습니다.
하루카는 더 이상 자폭하려는 조짐을 보이지 않으며,
자책하는 발언을 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에 임합니다.
또한 아루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력을 길러,
아루의 행동에 적절한 조언을 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생님이
어떻게 하루카를 가르칠지 고민하고,
하루카가 어째서 그런 성격이 되었는지 이해하여
적절한 교육을 시행한 덕분입니다.
여기서,
"이 하루카를 어떻게 가르쳐야 자학적인 성향을 고칠 수 있을까?"
는 교육학(실천) 측면이고,
"하루카는 어째서 자학적인 성향이 된 걸까?"
는 심리학(연구) 측면입니다.
예시를 든 것이므로, 실제와는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심리학의 연구적 측면과
교육학의 실천적 측면이 합쳐진 것이 바로
교육심리학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교육심리학에서는 학부 과정에서부터
행동주의, 인지주의 등
심리학의 기본 이론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학습자와 그 주변의 다양한 요인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동시에 학습자가 학습을 이루도록 한다는 목적 또한 가지며
일반 심리학의 '대상 이해' 수준을 뛰어넘어,
학습자가 처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법을 탐색 및 제시하는
실천적인 성격 또한 가지게 됩니다.
때문에 교육심리학은
심리학의 객관성과 과학적 연구방법론도 중요시하지만,
동시에
교육의 가치가 무엇인가를 정의하고
그 가치를 이루기 위한 옳은 교육방법을 제시해 주기 위해
주관적인 가치판단이 필요하다는 특성이 혼재되어 있는.
복잡한 과목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배우고 익혀 활용하는 단계로 접어들면
생각보다 훨씬 흥미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좋습니다.
우리는 오늘 교육심리학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초를 배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래서 교육심리학이 왜 중요한데?"
"왜 이걸 배워야 하는데"
라는 부분을 진행해보도록 합시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챠 대박나시길 바라요.
저는 폭사했습니다.
------------------
찐센세네요 이 사람
안정된 하루카라 그렇게 되면 선생은 정말 대견스러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