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월 4편 나오고 암튼 흥행하는 시국에, 한번 영화 1편 이전의 원작,
마이클 크라이튼의 쥬라기 공원 소설로 돌아가 봅시다.
소설 속 쥬라기 공원의 공룡들은 과연 어떤 대접을 받았을까?
영화처럼 신랄하게 개구리 유전자 들어간 키메라라고 콕 집어서 털렸을까, 아니면 진정한 공룡의 부활로 칭송받았을까?
(헨리 우. 쥬라기 공원의 창조자)
(소설엔 딱히 영화같은 사이코패스는 아님)
"지금 있는 공룡들은 4.1이나 4.3 판본이죠. 우린 4.4 개정본으로 넘어가야 합니다."
"모든 공룡을 대체하고 다시 만들자는 겁니다."
"문제요? 없습니다. 그게 진짜 공룡이란 사실 외에는요."
"세상에는 진짜 공룡을 본 사람이 없습니다. 아무도 공룡이 진짜로 어떤지 모릅니다."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공룡은 진짜지만 어떤 면에선... 불만족스럽습니다. 우린 그 공룡들을 더 잘 만들 수도 있습니다."
"첫째로 우리 공룡은 너무 빨리 움직입니다. 사람들은 그렇게 큰 동물들이 빠르게 움직이는데 익숙하지 않아요. 전 관람객들이 우리 공룡들이 마치 빨리감기를 한 것처럼 일부러 속도를 빠르게 해 놨을 거라고 생각할까 걱정이란 말입니다."
(존 해먼드)
(이쪽은 소설에선 좀 쓰레기 새끼였음)
"하지만 헨리. 저것들은 진짜 공룡이야. 자네가 말하지 않았나."
"압니다. 하지만 우린 쉽게 공룡들의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더 길들여진 공룡을 만드는거죠."
"과거는 사라졌고 다시 창조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한건 그저 과거의 한 변종, 단편을 재구성한 것 뿐이고요. 제가 말씀드리는건 더 좋은 판본을 만들수도 있단 겁니다."
"이 동물들은 이미 수정된 겁니다. 우린 특허를 얻기 위해 공룡들에게 유전자를 삽입했고, 라이신에 의존하도록 조작했죠. 성장속도를 촉진하기 위해 온갖 것들을 다 만졌고요."
"관객들도 더 쉽게 받아들일 수 있고, 우리가 다루기도 더 쉬운 공룡을 만들 수 있단 말입니다. 더 느리고 유순한 판본을요."
"그렇게 되면 공룡이 진짜가 아니지 않나."
"하지만 지금도 진짜가 아닙니다. 전 바로 그 점을 말씀드리려 애쓰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진짜는 없단 말입니다."
....
영화와 달리 딱히 사이코가 아닌 우 박사가 '프로그램 판본 업데이트' 로 공룡을 살처분하고 다시 만들자고 하는 걸 보면 감이 잡히겠지만
원작 소설의 유전공학에 대한 비판과 경계는 쥬공1~3은 물론이고 쥬월 시리즈조차 어떤 면에선 뛰어넘는다.
특히나 쥬월 1~3 시리즈에서 부각한 '복제되었다 한들 생명이고 살아갈 권리가 있다' 란 할리우드식 생명존중 담론과는 더더욱 거리가 멀고.
소설의 입장이 훨씬 더 냉담한 비판론임.
실제로 쥬월1의 '개짱쎈 메리수급 치트키 키메라'인 인도미누스가 위장색을 들고 나왔지만,
원작 소설 2편 잃어버린 세계에선 그냥 일반 공룡인 카르노타우루스(뿔난 육식공룡)가 위장색을 쓰는 정도로 '저것들은 결코 정상적인 생물이 아니다' 란 점을 부각함.
그마저도 1권에서 응애 새끼 랩터가 감정 변화로 색상이 변화는 카멜레온 모습을 보여주며 '여기 공룡들 죄다 이런 키메라 꼬라지임' 알려주기도 하고
dna 빈공간이 많은데 그걸 현생환경에 생존하도록 and 어떻게든 '공룡'이라는 구색은 맞춰야 했으니
이런거 저런거 넣다보니 결국 그냥 잡종 괴물이 된 거네.
영화 내내 말콤이 꼽주고 시비턴 것도 이해가 가네.
그래서 쥬공이든 쥬월이든 고생물학자들이(특히 그랜트가) 경외로워하면서도 삐딱하게 쳐다보는거지
자기들이 사랑한 공룡의 모습이지만 그 속은 다른 무언가거든.
아직도 원본 관련에서는 털이 너무 많다 적다도 말도 많고 dnc 검사도 어느정도 완성되었다고 하지만 과거 멸종했지만 생존한 녀석은은 이미 조류이니 부활 시켜도 뭔가 이득보다는 그냥 사람들 와 킹룡하고 만족하는 그냥 관광용 생명체가 될 가능성 100%..........게다가 사람들 눈 겁나 높으니깐 어중간하게 키메라 나오면 별로라는 이야기와 별별 어글러 유튜버들 찝쩍거려서 사고터지면;;;;;;;;;;;;
쥬라기 공원 1편에서도 쟤네 복원하면서 구멍난 유전자는
양서류에서 가져와 땜빵 했다고 하지 않았던가?
ㅇㅇ 그래서 공룡들이 번식한거
소설엔 아예 랩터 둥지에서 새끼 수십마리를 양육하고 있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