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스탑, 투 스탑...스탑이라는 말이 뭔가요?ㅋ
.
.
.
옵티머스프라임은 사진의 도를 깨우치기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https://cohabe.com/sisa/454263
원 스탑, 투 스탑...스탑이라는 말이 뭔가요?ㅋ
- 디지몬)데이터를 너무 흡수한 베르스타몬 [3]
- ㅇㅍㄹ였던자 | 3분전 | 1165
- 원숭이 손이시여.. 절 유명하게 만들어주세요!! [8]
- 깡프로 | 5분전 | 411
- 매트릭스 "네오!깨어나라!" 짤의 비밀 [5]
- 민트진순부먹파인애플피자건포도 | 7분전 | 550
- 트릭컬) 유혹 (유령유혹) [10]
- 청룡열차 | 8분전 | 1058
- 방송 보고 변호사들이 빡쳐서 도와준 사건 [6]
- 감동브레이커★ | 9분전 | 1505
- 명조) "아이들에게 못된 짓을 하는 나쁜 누나가 나타났다!" [4]
- DDOG+ | 11분전 | 1118
- 헤일로 팬들이 헤일로 세계관 알면 시무룩해짐 [7]
- Cortana | 12분전 | 612
- 유게하면서 이룬 인생업적.sasuke [0]
- 기린좋아하는사람 | 13분전 | 742
- 검스 흰스 맨발 [7]
- 9151771188 | 13분전 | 581
- 탈의실에서 마주친 사촌누나.jpg [16]
- 하겐다즈아이스크림 만만세 | 14분전 | 673
- 카제나)튜토리얼 레노아와 이후가 다른 이유 [13]
- 빡빡이아저씨 | 14분전 | 590
- 트릭컬) 아니 솔직히 에르핀이 불쌍하다는 생각만 들었다 [7]
- 7725074933 | 15분전 | 445
- 카제나) 어질어질 버튜버 홀록스 멤버들의 방송 [4]
- 데스티니드로우 | 15분전 | 1036
빛이 조절하는 값으로 1스탑은 증가는 빛을 두배 받아들인다.
조리개로 개방이나 조명사용시 피사체와 거리의 절반을 다가가서 촬영하면 1스탑이다.
센서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2배씩, 혹은 1/2씩 되는 단계를 뜻합니다.
iso는 100 200 400 800 1600이 1스탑씩이 되는것이고
셔속은 1" 1/2 1/4 1/16 1/32 1/60이 1스탑씩이 되고
조리개는 1, 1.4, 2, 2.8, 4, 5.6이 1스탑씩이 됩니다
혹시 1/4 다음에 1/8은 1스탑 차이가 아닌가요?
노출이 2배씩 증가하는 것을 스탑이라합니다.
정확히는 2의 n제곱씩 밝기가 바뀔 때 n을 스탑이라 라죠.
감도, 셔속은 2배씩 증가하면 노출이 1스탑 증가하고 조리개는 면적이라 루트2, 1.4배씩 증가하면 노출이 1스탑 증가합니다.
http://en.m.wikipedia.org/wiki/Exposure_value
노출 계수 정도로 번안할 수 있는 Exposure Value의 단위가 1Stop입니다. 빛의 양이 두배가 되면 1 스탑 밝아졌다. 라고 표현하며, 빛의 양이 절반이 되면 1스탑 어두워졌다 라고 표기합니다.
관련 공식은 위키 링크를 보시면 되는데 log2함수 관계이기 때문에 2의 지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로그가 아닌 루트 관계 아닌가요?
자림님이 말하시는 EV는 저조도에서 EV-3에 같이 표기되는 절대적인 수치로서의 EV입니다.
노출계에서 사용되는 EV와 달리 원래 EV는 정해진 조도값을 의미하며 그 수식이 로그로 표현됩니다.
자림님이 올리신 링크에 보면 나와있죠.
다만 본문에 언급된 일반적으로 1스탑. 2스탑은 2배, 4배에 2루트를 쒸운 것과 같지요.
루트 관계는 F-number 혹은 F-Stop에만 적용됩니다.
F-number는 루트 관계입니다.
이는 F 즉 조리개의 경우만 해당된다는 뜻입니다.
조리개는 빛이 2배가 될경우 "면적이 두배가 됩니다."
조리개는 원형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래서 면적을 따지게 될려면 원면적이 두배가 되어야죠.
원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S = pi x r^2 입니다.
그래서 예를들어 S1=pi x r1^2이라고 할경우 2배가 될려면 2S1 = pi x r2^2 가 되겠죠.
이걸 S1으로 등가를 만들면 2 x pi x r1^2 = pi x r2^2 가 될거고요.
이를 기준으로 계산하면 r1 : r2 비율이 1:1.4(root2)가 되죠.
원면적이 기준이기 때문에 이렇게 됩니다.
정리하면 루트 관계는 조리개에서의 F-stop에서 해당되며,
제가 설명한 Exposure Value 중 조리개쪽의 세부분류에만 해당되는 이야기입니다.
단순무식하게 말하면
'한눈금, 두눈금, 세눈금' ^^
루트 덮어 씌우는거..
수학임
그냥 그런거 대충 알고 사진이나 찍으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