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궁금해서 각각 최대 개방으로 두고 A 모드에서 촬영하면서 비교했습니다. 더 많은 사진을 찍었지만, 일부만 선택하여 올립니다.
저의 개인적인 느낌은,
- 135GM 은 최대 개방에서 종종 배경 빛망울의 외곽선이 주 피사체와 간섭이 일어나고 이를 줄이기 위한 구도 변경을 요구하는데, 좁은 식물원에서는 불가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음
- 135GM 빛망울의 외곽선은 다소 두드러지는 편이어서 (ZEISS APO-Sonnar 135mm f/2 나 기타 Macro 렌즈보다는 부드러운 편이지만) 최대 개방에서도 주 피사체 주변의 선이 다소 강하게 드러나 시선을 분산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리개를 조이면 더욱더 강조되는 경향이 있음. STF 렌즈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됨.
- 최대 배율은 둘 다 0.25x 정도인데, 최소 초점 거리는 100 GM STF 가 13cm 짧아서 상황에 따라 유리하거나 불리할 수 있음
위에 언급한 경우를 제외하면 f/1.8 부터 f/2.8 사이를 활용할 수 있는 135GM 의 표현 범위가 더 넓다고 할 수 있으나, 꽃 사진에서 표현력이 서로 다른 렌즈라고 보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고 보며(둘 다 갖고 가야겠다는 의지의 표현!), 무엇보다도 100 GM STF 의 OSS 와 더 짧은 최소 초점 거리가 큰 장점이었습니다.
동일한 f 값에서의 비교는 다음에 시간이 나면 진행할 예정입니다.
https://cohabe.com/sisa/4454092
135 GM 과 100 GM STF 꽃 사진 비교
- 니케 만우절 영상의 기시감의 원인을 찾아냄 [4]
- 슈가하트 | 2025/04/01 00:27 | 1133
- 와.. 세상에 이런 일도 있군요 [10]
- 천추(千秋) | 2025/04/01 08:31 | 500
- 블루아카)쩡역식후기 [3]
- 야광하니와 | 2025/04/01 06:50 | 1080
- 시골에서 목줄없는 강아지를 쳐 견주 1000만원 넘는 치료비 요구 [13]
- 서브컬쳐고고학 뉴비 | 2025/03/31 22:38 | 1149
- 소름돋는 통신사 근황 ㄷㄷㄷ [8]
- California.T | 2025/03/31 21:30 | 851
- 트릭컬) 리듬천국 패러디 줄타기 한거 웃기던데 언급이 없네ㅋㅋㅋ [3]
- 너구리광견병 | 2025/03/31 20:40 | 938
- 트릭컬) 빠다들 엄청 많아 ㅋㅋㅋㅋㅋㅋㅋㅋ [0]
- 퍼즈의망령인것 | 2025/03/31 19:56 | 408
- 스타레일) 카스둥이 애니 원신 시틀라리 생각나네 ㅠ [1]
- 코러스* | 2025/03/31 18:58 | 956
- 일본 어느 회사의 입사식 근황 [15]
- 바닷바람 | 2025/03/31 17:48 | 410
- 엄마, 로보트 장난감 사줘!! [17]
- 마늘소금 | 2025/03/31 16:50 | 1042
- 사고친 리트리버 혼냈더니 옆에서 지켜보던 푸들이 보인 뜻밖의 위로 [8]
- 무토P@타카야마사요코♡ | 2025/03/31 15:48 | 819
- ???: 나도 70년대 강남에 땅 갖고 있었더라면... [27]
- 220.46226218lbs | 2025/03/31 12:48 | 849
135gm 이 확실히 좋아보이네요. 100gm은 뭔가 포토샵 블러 세게 먹인 느낌이다보니 부자연스러운 느낌이 느껴집니다.
핸드폰으로 인물 모드 배경 날리는 거랑 비슷한 느낌이 드네요..
안그래도 100gm 궁금했었는데 , 좋은비교기 감사합니다
135GM 이 배경 처리가 부드러운 편이긴 한데, 구도에 제약이 많은 자연에서는 그조차 좀 강해서 STF 특유의 세게 먹은 블러가 아쉬울 때가 있더군요. 제가 비교해 보고 하나를 정리하려고 했다가, 둘 다 남기는 것으로 마음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100stf는 준망원 화각 주제에... 광각렌즈 쓰듯이 거추장스런 배경을 잘 통제하는게 관권인거 같습니다.
초점맞은 부분과 배경의 거리 갭이 커야하지만 가능하면 배경은 밝아야함.
F.4정도의 유효심도 근처에 다른 피사체가 끼는걸 피해야함
또...T5.6은 밝은 렌즈가 보편화된 시점에서... 난이도가 높죠
2번사진과 같은 상황이 제가 생각하기엔 stf렌즈가 끼어들어갈 수 있는 이상적인 빈틈이라 생각됩니다.
평상적인 동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심도 얕은 렌즈가 심도와 밝기라는 강제력으로 압도적으로 우위를 점하지만...
이상적인 상황의 한켠에선 정말 유니크한 표현이 가능한거 같아서 좋은거 같습니다 ㅎㅎ
좋은 조언 감사합니다. 표현력이 독특한 특별한 붓 하나 갖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
사실 아이러니 하게도 저 전제조건에선 135gm도 잘 나오는(...) 조건이죠
촬영의 폭이 제한되지만 다른 붓으로 그린 그림을 얻는거 같아서
저도 135mm를 먼저 들이고 100mm를 들인뒤에 두 렌즈를 모두 가져가는 방향으로 정했습니다 ㅎㅎ
stf 결과물들이 자주 보여서 기분이 좋네요 :D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100gm 느낌이 색달라서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