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354747

오싹오싹 택견 시리즈 - 후기 조선군은 정말 무예도보통지를 따르는 군대였을까?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시리즈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1편 - 소개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2편 - 송덕기. 그리고 현대 택견의 시작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3편 - 두 거인의 죽음과 혼란기의 개막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4편 - 대한택견회의 부상과 이면의 문제점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5편 - 대고소시대와 돌아온 송덕기 택견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6편 - 결련택견협회의 비상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7편 - 통합 대회와 대한택견연맹의 체육회 가입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8편 - 황금기의 뒷면과 또 다른 계승자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9편 - 결련택견협회의 내전과 위대태껸의 등장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10편 - 태껸춤과 정통성 논쟁 上편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11편 -태껸춤과 정통성 논쟁 下편-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12편 - 옛법택견의 짧은 봄 -

오싹오싹 택견 근현대사 13편 - 서울시 문화재 결련택견과 택견진흥법 -


오싹오싹 택견 시리즈

1편. 택견 4대 협회의 간략한 특징 요약 및 기술 모음집

2편. 택견은 왜 주먹이 아니라 발차기부터 배웠을까? 

3편. 택견에도 개파조사가 있다?!

4편. 놀이인가 무술인가? 기록을 통해 알아보는 구한말 택견.

5편. 택견과 석전의 상관 관계

6편. 제 1회 택견 경기와 실종된 활갯짓

7편. 택견의 손질은 본래 검술에서 왔다(?!) 上편 

8편. 택견의 손질은 본래 검술에서 왔다(?!) 下편

9편. 군사도시 한양
10편. 어째서 후기 조선군의 편제는 원거리 병과가 압도적으로 많았을까?

11편. 후기 조선군은 정말 무예도보통지를 따르는 군대였을까?




ori/24/10/27/192cc686e483260c9.gif?icon=4084


안녕하세요 여러분 택견빌런입니다.

오늘은 지난 편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무예도보통지와 18세기의 조선군의 무장상태, 그리고 오군영의 병사들이 치룬 정기 무예 시험이었던 중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합니다.


꽤나 긴 글이 될 예정이지만 여러분이 최대한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하였으니 찬찬히 읽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g/24/10/13/192859169363260c9.png?icon=4084


(그럼 바로 시작해 볼까요?)



1. 후기 조선군의 무술 교범, 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총 4권으로 이루어진 조선 시대의 군용 무술 교본으로, 1790년(정조 14년) 정조의 명으로 규장각 검서관인 실학자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소속 장교이자 무인인 백동수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img/25/02/19/1951e1c07b04fc691.png
( 조선군의 무술 교범 무예도보통지.
왕명에 의해 편찬되었다고 하여《어제무예도보통지》(御製武藝圖譜通志)라고 불리기도 했다. )


1권은 찌르는 무기라 하여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鐺鈀), 기창(騎槍), 낭선(狼先)을.

2권과 3권은 베는 무기라 하여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劍), 교전(交戰), 제독검(提督劍), 본국검(本國劍), 쌍검(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를.


4권은 치는 무기라 하여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馬上才) 등을 다루었으며




(무예도보통지에 기록된 교전(交戰)을 재현하는 모습)


위와 같이 무술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기를 만드는 법, 한/중/일 삼국 동일 무기의 형상 비교와 무기의 규격 등까지 함께 기록되어 있어 조선 뿐만이 아니라 당대 동북아의 무기들에 대한 연구 및 복원이 가능하게 만드는 귀한 자료이기도 하죠.


따라서 정조 이후를 다루는 여러 미디어 매체나, 수원 화성에서 행해지는 시연 등에서 나타는 조선군의 묘사는 전형적인 무예도보통지의 그것을 따라갑니다.


예컨대 등패와 낭선, 장창으로 무장한 병사들이 원앙진을 이루어 적을 상대하는 등의 모습이 대표적일 겁니다.




(무예도보통지에 기록된 원앙진을 재현하는 시연단)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엄밀히 말하면 약간의 문제가 있는데, 물론 무예도보통지가 무려 국가 인증이 박힌 정품 무예교범인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로 어떤 비율로 해당 서적이 다루는 무기들을 조선군이 사용하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다루고 있지 않고 있다는 맹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후기 조선군이 사용한 무술과 무기들에 대한 탐구로는 충분할 지 몰라도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병사들이 무장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하는데는 적절하지 못한 자료라는 것이죠.



2. 그렇다면 18세기의 조선군은 어떻게 무장하고 있었을까?

다행스럽게도 우리에겐 18세기 조선군의 무장 상태를 파악하기에 적절한 또 다른 자료가 있습니다. 바로 『만기요람(萬機要覽)』 입니다.




기록덕후 조상님들께 감사하십시오 휴먼



『만기요람(萬機要覽)』은 순조 8년(1808년) 왕명에 의해 당시 조선의 국가 재정과 군정(軍政)에 관련된 사항을 총망라하여 편찬한 서적으로, 재용편(財用編) 6권과 군정편(軍政編) 5권으로 되어 있어


재용편은 국가 재정 및 경제 제도의 실정과 운영을. 군정편은 국내 군사의 체제와 군정을 집행하는 각 기관과 여러 진영(陣營)의 담당 업무, 경비 조달 방법을 서술하여 18세기 조선의 재정 상태 및 군제를 파악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는 자료입니다.




img/25/02/19/1951e3f7ea74fc691.png
(만기요람의 의 ‘만기(萬機)’란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데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일상 정무를 총칭하는 말로,

만기를 친히 주재하는 군주가 일상 정무를 총람하는 데 있어 참고하여 도움을 받고자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군정 편의 경우, 각 군영별의 보직과 인원수, 장비, 그리고 이들이 시행한 무술 시험의 과목 등. 정말 세세한 사항들이 서술되어 있어 비록 중앙군(오군영)에 한정되는 자료이기는 하지만 후기 조선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선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지요.

그렇다면 만기요람에서 서술하는 후기 조선군의 무장은 과연 어떤 형태였을까요? 정말로 무예도보통지에서 다룬 것과 같이 다양한 냉병기들로 무장하고, 기효신서로부터 도입된 원앙진을 바탕으로 한 군대였던 걸까요?

정답은 충격적이게도 [전혀 아니다] 였습니다.



img/25/02/19/1951e491cec4fc691.png


위의 표는 만기요람 군정 편*1 에 서술된 각 군영별 보유 무기 목록입니다.

무언가 표 내용이 이상하다는 느낌을 받으셨다면 제대로 보신 겁니다. 왜냐하면 위의 표가 보여주는 것은 후기 조선군이 기효신서는 물론, 무술 교범인 무예도보통지에서도 서술된 원앙진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img/24/10/13/192858fa1e13260c9.png?icon=4084

(뭐.. 뭐라고...??)



일단 원앙진의 전면에 서야 할 등패수가 장비해야 할 등패(방패)가 모든 군영의 장비 목록에 나타나지 않을 뿐더러, 그나마 장창과 당파는 목록에서 찾을 수 있으나 원앙진을 구성하기엔 숫자가 지나치게 모자라며,


오히려 재고들을 비롯해 군영에 나누어 주었다는 장비들의 목록 가운데 조총과 활을 제외하고 가장 충실하게 지급된 무장은 바로 환도와 편곤이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mg/25/02/20/195223af2884fc691.jpg
(아마 이러한 결과가 나온 이유 중 하나는 조선 후기 기병의 주된 무장 중 하나가 편곤이었기 때문이기도 할 겁니다.)




다시 말해 무예도보통지에서 등패나 낭선을 비롯해 기효신서에 그 뿌리를 둔 다양한 무기술과 진법을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군영에서는 이를 전혀 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수행하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며, 하려고 해도 장비가 없는데 어캐 함... 


왕에게 올라가는 자료에조차 이렇게 가라 없이(...) 담백하게 데스크와 현장의 괴리를 서술한 것을 보면 윗선에서도 대략적으로 현장의 분위기를 인지하고 있던 걸로 보입니다.

요컨대 현대 한국군의 전투 태권도나 총검술과 같이 교범은 있으되 실제로는 거의 수행하지 않는 것처럼, 무예도보통지의 내용 중 일부는 어느 정도는 그런 위치에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img/25/02/19/1951e561a4f4fc691.png
(대표적으로 월도 보다 한 체급 더 큰 장병기인 협도 같은 경우 문을 지키는 병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는 서술이 주된 것을 보면,

전장에서 실제로 사용 되었다기 보다는 일종의 위압용 무기에 가까웠던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과연 후기 조선군에게 있어 무예도보통지가 그저 높으신 분들께서 일방적으로 진행한 현실과 괴리된 치적 쌓기용 프로젝트였던 걸까요?

단언컨대 그건 절대로 아니었습니다.



3. 오군영의 병사 모두를 정예병으로 만들어라!

비록 정조의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이 아버지인 사도세자의 업적*2 을 기리고, 계승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들어가 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었지만 정조는 '진심으로' 조선을 강력한 국가로 만들고 싶어 했던 왕이었습니다.

그러한 정조의 진심은 무예도보통지를 바탕으로 한 친위대였던 장용영의 설립과 조선의 성곽 설계의 정수가 담긴 수원 화성의 건축 뿐만이 아니라 오군영의 무술 중간 평가였던 중순(中旬)의 확대 시행 및 포상의 강화에도 나타났습니다.




img/25/02/19/1951e5ad61b4fc691.png

(정조가 건설한 수원 화성. 당시 조선의 최첨단 기술 및 설계를 집약한 요새였다)



각 군영 별로 시험 과목은 조금씩 차이가 났지만 수도 방위 뿐만이 아니라 후기 조선의 실질적 야전군 역할을 했던 훈련도감의 경우 만기요람을 살펴 보면 아래와 같이 적혀 있습니다.



[훈련도감의 중순(中旬)]
○ 보군(보병)의 원과목은 아래와 같은 4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조총 6발 : 과녁을 명중하면 점수를 배로 계산한다.
2) 유엽전 1순(5발) : 과녁을 명중하면 점수를 배로 계산한다.
3) 검 1차인데 등패(籐牌)ㆍ낭선(狼筅)ㆍ장창(長槍)을 통틀어서 검이라 한다.
4) 권법(拳法) 1차인데 곤방ㆍ보편(步鞭)을 통틀어 권법이라 한다.

이상 4종 과목을 통산하여 6점 이상이면 상상등, 5점 이상이면 상중등, 4점이면 상하등이 된다.

조총과 유엽전은 과녁을 1시 명중하고 변폭을 2시 명중하면 비록 4점이라도 겸한 기예가 없는 한 상하등에 편입되지 못하며 5점은 상하등으로 내려지고, 상상등과 상중등의 경우도 이에 준한다.


출처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80_040_0070_2002_002_XML



요컨대 활과 조총을 아무리 잘 쏜다 한들 단병접전용 무예를 통과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구조를 만든 셈으로, 이렇듯 후기 조선군은 사수/포수/살수를 나누지 않고 병사들에게 주 보직의 기예 외에도 검이나 권법 같은 무술을 익히는 것을 독려하였던 것입니다.

그리고 다른 군영들도 이러한 기조에 힘입어 조총과 활을 휴대한 병력이 많다는 조선군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검술로 중순을 통과하는 병사들이 많아지는 결과를 낳게 되었죠.


img/25/02/19/1951e5e5f1a4fc691.png

(장용영과 각 군영별로 합격자들이 어떤 무술로 중순을 통과했느냐를 정리한 표.
군영마다 종목의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검술 합격자들이 과반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img/25/02/19/1951e5ddd224fc691.png

(1751 ~ 1816까지 어영청에서 치룬 중순의 합격자 표. 처음부터 끝까지 검술 합격자들이 과반을 차지한다.) *3



img/24/10/13/1928590bbf03260c9.png?icon=4084

이쯤 되면 조선이 검술을 천시했다느니,
조선군은 검술에 관심이 없었다느니 하는 건 싹 다 알못들의 헛소리였다고 봐야...


비록 정조 사후 세도정치를 거치면서 재정난을 핑계로 1~2년에 한 번씩 하던 중순이 4년에 한 번, 5년에 한 번 꼴로 시행되게 바뀌고, 병사들에게 지급하던 포상 또한 줄어들게 되었지만 정조 이래로 중순은 꾸준하게 이어졌으며 이러한 정기적 무술 시험은 훈련도감을 비롯한 오군영의 병사들이 최소한의 정예함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든 가장 큰 요인이었던 걸로 보입니다.

일례로 순조 11년, 사실상 온 서북 지방이 반기를 들었던 것과 다름없던 홍경래의 난에서 급하게 파견되어 충분한 숫자를 확보하지 못했던 중앙군이 '충분히 해볼 만 하다.' 라는 판단 하에 기세를 탄 반란군에게 야전을 걸고(송림 전투),




img/25/02/19/1951e618e064fc691.png

(홍경래의 반란군에 합류한 평안도의 정예 기병대 별무사.

실질적으로 무관으로 대우 받던 이들까지 반란에 합류할 정도면 얼마나 당시 조선의 서북 차별이 심각했는지 알 수 있다.)



기병대를 앞세워 중앙 일점돌파를 시도하는 반란군을 상대로 진압군의 중앙에 포진한 어영청이 필사적으로 탄막을 퍼 붓고,



img/25/02/19/1951e65607a4fc691.png
(ㅅ1발 뚫리면 우리 다 죽는 거야...!!!)



반란군의 기세에 겁을 먹고 도망치는 향병(지방군)들을 장교들이 일일이 목을 쳐 날려야 할 정도로 몰리면서도 끝까지 반란군을 붙잡고 늘어지는 가운데 양익을 맡은 훈련도감의 마군과 보군들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반란군의 양익을 말 그대로 '부러뜨려' 버리며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활약을 보일 수 있던 것


어찌 보자면 정조 시대에 정비된 정기 무술 시험인 중순과, 일개 병사들마저 쉽게 무술 훈련을 할 수 있는 교범 역할을 한 무예도보통지의 덕택이라 아니할 수 없다는 것이죠.




img/24/10/13/192859009a33260c9.png?icon=4084

이랬던 어영청이 조선 후기에 가면 어영부영의 어원이 된
어영비영(어영청은 군대도 아니다)의 주인공이 된다는 게 참(...)



이렇듯 무예도보통지에 서술된 무술들이 100퍼센트 후기 조선군에서 활용된 것은 아니었으나 최소한 검술 만큼은 군영을 막론하고 사랑 받았고,


또한 병사들의 신분과 출신을 가리지 않고 군영에 속한 이라면 누구나 검술을 수련할 수 있던 계기가 바로 무예도보통지의 편찬이라는 것 만큼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 보아야 할 것입니다.




ori/25/01/09/1944b2813384fc691.gif

ori/25/01/09/1944b287a2e4fc691.gif

ori/25/01/09/1944b297c3a4fc691.gif

(사족이지만 오군영의 병사들 사이에서 검술이 광범위하게 익혀졌던 영향인지 의외이게도 훈련도감의 병사나 무관들이 많이 했다는 택견의 기술 가운데 검술과 맥이 닿아 있는 것들이 꽤 많이 보입니다. 향유층이 겹치는 영향이었던 걸까요?)


안타깝게도 이러한 무예도보통지의 여러 무술들이 구한말->일제강점기->6.25라는 격동의 근현대사 속에서 사라지고, 잊혀지게 되었지만







이와 같이 수많은 무술가들과 연구자들의 검증과 토론을 거치고 복원될 수 있는 것 또한 조선을 강하게 만들겠다는 일념 하에 편찬된 무예도보통지의 덕이라 할 수 있으니, 여러분도 잠시 정조대왕님에게 감사하는 시간을 가져 보는 것은 어떨까요?


쓸데없이 길기만 했던 글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mg/24/10/13/19285911b473260c9.png?icon=4084


지금까지 택견 빌런이었습니다!


* 1. 만기요람의 기록들을 보면 이보다 훨씬 다양한 종류의 무기들을 확인할 수 있지만 모든 무기를 하나하나 나누게 되면 표가 지나치게 더러워 지므로 대분류로 묶을 수 있는 것들은 묶되, 개중 중요해 보이는 것들은 따로 서술하였으며, 가장 많은 수량을 차지하는 조총/활/환도 같은 경우엔 군영의 병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서술된 숫자만 표기하였습니다.
좀 더 자세한 자료를 열람하고 싶으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훈련도감 군기(軍器) 편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80_040_0230_2002_002_XML
용호영 군기(軍器) 편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80_030_0240_2002_002_XML
금위영 군기(軍器) 편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90_010_0310_2002_002_XML
어영청 군기(軍器) 편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90_020_0280_2002_002_XML
총융청 군기(軍器) 편 : https://db.itkc.or.kr/inLink?DCI=ITKC_BT_1367A_0090_030_0280_2002_002_XML
* 2. 무예도보통지는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할 당시 기효신서로부터 기원한 곤봉ㆍ등패ㆍ장창ㆍ당파ㆍ낭선ㆍ쌍수도 외에 당시 군영에서 사용되던 무기 12가지를 더해 편찬한 《무예신보》(武藝新譜)에 마상 기예 6가지를 더한 일종의 확대/개정판으로, 아버지(사도세자)의 위업을 드높이기 위한 정치적 목적 또한 가지고 있었습니다.
* 3. 18세기 무예 보급에 대한 새로운 검토 : 『御營廳中旬謄錄』을 중심으로(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690aaea0139398be47de9c1710b0298d)


댓글
  • akii 2025/02/20 16:26

    예전에 시리즈 봤었는데 계속 연재중인 것은 몰랐네.
    시간대가 안 맞아서 못 봤나...
    꾸준연재 추천하고, 밀린 것들 좀 봐야겠다.

    (YOeBzw)

  • 커피크림우유 2025/02/20 16:27

    후후 감사합니닷!

    (YOeBzw)

(YOeBzw)

  • 페로몬 뿌리는.manga [4]
  • | 2025/02/21 06:04 | 855
  • 소전2) 울라리 짜증나는게 ㅋㅋㅋ [5]
  • | 2025/02/20 23:52 | 348
  • 길쭉한 사료스탕스 [2]
  • | 2025/02/21 01:23 | 251
  • 트릭컬/스포) 의외로 패러디인것 [0]
  • | 2025/02/20 22:29 | 699
  • 캐논 V1은 16-50 화각이네요 . [8]
  • | 2025/02/20 13:39 | 1343
  • 코스트코에서 카트로 앞 사람 뒤꿈치 [14]
  • | 2025/02/20 13:01 | 1377
  • 속보] 대통령, 구속취소 심문 마치고 헌재로 이동하는 듯 [10]
  • | 2025/02/20 11:46 | 800
  • 버튜버)족토의 던파 메소드 연기 [0]
  • | 2025/02/20 10:58 | 718
  • 10년지기랑 오사카 갔다가 손절한 이유.eu [13]
  • | 2025/02/20 10:03 | 1199
  • 블루아카) 아리스 잡아먹는 유우카.webp [8]
  • | 2025/02/20 02:33 | 929
  • 시체 옮기는거 들켰을때 꿀팁.tip [11]
  • | 2025/02/19 23:27 | 789
  • 내 친구 게이인지 의심되는데 한번 봐주라.jpg [3]
  • | 2025/02/19 22:18 | 1115
  • 퇴근 중 ㅅㅅ 인증한 공무원 [1]
  • | 2025/02/19 21:07 |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