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열 연세대 교수팀 연구 결과.."아토피 등 피부손상에도 효과 기대"
/사진제공=과기정통부
국내 연구팀이 모낭을 재생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모발형성을 저해하는 단백질 간 결합을 막아 발모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모낭이 소실돼 발모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탈모증 치료제 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최강열 교수 연구팀(최 교수팀)이 윈트신호전달계(Wnt signaling pathway: 세포 내 다양한 생리·병리 현상을 조절하는 신호전달체계)를 조절해 모발 생성을 방해하는 단백질(CXXC5)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동시에 해당 단백질을 억제하는 물질(PTD-DBM) 개발까지 성공했다.
최 교수팀은 이를 바탕으로 탈모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재생성 발모제를 개발 중이다.
머리카락 성장속도를 조절하는 기존 탈모치료제의 경우 탈모가 한참 진행돼 모낭이 소실된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고, 남성 호르몬 억제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치료제 복용을 멈추면 다시 탈모가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 같은 부작용을 극복하면서, 재생 효과를 바탕으로 단순 탈모는 물론이고 완전 탈모까지도 치료할 수 있는 신개념 치료제 개발 필요성이 대 두돼왔다.
https://v.media.daum.net/v/20171120135800289
자라나라!!!
그리고 다급함이 느껴지는 댓글..
이 발견 물질이 2015년도에 이미 나왔던 건데 당시에는 흉터없이 빠른 치유효과를 보는 물질이라는 기사가 있었네요.
그리고 비용도 수십배나 저렴하다고.. ㅎㅎ
http://www.hellodd.com/?md=news&mt=view&pid=53789
탈모치료제 상용화에도 혁신적인 가격이 나오길 바래봅니다.
상용화까지 기다리다가 좋은시절 다지나가고 나올수도?
빨리싱용화되길~
모낭재생은 굳이 저 약 아니라도 지금도 가능해요!
저는 그래서 황비홍 됬다가 지금은 대머리탈출...ㅋㅋ
물룐 치료비가 비싸요...
그리고 이 뉴스는 제 기억에 2005년쯤부터 꾸준히 나오던 기사인데....
탈모치료제 나온다고한게 10년은 넘은거 같은데 ... 한시가 급한데 ㅠㅠㅠㅠ
아 실험체가 되고싶다..
전 여자임에도 머리숱이 없는데... 넘나 반가운 뉴스네용~~ 얼렁 상용화 되었으면 좋겠어용~~
한 20년 뒤에 시제품이 나오겠군.
자넨, 신을 믿나?
아니, 난 자네를 믿네
과연.... 젊음이 다 가기 전에 상용화가 될 것인가.
이러다 늙어 죽겠다.....
여기 임상실험 1빠로 줄서봅니다~^^
17년+8개월차 스킨헤드가 있습니다~~
얼른 가져다 쓰세요~~
한때는 두피였지만 지금은 이마가되어버린....
우리나라에 노벨상 나오겠네요
치료비 모발 1가닥당 백마넌
툭하면 뭔물질 기술나왔다고 희망고문만 하고있어... 날 임상실험으로 갖다 썼으면좋겠당
유머인 줄 알고 들어왔네요
오오 아토피에도!!
이제 전쟁이 사라지겠군
그, 기사 잘보셨는지요?
머리카락 성장속도를 조절하는 기존 탈모치료제의 경우 탈모가 한참 진행돼 모낭이 소실된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고, 남성 호르몬 억제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뿐 아니라 치료제 복용을 멈추면 다시 탈모가 진행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미 모낭 손실된 탈모자들에겐 효과없어요..
보통 임상시험들어가고 머하면 십년은 넘어가더라구요.ㅋㅋㅋ
저 단백질이 어떤 기작으로 생기는지도 궁금하네요.. 혹시라도 다른 기능이 있는거면 막았다가 부작용이 있을지도 모르고.. 기작을 알면 예방이 가능할지도 모르니..
저 교수님은 분명 탈모겔의 현인신이 되실 분이야.
물질개발됐다고 약으로 나온다는 보장은 없죠 ㅋㅋㅋㅋㅋ
교수님이 풍성하셔서 개발이 늦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글을 보고 있는 저나 여러분은 관계없어요. 저거 실용 약으로 나올 때 쯤이면 우린.. 우린.... ㅠㅠ 씨빠!
저는 머리숱은 많은데 흰머리가 너무 많아요.. 고등학교때부터 염색을 했으니 말 다했죠.
지금은 한 90%가 흰머리같음... 염색값도 많이들고...
차라리 대머리면 염색값이라도 안들텐데... 대머리도 힘들지만 흰머리인들도 약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ㅠㅠ
피부가 재생된다는 말은 노인이되어도 10대같은 피부외모를 가질 수 있다는 건데 기대가 되네요.
한독과 연세대에서 연구개발을 진행했었는데요.
아쉽게도 이번해에 한독 프로젝트에서 제외됐더군요(실패한 듯). 문제점을 개선 하고 다시 연구중인가 봅니다.
아래는 이전 특허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