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렌즈의 2.8 조리개값과
35.4 렌즈의 2.8 조리개값을
같게 했을경우 결과물의 심도나 품질(어두운곳에서의 고감도) 차이가 다른가요?
가격도 가격이고, 렌즈의 구멍이 확실히 35.4 렌즈가 커보여서 같은값이라도 더 좋을까... ? 의문이 들어서요.
https://cohabe.com/sisa/433301
(초보질문)같은조리개값이라도 렌즈별 품질이 다른가요?
- 고퀄리티 블루아카 아스나 피규어 [9]
- 29250095088 | 5분전 | 377
- 통쾌한 내부고발의 순기능 ㅋㅋㅋ [0]
- 시부야케㉿ | 14분전 | 1052
- 나 이번에도 세금 떼먹을 생각이야 [0]
- 니디티 | 15분전 | 945
- 완벽한 생체인증 장치 [6]
- 익스터미나투스mk2 | 15분전 | 375
- 살아가면서 필요한 인생굴팁 [2]
- 시부야케㉿ | 15분전 | 328
- 일본 전생자들 끼리 모여서 노는 애니 특 [5]
- 갓트루참얼티밋여신블랑 | 16분전 | 349
- 한계에 봉착한 입만 나불나불 [0]
- \(*´▽`)ノ심시미 | 17분전 | 343
- 공포)항문이 강한 여자 [14]
- NGGN | 18분전 | 438
- 체인소맨)이상한데서 자기객관화가 잘 되는 아사 [4]
- 니디티 | 21분전 | 477
- 일본)어제 도쿄 아다치구에서 벌어진 사건 [5]
- ClearStar☆ | 22분전 | 266
- 주차장 사고 레전드 (有) [1]
- 凸凹凸凹凸凸凹 | 23분전 | 596
심도는 같지만, 배경흐림효과는 렌즈 설계에 따라서 더 강해보이거나 덜해보일 수 있습니다.
품질 또한 일반적으로는 1.4렌즈를 2.8로 조인것이 2.8렌즈의 최대개방보다 우수합니다.
답 감사합니다~
그럼 iso가 한스탑 올라가는 효과도 있다고 생각해도 무관할까요?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본문에 내용이 추가되었네요. 품질이라는게 디테일이 아니라 고감도노이즈를 말씀하시는거라면 투과율에 따른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거의 차이 없습니다.
이미지 크기 포맷이 같으면 원래 설계상은 같아야 정상입니다.
F값은 F=d/f 라는 단순 공식에 따르니까요.
다르면 그건 설계오류나 공차죠.
그리고 참고로 대물렌즈가 크면 잘 보시면 확대가 될거예요...
기본적으로 렌즈라는게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이니까요..
그 조합에 따라서 공간적 왜곡이 드러날겁니다.
아 왜곡의 문제도 있었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심도/감도 모두 같습니다.
심도는 피사체와의 거리와 조리개값으로만 정해집니다. 변수에 화각이나 렌즈 구성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조리개값이 수광량과 같은게 보통이니 감도(iso) 또한 동일한 셔터속도에선 같게 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미지 퀄리티가 단순 프로세싱을 말하는 것이라면 거의 동일할 것이며, 실제로는 렌즈 각개의 선예도와 배경처리에 따라 표현자체가 달라보일 수 있습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궁금증이 모두 풀렸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