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8 렌즈의 2.8 조리개값과
35.4 렌즈의 2.8 조리개값을
같게 했을경우 결과물의 심도나 품질(어두운곳에서의 고감도) 차이가 다른가요?
가격도 가격이고, 렌즈의 구멍이 확실히 35.4 렌즈가 커보여서 같은값이라도 더 좋을까... ? 의문이 들어서요.
https://cohabe.com/sisa/433301
(초보질문)같은조리개값이라도 렌즈별 품질이 다른가요?
- 신기록 갱신 [0]
- 바이오용사 | 6분전 | 884
- 새벽밤 쿠팡배달 하다가 얼어죽을뻔함...;; [9]
- 리멤버미 | 17분전 | 537
- 아들을 사회적으로 암살하려는 아버지 [6]
- 슈퍼빠워어얼 | 20분전 | 871
- 오리고 펭귄이고 타고고 죄다 알낳고 지랄났네 [7]
- 스파르타쿠스. | 22분전 | 1063
- 드래곤볼슈퍼에서 가장 패륜적이던 장면 [8]
- GFALCON | 27분전 | 433
- 법 잘 아시는 분) 횡령에 대한 검찰의 보완수사 요구 [0]
- gikig | 28분전 | 899
- 난 호모가 아니다. [10]
- 슈퍼빠워어얼 | 39분전 | 724
- 아니 지금 여름도 아닌데 [0]
- 라면없이못살아 | 59분전 | 695
- 아이온)2 이미 천계와 마계로 나뉘어진 유저들 [13]
- 펀치기사 | 59분전 | 228
- 야간하는데 베스트에 펭귄이 있네 [9]
- 3451912620 | 1시간전 | 1064
- 슈퍼토끼는 말했다! [4]
- 인버스FX마스터 | 1시간전 | 963
심도는 같지만, 배경흐림효과는 렌즈 설계에 따라서 더 강해보이거나 덜해보일 수 있습니다.
품질 또한 일반적으로는 1.4렌즈를 2.8로 조인것이 2.8렌즈의 최대개방보다 우수합니다.
답 감사합니다~
그럼 iso가 한스탑 올라가는 효과도 있다고 생각해도 무관할까요?
아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본문에 내용이 추가되었네요. 품질이라는게 디테일이 아니라 고감도노이즈를 말씀하시는거라면 투과율에 따른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거의 차이 없습니다.
이미지 크기 포맷이 같으면 원래 설계상은 같아야 정상입니다.
F값은 F=d/f 라는 단순 공식에 따르니까요.
다르면 그건 설계오류나 공차죠.
그리고 참고로 대물렌즈가 크면 잘 보시면 확대가 될거예요...
기본적으로 렌즈라는게 볼록렌즈와 오목렌즈의 조합이니까요..
그 조합에 따라서 공간적 왜곡이 드러날겁니다.
아 왜곡의 문제도 있었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심도/감도 모두 같습니다.
심도는 피사체와의 거리와 조리개값으로만 정해집니다. 변수에 화각이나 렌즈 구성은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일반적으로 조리개값이 수광량과 같은게 보통이니 감도(iso) 또한 동일한 셔터속도에선 같게 나오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미지 퀄리티가 단순 프로세싱을 말하는 것이라면 거의 동일할 것이며, 실제로는 렌즈 각개의 선예도와 배경처리에 따라 표현자체가 달라보일 수 있습니다.
상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궁금증이 모두 풀렸네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