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324561

붕괴:스타레일 제3장 페나코니,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가.

붕괴:스타레일,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가.

 

*붕괴:스타레일 ‘제3장 페나코니’의 중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왜 우리는 죽기 위해 이 세상에 태어난 걸까?”

-어벤츄린-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 걸까.

 

이 질문은 모두에게 주어졌지만 각자 그 답은 평생 찾아야만 한다. 적당한 답을 찾았다고 생각할 때 쯤 다시 흩어지고 또 다른 무언가를 발견했다 느낄 때 쯤 공허함이 밀려오곤 한다.

 

최근 살아가는 것이 고통스럽다는 말을 많이 접하는 것 같다. 코로나 19의 여파가 많이 사그라들었음에도  자살률이 반등하는, 이 실재하는 현상은 그저 ‘개개인이 나약하기에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이다.’ ‘그런 마음 가질 용기로 살아라.’ 같은 근성론으로 때우고 넘어갈 단계는 이미 한참 지나버린 거 같다.


img/25/02/10/194eb5b951653478b.jpg


아케론은 공허의 사도다. 나도 전작을 해보거나 세계관에 대한 깊은 탐구를 한 것은 아닌지라 세세한 설정과 해석까진 모르지만 작품 전체에서 말하는 꿈이라는 상징과 라이덴 보센모리 메이 라는 진명을 생각하면 아케론을 통해 이야기하고 보여주는 공허는 죽음 자체를 상징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모든 사람의 결말은 정해져있다. 돈이 아무리 많은 자본가든 고치지 못할 병으로 고통을 받는 병상 위의 누군가든 결국 우리는 죽음이라는 엔딩을 피할 수 없다.

 

죽음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공허라면 우리는 왜 살아가야 하는 걸까. 사고든 병이든 자의적 선택이든 결국 우린 모두 무로 돌아갈 뿐인데.

 

뜻대로 되는 것도 별로 없는, 대부분의 시간이 내가 아닌 남을 위해 사는 것만 같은 이 삶은 정녕 가치 있는 것이 맞긴 할까.


img/25/02/10/194eb5e429853478b.jpg


여기 공허에 모든 것을 빼앗긴 소녀가 있다. 그리곤 자신이 원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모든 것을 앗아간 에이언즈의 사도가 되어버렸다.

 

감각은 무뎌지고 기억마저 흐릿하다. 사도로서의 힘은 얻었지만 결국 그것을 스스로를 위해 사용할 순 없다. 그녀에게 더 이상 ‘자신’은 없기에.

 

그럼에도 그녀는 우리에게 살아가라고 말한다.

 

사랑하던 것들, 소중히 하던 사람들을 모두 잃고 끝내 자신까지 잃어버리게 되는 운명에 빠진 그녀가.


img/25/02/10/194eb5f4f4753478b.webp


“결말이 이미 정해져 있다 해도 상관없어. 사람이 바꿀 수 없는 일은 정말 많거든.”


삶이 힘든 이유는 각자 다를 것이다. 자기 모습에 만족하지 못해서, 처한 상황을 해결할 힘이 없어서, 혹은 도저히 이겨낼 수 없는 일을 겪고 있어서 등등.

 

나도 살면서 나름 많은 일을 겪고 고생도 했지만 나보다 훨씬 힘들고 고통스러운 상황에 처한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그저 ‘죽는 건 나쁜 거니까 살아야 돼.’ 같은 말은 공허하게 들릴 뿐일 것 같다. 나도 혼자 그런 일을 생각할 때 딱 그랬다. 허울 뿐인 위로와 이해할 수 없는 호소. 너무나도 텅 빈 말들은 오히려 반발심을 일으킬 뿐이었다.


img/25/02/10/194eb60e0f753478b.webp

만약 운명의 주사위의 결과가 정해져 있다면,

그것이 죽음이라는 결말이라면...우리는 왜 그것에 맞서야 하는 거지?”

 -어벤츄린-


죽고싶다 보단 왜 살아야 하는 걸까. 이 질문에 나는 대답하지 못했다. 처음에는 다음주에 나올 애니메이션의 최신화를 보고 싶으니까 같은 가벼운 것으로 때우려 했지만 점점 그런 거 안 보고 말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살아야 할 이유 같은 걸 주변인들이 슬퍼할 테니까, 어떤 식으로 죽어도 누군가가 치울 때 힘들테니까 같은 것들로 채워나가다가 생각했다. 죽으면 다 끝인데 그런 것들이 이유가 될까?

 

결국 그런 안타까운 결정을 스스로에게 내리는 사람들 중 일부는 그 때의 나와 같지 않았을까 싶다.

 

작은 이유부터 하나하나 잃어가다가 마지막 이유마저 잃어버렸을 때. 그냥 사라지고 싶다. 모든 것을 끝내고 싶다. 편해지고 싶다. 그런 의식의 흐름.

 

우리는 결국 모두 같은 결말로 나아간다. 죽음. 살아가며 해왔던 것들은 과정에 불과하고 죽음 이후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못한다.

 

그럼 정녕 우리의 인생은 정해진 결말에 따라 의미 없는 일일 뿐일까.


img/25/02/10/194eb63c2a153478b.webp

“생명은 왜 깊은 잠에 빠지는가?”


페나코니를 여행하며 우리는 생명은 왜 깊은 잠에 빠지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각 등장인물들의 답을 듣게 된다.

 

누군가는 깊은 잠을 죽음으로 해석하고 누군가는 현실에 대한 도피로 해석한다.

 

최종보스로 등장하는 선데이는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깊은 잠을 선물하고 삶에서 오는 모든 고통을 혼자 짊어지려 했고 개척자는 이에 반대하며 각자의 인생을 스스로 살아가야 한다고 답한다.

 

결국 깊은 잠에 빠지든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발버둥 치면서 살아가든 끝은 죽음이라는 공허로 이어지는데도 불구하고.


img/25/02/10/194eb65644753478b.webp

우리는 왜 살아야할까?

 

자신을 기억해줄 사람도, 소중하게 생각하던 고향도, 스스로의 존재마저 끝임없이 소멸하고 있는 공허함 그 자체인 아케론은 그럼에도 살아가야한다고 말한다.

 

네가 선택한 깊은 잠이 결국 언젠가 깨어나야 할 순간에 불과하다면 다시금 일어나 결국 살아가야 한다.

 

끝이 정해져 있더라도, 그 안에서 바꿀 수 없는 것이 수도 없이 많다고 하더라도.

 

그만큼 우리가 바꿔나갈 수 있는 것 또한 많기에.


인생은 탄생에서 죽음으로 향하는 여정이다. 그러니 살아있는 우리는 지금 겪는 혼란, 역경, 고난 모두를 그저 지나가는 많은 순간들 중 하나로, 연출로 만들 수 있다.

 

왜냐면 우리의 인생은 죽음이라는 엔딩을 아직 맞이하지 않았으니까.


img/25/02/10/194eb66d67653478b.webp


“하지만 결말로 향하는 길 위에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 또한 정말 많아.

그 결말은 이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해.”


깊은 잠에 영원히 빠지는 것은 선데이의 말마따나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 할 수도 있다.

 

누군가 희생해서 원하는 대로 모든 걸 할 수 있는 완벽한 꿈에 빠지게 해준다면 무엇 하나 맘대로 하기 힘든 현실보다 나을지 모른다.

 

하지만 고통스럽고 숨차더라도 이런 삶을 해쳐나가는 여정이 모두 평등하게 맞이하는 결말의 의미를 완전히 다르게 바꿀 수 있는 무언가라면.

 

성공이 아닌 성장을 중요시하고. 위기 연출 하나 없이 맞이하는 클라이맥스만큼 김 빠지는 것도 없다고 생각한다면.

  

그저 환상에 안주하고 가능성을 닫아버리는 지루한 꿈보단 우리 스스로가 개척해나가는 각자의 삶이 더욱 가치 있을 리라고 붕괴: 스타레일은 말한다.


img/25/02/10/194eb68ba0a53478b.webp

그러니 우리 함께 살아갔으면 좋겠다. 진짜 아름다운 엔딩이 여정의 끝에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예상보다 오랜 시간 허무함에 빠지고 지금의 고난이 생각보다 길게 이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 끝을 스스로 정해버리지만 않으면 된다.

 

그거면 된다.

 

당신이, 그리고 우리가 걸어가는 여정 자체가 삶의 이유이자 의미이니까.


img/25/02/10/194eb69969553478b.webp


"그리고 「결말」도... 이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해.

그게 바로 「여정」에 담긴 의미야.

그 아름다움은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여전해. 그리고 난......

그것이 우리가 햇빛 아래서 재회할 때까지 「공허」 의 끝에 계속 피어있으리라 믿어."

-라이덴 '보센모리' 메이-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처음으로 댓글을 남겨보세요!

(0eESN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