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천만엔
10년 전쯤의 자료로 지금은 조금 더 올랐을 수도 있으나
암튼 적다
역대 최고 제작비는 그대들 어떻게 살것인가로
51.5억엔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일본 영화 제작비 맥시멈은 20억엔 정도
고질라 마이너스원이 15억엔 정도이다.
5천만엔
10년 전쯤의 자료로 지금은 조금 더 올랐을 수도 있으나
암튼 적다
역대 최고 제작비는 그대들 어떻게 살것인가로
51.5억엔이라고 한다.
일반적인 일본 영화 제작비 맥시멈은 20억엔 정도
고질라 마이너스원이 15억엔 정도이다.
배우 임금 쌈 + 영상장비 좋은거 안씀 + 편집에 시간 안 들임
환장의 삼박자
저게 배우들이 출연료를 안받아서 가능한 비용으로 알고있음. 영화는 배우의 홍보용이라고함. 유명해져서 광고를 찍는 것을 노린다고.
고레에다 감독 인터뷰 역산해보니까
한국에 비해 1/8밖에 안줄 정도로 보수도 짜다던데
관련이 있나봄
뭐 잘못 조사된거 아님?
아님 독립영화도 다 넣어서 평균 낸거던가
이런 영화 제작비가 6천만엔 정도였다고 함
뭔 배우한테 최저시급도 안줌?
나가사와 마사미 엄청 유명 여배우 아닌가?
바닷마을 다이어리에도 나왔는데..
한국 같았으면 1명 출연료만으로 제작비 훨씬 넘겼을듯
https://www.kobiz.or.kr/new/kor/02_overseas/production/worldFilmView_7.jsp
2020년에도 전년보다 줄기는 했지만 애니메이션을 포함해 506편의 일본 영화가 개봉했다. 506편 중 메이저로 꼽히는 도호, 쇼치쿠, 도에이의 배급작이 1백여 편이다. 대형 실사 영화 제작비는 대체로 2~4억 엔 사이이고 4억 엔이 넘는 작품은 극히 드물다. 나머지 4백여 작품은 독립 영화로써 대부분의 작품이 1억 엔 이하, 그 중 50%가량은 5천만 엔 이하의 예산으로 제작된다.
2020년 자료 찾았는데
대형 영화는 2~4억엔 수준이라 함
대형영화 제작비가 웅남이 선에서 컷....
넷플릭스가 큰일 했겠네;
고레에다 감독 인터뷰 역산해보니까
한국에 비해 1/8밖에 안줄 정도로 보수도 짜다던데
관련이 있나봄
배우 임금 쌈 + 영상장비 좋은거 안씀 + 편집에 시간 안 들임
환장의 삼박자
독수리 오형제 갓챠맨이 80억엔(당시 870억원)이었다고 함
그것도 그냥 10억엔 정도로 추측하는 사람이 많다함
저게 배우들이 출연료를 안받아서 가능한 비용으로 알고있음. 영화는 배우의 홍보용이라고함. 유명해져서 광고를 찍는 것을 노린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