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MBC 파업이 떠오릅니다.
그해가 제게 MBC구성원으로서의 마지막해였기에 더더욱 생생합니다.
저는 MBC스포츠국에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제가 생각하던 방송국의 느낌과 달랐습니다.
웃음이 넘치고 즐겁고 제게는 하루하루가 행복했습니다.
저의 꿈도 전공도 모두 들어맞으면서 부서의 분위기까지 좋았으니까요.
그러나 그 행복하던 모습은 그 해 여름 사라졌습니다.
파업을 하던 선배들은 대기발령 또는 드라마세트장 등으로 가야 했습니다.
지금은 부산 MBC 사장이 된 허연회 당시 스포츠국장의 짓이죠.
세트장으로 자신의 후배를 보내면서 스포츠 PD도 마케팅 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억지를 부리더군요.
그렇게 윗선의 비위에 맞게 자기마케팅을 잘했던 허국장은 iMBC대표이사를 거쳐 부산MBC사장까지 되었습니다.
벽 하나를 사이에 둔 옆 아나운서국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파업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모든 방송에서 배제되고
허연회 국장이 데려온 김성주가 메인캐스터로 활약하는걸 지켜봐야만 했죠.
당시 MBC구성원이었던 저에게 김성주는 언론장악 세력에 빌붙은 사람일 뿐입니다.
MBC정상화를 위해 싸웠던 이들은 파업종료 후에도 한직에 내몰렸는데
자신의 후배들을 짓밟고 그 자리를 차지한거죠.
김성주는 MBC 경영진들과 같은 세력으로 분류해야 맞습니다.
올림픽 당시 김성주는 '파업으로 어려운 상황이기에 MBC를 위해 중계하는게 옳은 일이라고 생각한다'는 말을 한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파업이 종료되고서는요? 종료전 이미 계약된 런던올림픽 중계 이후 현재까지도 김성주는 MBC의 메인캐스터입니다.
무슨 말이 더 필요할까요?
지금 MBC가 새로이 파업에 돌입했고 2012년 파업을 하던 선배들은 이번에도 역시 파업중입니다.
이제는 물러설 곳이 없습니다. 실패한다면 알통보수, 소세지빵 같은 뉴스조차도 그리워질 정도로 더 망가질지 모릅니다.
비록 이제는 그 곳에 몸담고 있지는 않으나 많은 분들이 MBC 구성원들을 위해 응원하고 힘을 보태주셨으면 합니다.
클리앙 펌
누구나 다 핑계는 있죠...우린 그냥 그사람의 말을 듣기보단 행동과 결과를 보고 판단하면 되는겁니다.
글킨하죠.. 파업이후에도 계속 해온건 사실이니까..
지금보니 뭔가 있긴있었을지도 모르겠네요.. 아나운서들이 있는데도 케이블이 아닌 공중파 스포츠중계에서 프리랜서를 쓰다니..
결국 어떤 사람들이 주류가 되느냐가 시민사회가 성찰해야 될 부분이죠.
이명박처럼 어떤 욕망과 반칙과 기회주의도 능력으로 볼 것인가.. 그것을 경계해 최소한의 도덕적 행위를 규범으로 볼 것인가..
사실 끔찍한 제국주의와 군부독재의 그늘을 벗어나 이 정도 성찰을 하게 된 우리사회가 참 다행이구나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14 월드컵에 김정근이랑 같이 했는데 그럼 이때는 아나운서국에서 가만 있던건지 아님 김정근은 노조가 아니었나요??
김성주 옹호하는 사람들은 레알 실상을 잘 모르니 그런거죠. 생계형 캐스터 프리랜서도 거절하는데 잘나가는 김성주는 아무 마음의 거리낌없이 그걸 직진으로 다 받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