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펙은 동일하게 4k 이지만
a7s3 영상은 뭔가 차분한 느낌이 드는데
a7c 는 6k 오버샘플링이라고는 하나 영상의 암부처리가 뭔가 살짝 a7s3와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크룩도 없고 한세대 전 바디라 당연한거 같기는 합니다만
둘다 정리하고 a7cr 로 가는걸 고민중인데
오직 영상의 관점에서 봤을때 (사진은 말할 필요 없겠지요?)
a7cr의 영상 퀄리티가 a7s3 와 비교해서 어떨지 궁금하네요.
더불어 S 계열과 C 계열 R 계열 바디들의 영상 품질 차이를 혹시 느끼시는 분 있으면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cohabe.com/sisa/3293602
a7s3 와 a7c가 영상퀄리티가 좀 차이 나는데 a7cr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허접고민
- [m10-p 50lux] 창덕궁 [3]
- 바리강 | 2023/11/19 02:11 | 1342
- 세일 마지막날 질렀네요. [3]
- ▶◀殘香 | 2023/11/19 01:35 | 1253
- 중형에서 35미리 사용할수는 [4]
- 작팔리 | 2023/11/18 15:41 | 1703
- 유료 복구 프로그램중에 소니 영상 복구 되는 프로그램 없나요? [5]
- boomboom7 | 2023/11/18 13:13 | 425
- 강릉 [6]
- passenger77 | 2023/11/18 13:49 | 1284
- 카메라 시장이 많이 죽긴 죽었나 봅니다. [5]
- 해린Loveⓕ | 2023/11/18 11:29 | 1055
- 윤대통령 순방비 666억 [29]
- 대유쾌마운틴 | 2023/11/18 10:26 | 1265
- 의외로 TCG 대회에 참여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 [5]
- 다이바 나나 | 2023/11/18 03:46 | 866
- ef 24-70(신계륵), rf 24-105 f4l 둘중 너무 고민입니다. [6]
- wngns527 | 2023/11/17 22:02 | 264
- 어제 세기몰에서 주문한 사무식 택배가 왔네요. [4]
- 0레드베리0 | 2023/11/17 21:25 | 1388
- [ 2023년 사진정리 - 1 ] [5]
- 연필⅔ | 2023/11/17 18:57 | 1600
- LTM 사용 후 무한대에서 촛점 문제 [4]
- 덜미잡힌개 | 2023/11/17 15:20 | 1718
- 사진 NFT 형태로 판매나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 궁금합니다 [9]
- PurpleRain™ | 2023/11/17 13:48 | 402
- 남들 하는 건 다 해봅니다.^^ [9]
- 둥근모난돌 | 2023/11/17 10:35 | 1496
- 소니 40g vs 시그마 35 2c vs 금계륵 [3]
- 3coolcats | 2023/11/17 00:15 | 672
답변이라기 보다는 좁은 저의 지식을 끄적여 봅니다.
A7C는 A7M3의 컴팩트 버전이라 A7S3보다 구세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암부처리가 다르다고 느끼신 부분은 영상의 컬러뎁스에서 A7C 8bit와 A7S3 10bit 차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표현가능한 색의 수가 다르다고 알고 있습니다.
영상 10bit 가능한 범위에서 품질차이라고 하면,
S / C /R이라고 하셨지만
간단히 영상전용 A7S3 / 올라운더 컴팩트 A7C2 / 고화소 컴팩트 A7RC 의 비교라고 할 수 있고,
정확히는 영상전용 A7S3 / 올라운더 A7M4 / 고화소 A7R5의 비교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아래 바디의 센서를 그대로 쓴 바디가 C바디이니까요.
여기서 영상의 차이는 센서 해상도의 차이로 비교될텐데, 제 입장에서 이들의 비교는 좋고 나쁘고의 차이보다 용도와 취향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깊게 파고들면 역시 스르륵은 장비꼰대들의 모임이라는 자조의 글이 올라옵니다.
어쨌든,
A7S3와 A7C의 영상비교가 세대도 넘나들고, 컬러뎁스(8bit/10bit)도 넘나들고, 센서 해상도도 넘나들고, 일반/컴팩트도 넘나들다 보니 이해를 돕기위해 끄적여 봤습니다.
자세한 비교는 전문가님들에게 넘겨드립니다.
추천합니다..
첨언하자면 s3 는 가지고 가시고 CR 기추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장문의 댓글 감사합니다.
사실 아빠진사로써 a7r4 대신 a7s3 선택한건 화소보단 저조도 사진/영상을 기대했고
구입당시 새로나온 크룩이나 스위블 lcd 등의 이유가 있었는데요
실사용 해보니 a7s3 의 사진 고감도는 a7c 보다 못한 수준이고
영상에서의 고감도는 iso 12800 정도 가면 눈에 띄게 우수하지만
그아래에서는 큰 이점이 없는데다가
그마저도 s-log 를 사용 하지 경우는 적용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같은 8bit 영상을 촬영 해도 좀 차이가 나는 느낌이었고
해외 유툽을 보면 a7s3 fx3 fx6 fx9 등 센서 스펙이 비슷한데도
영상 퀄리티가 다르다는 의견이 꽤 있어서 .. 혹시
S계열 카메라와 R/C/M 바디가 뭔가 스펙 외에 다른 점이 더 있나 궁금해서 적어 봤습니다. ^^
네.. 진리의 기추를 ^^
CR (=동일센서 R5)은 직접 사용해보지 않았고 S3와 유튜브 등 비교 영상 살펴봤습니다.
제 생각은
해상도 R5 > S3 = R5 오버샘플링으로 쨍한 화질
저조도 R5 < S3 = R5 저조도 노이즈 듀얼 ISO는 2500
프레임레이트 R5 < S3 = R5 4k 60p / S3 4K 120p (CR는 8K 촬영이 빠졌다고 들었습니다.)
롤링 셔터 R5 < S3
손떨방 R5 > S3
그 외에 소프트스킨과 신기능 유무로 비교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낮 촬영이 많고, 조명 컨트롤이 비교적 자유롭고 사진과 병행한다 = CR
야간 촬영이 많고, 오직 영상 몰빵한다 = S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