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딩 본식 원판 조명에, 엄브렐러를 쓰는 분들을 보면
투과형을 더 많이 보는듯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반사형 엄브렐러가
광원을 더 크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하기에
반사형을 선호하는데
투과형을 쓰는 분들도 이유가 있겠죠?
예상되는건 광원의 방향 (조명 헤드가 피사체 방향으로 향함) 때문일거 같기도 한데
투과형을 쓰시는 이유와, 웨딩 원판 조명에 있어 엄브렐러 반사형/투과형의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쉐이핑툴 (엄브렐러, 뷰티디쉬, 소프트박스 등) 없이 직광 때리는 분들을 더 많이 보는데
그분들도 그런 이유가 있을듯 하여 궁금합니다.
https://cohabe.com/sisa/2735842
엄브렐러 반사형 투과형 - 웨딩 본식 원판 조명
- [속보] 윤석열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24]
- kkks | 2022/12/15 15:15 | 1060
- 일본에서의 직장내 성희롱 방지 교육 첫 멘트.jpg [10]
- captainryan★ | 2022/12/15 15:08 | 1606
- 현시간 남대문 앞 도로 상황 [17]
- .`. | 2022/12/15 15:06 | 1512
- 역시 고대생이야 말 잘한다 [7]
- 최종병기 | 2022/12/15 15:01 | 1536
- 남자 연예인 남성 호르몬 수치.jpg [17]
- Azure◆Ray | 2022/12/15 14:54 | 569
혹시 반사형이 광원을크게 만들어준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직광 쓰시는분들은 편의성이겠죠 혹은 질감 차이가 없다고 느끼시거나... 다만 분명히 질감차이가 존재합니다 물론 우산 사이즈에 따라 좀 다르겠지만... 또한 안경반사가 불편하신경우도 있긴할테구요
투과형은 엄브렐러의 크기를 벗어나지 않고 그 안에서만 빛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정도 라고 생각 했고,
반사형은 우산을 편 각도를 따라서 빛이 반사되어 퍼져나간다 라고 생각을 해서 그런건데
생각해보니 제가 반사형/투과형 비교 실험을 해본적은 없었군요.
안쓰는 분들은 역시 안경반사때문이군요.
감사합니다.
반사든 투과든 180cm이하 모든 엄브렐라는 작은공간이나 가까운피사체 1인용입니다.
거리가 먼 원판같은 경우에는 주변부광량 저하가 생겨서 저는 안씁니다.
광량도 절반정도 줄어들고요.
안쓰는 분들은 광량 때문이군요. 감사합니다.
180투과 180반사 100반사 등등 이래저래 써봤는데
편하기는 투과가 편하더라구요 약간 내리꽂는 각도 안맞아도 별로 상관이 없으니까요
근데 저는 결과물은 반사가 더 일하기 좋았습니다
투과는 광량 낭비가 너무 많아서 제 장비로는 부케샷을 딱 한장밖에 못찍겠더라구요
역시 그렇군요. 투과형을 선호 하시는 분들은 방향 (각도)의 문제를 다루기 쉬우니...
그럼 지금은 100 반사 두개로 쓰시는지요?
(조명 관련해서 달아주시는 다른 댓글 보니 2개 쓰시는거 같아서요)
안경반사 때문에 돔 형 디퓨저 쓰고 있고
딱히 큰 불만은 없네요
확산 범위도 워낙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