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어알을 소금과 전통 간장으로 염장해 바람에 말린다 말린 후 참기름칠을 해준 뒤 다시 말리는 과정을 1개월 간 반복한다. 그렇게 탄생하는 '어란'은 최상품의 경우 한짝에 백만 원을 호가하기도 한다
임금님이 하사하던 음식이 아니라 임금님께 하사하던 음식이라면 명, 청나라 황제가 내린다는 것인가. (헛소리)
가끔 저걸 훔쳐먹는 200만원짜리 도둑고양이가 나타난다
캬루야!
임금님께 진상하는건.. 너무 진상이라ㅎ
저거 때문에 숭어 개채수 안늘어난다고 말이 있음
진상 아니냐
임금님이 하사하던 음식이 아니라 임금님께 하사하던 음식이라면 명, 청나라 황제가 내린다는 것인가. (헛소리)
임금님께 진상하는건.. 너무 진상이라ㅎ
아... 하사가 아니지
잘 안 쓰다보니 어휘력도 퇴화하네
가끔 저걸 훔쳐먹는 200만원짜리 도둑고양이가 나타난다
로 끓인 나비탕은 더 풍미가 좋은가
저거 때문에 숭어 개채수 안늘어난다고 말이 있음
전통방식이라 생산량이 많기가 힘든데...만드는 양이 영향 줄 정도였나? 아무리 알 있는 애들을 잡아도.
진상 아니냐
어란(漁卵)이 어란(御卵)이 되버렸네
캬루야!
임금님께..下赐를 한다고..?
*하사는 높은 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린다는 뜻이다.
섬광의 하사웨이...
상사
한번 먹어보고 싶네
동남아산도 있는데
좀 흙맛나더라
ㅈㄴ비싸...
하사하는 음식이라길래 사약인줄 알고 들어왔는데!
한마리에 몇천만원짜리 도둑고양이가 있다?
어서 기계화로 대량생산 해주세요
외국에선 카라스미라고 부르는 그건가.
비싸던데 한번 먹어보고 싶긴 하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