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등에서 첨보는건 구글렌즈로 이름을 확인해보는데
참,, 이름 X같이 지어놓은게 많네요.
이런것도 선조들이 지어놓은거니까 그냥 두어야하는지...
1. 중대가리풀

2. 개망초
개인적으로 좋아하고 참 이쁜데,,
예전 농사꾼들이 없애도없애도 또 밭에 자라난다고 개망할놈의 풀이라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음.

3. 큰개불알풀
일본이름을 그대로 직역해놓은거라고 하네요. 일본이름은 오오이누노인노(大犬の陰嚢)

4. 며느리밑씻개
힘든 시집살이에 며느리 구박하느라 이런걸로 밑을 닦았다는 전설에서 지어진 이름이라는데..ㅠ

5. 소경불알

.
조팝나무가 없네요
개불 도
개망초의 북한이름은... 돌잔치꽃....
어찌보면 북한이 이름은 이쁘게 짓는듯...
ㄷㄷㄷㄷㄷㄷㄷㄷㄷ
어릴때 길에서 흔히 보던 식물인데
오늘도 하나 배워갑니다
2번
개망초 는
저는 어릴때 부터 지금까지 계란꽃 이라 불렀는데..
^^
2번은 데이지꽃 아닌가요
생긴게 비슷하네요. 데이지가 꽃이 훨씬 크긴 하지만..
왜 고치냐는,, 저 이름 지은 거는 씹선비들이 아니네요,, ?
아름다운 이름인데,, 일본말 고대로 번역한거만 고치면 될 듯,,, ㄷㄷㄷㄷㄷㄷ
사연있고 괜찮지않냔 ㄷㄷㄷ
개불알풀은 고치지 않았나요?
토속적이고 재미도 있고 좋은걸요
여자분들도 그렇게 생각할까요?
저런 이름을 국민모두가 부른다면,, 애도 여자분도..
http://www.joongang.co.kr/article/23398290
비속어를 포함한 '개불알풀'은 '봄까치꽃'으로, '며느리밑씻개'는 '가시모밀'로, '소경불알'은 '알더덕'으로, '중대가리나무'는 '구슬꽃나무'로 바꿨다.
또, '중대가리풀'은 '토방풀'로, '개중대가리'는 '개미밥'으로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