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관람하지 않거나
어려워하는 어려운 (예술) 영화는 대체 왜 투자받는걸까?
돈도 벌기 어려운 그런 영화에 투자하는 이유는 뭘까?
당연하게도 투자자나 영화 제작자나
예술을 위해 수십억의 손해를 감수하겠다는 마인드를 갖진 않는다.
지적 허영심이나 예술 정신 채우겠답시고 이런 시장이 돌아가는게 아니다.
애초에 영화라는 것이 돈이 엄청 많이 들어가는 산업이라서
상업 영화든 예술 영화든
극소수의 예시를 제외하곤 전부 수익을 생각할 수 밖에 없다.
그런 영화들로 대체 어떻게 돈을 벌까?
예술 영화 시장의 구조를 보면 이해하기 쉽다.
의외로 쉽고 대중적이고 뻔한 장르 영화는
그 나라 바깥까지 나가서 흥행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그 분야를 가장 잘 만드는 가성비 갑인
할리우드 무비가 있기 때문.
덴마크의 코미디 영화를 하나라도 아는가?
적어도 한국에서는 아는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영화 애호가들은 '덴마크 영화' 하면
라스 폰 트뤼에나 토마스 빈터베르 감독을 떠올릴 것이다.
이들은 흔히 말하는 어려운 예술 영화 감독들이다.
아프리카 말리의 코미디 영화를 아는가?
그렇지만 영화 애호가 중에는 를 만든
압데라만 시사코를 아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쉬운 영화는 자국 내에서 큰 흥행을 이룰 수 있지만
국제적인 흥행을 이루기는 어렵다.
예술 영화를 즐기는 관객의 파이는 극소수지만
오히려 잘 만든 예술 영화가 국제적으로는 파이를 넓힐 가능성이 크다.
제작사도 나름 수익을 볼 가능성을 보기 때문에
예술 영화에 투자하는 것.
그리고 상대적으로 저예산이기도 하고.
그래도 블록버스터급 예술 영화도 가끔 대박을 칠 때도 있고 그렇지
하긴 우리나라도 예술영화로 외국에 이름날리다 장르영화로 확대된거니
해외 사람들은 무슨잘못을 했길래 유게이의 눈길을 받는거야
쉽게 말하자면 전세계 틈새시장 VS 내수 일반시장 이란 소린가?
할리우드 : 어려운 영화요? 우리 그거도 잘만들어요!
이야 신기하다
어른이 봐도 이해 못하는데 애들이 보기에 이해하기 어려운 게 예술영화라서 그럼
쉽게 말하자면 전세계 틈새시장 VS 내수 일반시장 이란 소린가?
유게이들아 국내에서 짝을 못 찾으면 해외로 눈을 돌려봐라
해외 사람들은 무슨잘못을 했길래 유게이의 눈길을 받는거야
그리고 상대적으로 저예산이기도 하고.
그래도 블록버스터급 예술 영화도 가끔 대박을 칠 때도 있고 그렇지
어렵고 대중적인 영화들은 모두 명작
학교에서 극장가서 예술영화 본적있는데
보고나서 애들 욕하더라
어른이 봐도 이해 못하는데 애들이 보기에 이해하기 어려운 게 예술영화라서 그럼
이해하기 쉬운 예술영화를 보려거든 웨스 앤더슨 영화 같은 거 봐야지
하긴 우리나라도 예술영화로 외국에 이름날리다 장르영화로 확대된거니
할리우드 : 어려운 영화요? 우리 그거도 잘만들어요!
저예산중에 대박치는게 저런것 때문에 나오는건가요?
그건 단순히 대중적으로도 꽤나 흥행해서
꼭 그런건 아닌데, 저런 영화들이 해외 유명한 시상식에서 상타고 입소문 나기 시작하면 대박치는거임.
이야 신기하다
그래서 82년생 김지영이 국제적으로 흥행을...
핫치쥬 니넨세이노 키무 지욘상...
오 그렇군 아예 전세계 소수 시장들이 목표라는거구나
오 신기해
잘 팔리는 영화는 이미 헐리우드가 다 잡고 있기 때문에
틈세시장을 노린다.는 의미인가
예술 영화 장르가 진짜 보다보면 생각이 많게 하는 작품도 많음.
그리고 보통 그런 영화들의 특징은 대게 1시간 내외로 작품이 끝나더라
예술영화도 재미진거많던데
공포영화도 비슷한 시장성을 지님
공포장르고 재밌으면 전세계에서 찾아봄
예술 영화 찍어서 수상 커리어에 올리려는 거도 포함된다던가 그래야 더 많은 대본들이 모인다고
저게 바로 롱테일 법칙임. 긴꼬리는 밟히기 쉬운법.
이야... 그래도 저런식의 장점이 있어서 다행이다
아시아에서는 한국영화가 할리우드 포지션 같은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