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력과 독해력이 낮다보니
단어 하나에 급발진 하는 경우가 잦다고함 (본인이 아는 단어만 가자고 해석하니 오류가 생김)
독서? 신문?
요즘은 아예 커뮤니티에 장문으로 올라오는 글도 읽기 싫어해서
요약 찾음 (읽을수록 무슨말인지 모르는 경우)
또
네이버에 검색하는것보다 유튜브에 검색하는걸 선호
어휘력과 독해력이 낮다보니
단어 하나에 급발진 하는 경우가 잦다고함 (본인이 아는 단어만 가자고 해석하니 오류가 생김)
독서? 신문?
요즘은 아예 커뮤니티에 장문으로 올라오는 글도 읽기 싫어해서
요약 찾음 (읽을수록 무슨말인지 모르는 경우)
또
네이버에 검색하는것보다 유튜브에 검색하는걸 선호
성함, 연세 같은 기본적인 어휘들은 직장 생활 3개월만 해도 머리에 박혀짐...
솔직히 나도 회사 생활 전까지 각출, 갹출,결재, 결제 같은 단어들 헷갈려하고 어려워했엇는데
직장 생활 몇달만 하다보면 익숙해져서 다 배워짐
근데 어차피 수능칠라면 저런거 공부 안할수가없을거같은데
구라같은데.......
저정도까지 모르면 진짜 일상생활이되나?
학생들은 언어영역 풀 수 있어?
진짜 일상생활하는데 갹출,각출 거의 안쓰니까ㅋㅋ
모르면 배우면 되는거고 자기 상황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저절로 배워짐ㅋㄱ
나는 모르는거 자체보다
알아야겠다는 생각자체를 안하는게 문제라고 봐
무식한데 부끄러워 할 줄도 모르고
개편하다 ㅋㅋㅋㅋ 정말편하다 ㅋㅋ
개편하다.정말편하다
성함, 연세 같은 기본적인 어휘들은 직장 생활 3개월만 해도 머리에 박혀짐...
솔직히 나도 회사 생활 전까지 각출, 갹출,결재, 결제 같은 단어들 헷갈려하고 어려워했엇는데
직장 생활 몇달만 하다보면 익숙해져서 다 배워짐
진짜 일상생활하는데 갹출,각출 거의 안쓰니까ㅋㅋ
모르면 배우면 되는거고 자기 상황에 따라, 필요에 따라 저절로 배워짐ㅋㄱ
어차피 학교에서 배우는거 태반이 쓰잘데기 없는건데
저런 기초적인거나 먼저 교육했으면
?? : 여기 본적을 적어주세요
??? : 본적없는데요
?? : ????
근데 어차피 수능칠라면 저런거 공부 안할수가없을거같은데
나는 모르는거 자체보다
알아야겠다는 생각자체를 안하는게 문제라고 봐
내 옆부서 신입은
입사한지 반년이 지나도 하도 실수를 많이 하니까 그 부서 선임이
"너 급여 받으면서 일하는 프로 아니야? 언제까지 아마추어처럼 할건데?"
하니까 급여가 뭐냐고 되물어봤다고 함
월급이라고 하니까 그때서야 이해했다고 함. 그리고 난 살면서 급여란 말을 들어본 적이 없는데 이상한 단어 쓴다고 불평했다고 ㅋㅋ
구라같은데.......
저정도까지 모르면 진짜 일상생활이되나?
학생들은 언어영역 풀 수 있어?
그 언어영역을 풀기 위해 문제 푸는 법을 공부함. 그때가 쟤네 인생에서 제일 단어 많이 알 때임
저런게 쌓이면 결국 계급간의 어휘차이 생기는거..
기적같은건 저기에 안맞는거같은데. 기적소리가 사라진지가 언젠뎅.
뭔 기적소리가 사라져. 배는 아직도 쓰는 말인데
아. 기차만 생각했는데 배도 기적소리구나. 그렇네.
지하철도 역 나갈 때 기적 울림
하지만 당시 배경을 그린 소설 같은 걸 이해하려면 필요하지. 기적 소리가 뿌뿌~ 소리라는 걸 어떻게 말해줄 거임
엥 울린다고? 내가 1호선 외부역 근처에 사는데 못들어본거 같은데?
나갈 때 빠앙~ 하고 울림
그것도 맞네. 그냥 너무 단순하게 생각했었나.
그랬나? 걍 일상이라서 듣지 못했던거려나.
개편하다는 재밌네 .ㅋㅋ
위화감 모르는게 말이 됨?
평소에 대화하면서 위화감이라는 단어가 나오는 빈도를 생각하면 모를 수 있음.
???
국어로 배우잖아...
대학다닐 무렵 교수님이 우리 학부생들 가르칠 때 저런 표정 짓더니
이제 많이 내려왔네 ㅋㅋㅋ
더블플러스굿~
근데 이거를 학생들 탓이나 디지털 탓으로 돌릴려면
도서정가제 폐지하고 책값을 내리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