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연구 잘 할 것 같은 사람을 대학에서 지원해야 되는데
무의미한 스펙 놀음에 인재들이 재능을 썩히고 있음
미국경제학회에서 젊은 경제학자 상 받은 아조씨도
유학파인데 4년 만에 다시 해외로 떠남
과학 부문 노벨상 수상자들만 봐도
평균 나이가 40대 초반임
자신의 연구를 정립하는데 몇 년 쓰고
그걸 증명하는데 몇 년 또 쓰면 먹는 나이가
40대 초반이란 소리임
반면에 한국의 대학 신규 임용 교수의 평균 연령은 40대 중반
가장 열정적이며 두뇌 회전 빠르고 창의적일 시기에
스펙 쌓고 무의미한 경력 한 줄 채우는데 쓰고 있음
노벨상 수상자들이 몇 년, 몇십 년에 걸쳐
자신의 연구 완성했던 평균 연령일 때도
한국에선 연구 시작도 못했음.
서울대 자연대 학장도
"해외 연구자들은 아무리 늦어도
30대 초반에는 교수로 시작해 독자적인 연구를 시작한다.
그 때가 가장 연구력이 높기 때문이다"
라고 경고했지만 아무것도 안 바뀌는 중
한국은 왜 과학 부문 노벨상 수상자가 적은지
궁금해 하는 사람 있길래 써봄
프로게이머를 예로 들자면
연습만 줄창 시키다
20대 중반은 되어아 첫 데뷔전 시켜준다 보면 됨
사실상 이쯤이면 한국에서 나오기 보단
"한국인" 노벨상이 나오길 바라는게 현실적일려나
뭘 연구하고 싶은지랑 연구 성과물 가져오라 하고 지금도 존나 알차게 챙겨오는데 스펙 비중이 너무 높음. 필요 없다는 건 아닌데 스펙이 보조가 아니라 커트라인이 되어버리니까 연구 잘 할 사람 뽑는데 연구가 주가 아니게 됨
인맥
경쟁에 찌든 삶
사실상 이쯤이면 한국에서 나오기 보단
"한국인" 노벨상이 나오길 바라는게 현실적일려나
정확히는 한국계. 혹은 한국 출신
아니 한국인으로 인정받고 해외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활동하는 사람도 많으니까
그럼 교수를 채용할때 뭘보고 채용하져
그리고 연구를 잘할거 같은 사람이라는건 어떻게 판단하는거져?
인맥
뭘 연구하고 싶은지랑 연구 성과물 가져오라 하고 지금도 존나 알차게 챙겨오는데 스펙 비중이 너무 높음. 필요 없다는 건 아닌데 스펙이 보조가 아니라 커트라인이 되어버리니까 연구 잘 할 사람 뽑는데 연구가 주가 아니게 됨
지원자나 후보가 한둘이 아닐건데. 그 사람들중에서 한명을 골라낼려면 실적과 스펙을 가지고 정렬할 수 밖에 없잖아. 어차피 그 나이면 내놓을수 있는 성과물은 굇수 같은 놈들이 아닌이상 거기거 거긴데. 그 중에 걸러낼려면 스펙가지고 볼 수 밖에 없겠지.
그러니까 너말은 신규 교수들의 연구물들은 거기서 거기니까 스펙으로 기준을 정할수 밖에 없다 라는 말?
포트폴리오를 열심히 봐야지 스펙 위주로 비교하는 게 이상하다는 거임. 미국 명문대 탑텐이랑 한국 탑쓰리랑 평균 나이가 10년 가까이 차이 남. 스펙이 한국이 넘사벽이라 이렇게 되고 있음. 인구가 한국이랑 미국 비슷한 것도 아닌데 구분 힘들다는 건 대학 쪽의 변명이지. 연구 지원해야 하는 곳에서 연구원 볼 줄 모른다는 소리인데. 해외에선 되는데 한국에선 못해서 10년이나 늦게 스타트 끊는 건 어떻게 봐도 비정상임
그러니까 스펙이 주객전도가 돼버리니까 그 부작용에 대해서 얘기하잖아? 말이 안통하네..
몰루
경쟁에 찌든 삶
애초에 대학에서 평가를 취직률 같은걸로 해버려놓고는 이제와서 저러는것도 웃기지
문과계열이건 이과계열이건 당장 성과가 나오기보다는 꾸준히 토대를 닦는 기초학문보다 당장 가시적 성과가 나오고 돈벌이 하기 좋은 쪽에 지원이 많이 들어가니 그렇지 뭐...
대학 평가기준에 산학협력이나 취업률이 들어가서 어쩔 수 없다고는 하지만 뭐...
지금 상황에서 노벨상이건 기초학문 토대 다지기건 좋은 성과를 요구하기는 어렵지...
당장 경영학과나 경영계열 단과대와 인문, 사회계 학과들과 단과대에 학교가 들이는 공의 차이만 비교해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