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449860

더럽고 역겨운 쪽본이 브루마를 입기 시작한 이유


 

 

는 물론 딱히 더럽고 역겹고 그런 거 없었음.

 

일단 유머는 아무튼 브루마는 일본옷이고 아무튼 일본옷이니까 변태같음이라는 몇몇 어르신들이 유머임.

 

 

 

 

어쨌든 브루마, 정확히는 블루머에 대해서 이야기하자면 여성해방운동에 대해서 논해야함.

 

 


6a00e553a80e108834019aff2a9573970c-800wi.jpg

 


6f6cc1e3565b93898f38d94437d96b9f.jpg

 

 

19세기 들어서 여성의 패션은 대단히 화려해졌지만, 동시에 여성을 구속하기도 했음.

 

같은 코르셋을 봐도...

 

남자 역시 코르셋을 차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몸매 교정 수준에 그쳤던 반면에 여성들이 차는 코르셋은 정말 목숨이 위험할 정도인 제품이 많았음.

 

어린 여자애들에게도 몸매교정과 여성다움을 위해 코르셋을 채우기도 함.

 

10살도 안 된 여자 꼬꼬마가 코르셋을 차고 자야한다니, 제정신입니까 19세기? 그런 느낌.

 

 

 

물론 이런 나름의 아름다움 추구가 일부 사람들이 상상하듯 남성들이 여성 머리채 잡고 개패듯이 패가며 억지로 입힌 것은 아님.

 

원래 성별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은 이쁜 것을 추구하고, 이때 대세는 날씬한 허리여서 남자든 여자든 코르셋차고 낑낑거렸다는 거.

 

문제는, 남성은 사회에서 일할 다른 편한 옷들이 있지만 여성들에게는 그런 옷이 없다는 거였음.

 

이건 확실한 문제였음.

 

 

 

왜냐하면 당시 사회라는 것이, 여성들이 7천 파운드 써가며 드레스를 입는 건 칭찬해도 1만 파운드를 일해서 벌겠다고 하면

 

'ㅉㅉ어디서 여자가 사회생활을 하려고 함?'

 

이라고 말하던 시대였기 때문.

 

 

 

9591c95a05d3789bd8a6173d17e1db4bae01c23352d7779e3b0dbfc7cfef0c0702005360f77774a3407e3d38a3a86a614ad92f323df4c21ab078f60580b4e73f0640cb472069e9ee7e6804c817baee22853eb4702dd5fcc1da9c9a79967a66b5.jpg

 

 

예를 들어 작가 에밀리 브론테는 폭풍의 언덕 출간 후

 

'ㅋㅋ뭔 여자가 소설을 씀ㅋㅋㅋ니네 오빠가 쓴 거 아님?ㅋㅋㅋㅋ'

 

같은 말을 듣기도 했음.

 

 

 

그외에도 여성 작가들은 출판사에서 남성 작가와 비교했을 때 여러모로 푸대접을 받았음.

 

글쓰기라는 육체노동이 아닌 영역에서도 그랬음.

 

 

 

EVANS-M-A-01-01554.jpg

 

 

그래서 메리 앤 에반스 같은 작가들은 걍 남성 필명(조지 엘리엇)으로 활동하기도 함.

 

'여자가 무슨~~~' 하는 개소리 걍 안 듣고 살려고.

 

물론 그렇다고 해서 역시 일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 처럼 여자가 글 쓴다고 묶어 놓고 패던 시대는 아님.

 

멀쩡히 잘 활동하던 여성 작가들이 많았지만, 어쨌든 객관적으로 보면 남성 작가에 비해 여성 작가들의 사회활동은 빡셌음.

 

당시 작가라고 하면 나름 식자층에 먹고 살만한 사람들인데도 그랬으니 다른 계층의 여자들은 더 그랬겠지?

 

 

 

사설이 길었는데,

 

암튼 이런 모습을 보던 어떤 여성 운동가는 '이게 다 여성들이 자유롭게 사회활동을 하면서 입을 수 있는 편한 옷이 없기 때문이다!!'

 

라는 생각을함.

 

 

 

그래서 블루머를 만듬.

 

그 사람의 이름은...

 

 

AmeliaBloomer-sig.png

 

 

'아멜리아 블루머'

 

임.

 

ㅇㅇ맞음. 블루머는 이 사람 이름을 따온 거임.


아멜리아 블루머는


 A. 여성의 육체적 자유는 자유로운 복장으로부터 시작


B. 육체적으로 자유로워지면, 경제적으로도 자유로워질 수 있음


C. 경제적으로도 자유로워 지면, 정치적으로도 자유로워질 수 있음!


이란 생각으로 블루머 보급에 노력을 기울임


(20세기 중반 이전까지도 재산에 따라 표를 달리 주는 지역이 많았음. 빈민 1명이 1표를 행사할때, 부자 1명이 200표를 행사하기도 함.)

 

 


그리고 이 사람이 만든 최초의 블루머는...

 

Bloomers.jpg

 

 

1024px-First_Lady_Betty_Ford’s_“Bloomer_Flag”_(cropped).jpg

 

 

 

이렇게 생겼음.

 

1850년대 등장한 원시고대 블루머라고 보면 됨.

 

 

 

그리고 저런 블루머를 본 그 당시 사람들, 정확히는 주류 사회, 좀 더 좁은 영역으로 말하자면 남성들의 반응은 이랬음.

 

 

800px-Turks-in-Gotham-1851-Bloomer-parody.jpg

 

와, 터키1아시아년들이 문명인들의 땅에서 염1병을 떠네요ㅋㅋㅋㅁㅊㄷㅁㅊㅇ~~!!


19~20세기 유럽에서 아시아는, 소아시아 지역의 중동, 터키 or 동아시아 둘 중 하나인데, 이중 전자 즉 터키, 중동 등의 아시아는 아프리카보다 조금 나은 수준일 뿐인 미개미개 음란음탕 비문명인으로 취급받았음.)

 

대충 그런 느낌의 만평

 

 

A_poser_for_a_bloomer_John_Johnson_political_&_satirical.jpg

 

 

 

야만스러운 동양의 문화에 물들어 순진한 처녀들을 타락시키고 아버지와 남편에게 개기게 만드는 옷으로 취급당했음.

 

당시에는 동양=신비로움, 미개, 우가우가, 야만, 말할 줄 아는 원숭이들이 사는 곳.

 

뭐 이런 취급을 받았는데, 블루머는 미국인인 아멜리아 블루머가 만들었지만 씹고 우가우가 원숭이들이나 입을 옷이라고 한 거임.

 

사실, 여기서 말하는 동양은 오늘날 중동 지방을 일컫는 거긴 한데 옐로멍키나 중동깜댕이들이나 당대 서구권에서 취급은 또이또이 했음으로...

 

어떤 면에서는 더 나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진짜 동양은 신비롭다는 긍정적인 이미지라도 있지 중동인근은 ㄹㅇ미개야만인 취급을 받았음.

 

 

 

 

 

암튼 욕처먹으면서 뭔 탕녀의 옷이니 이젠 여자들이 자전거도 타겠다느니 하면서 개까임.

 

물론 당시에도 모든 남자들이 저 재랄을 떤 건 아님.

 

어쨌든 블루머는 1850년대 등장해서 1900년대, 즉 50년의 세월을 거쳐 그럭저럭 인정을 받게 됨.


사실 그 50년 동안


'그런데 블루머는 남자의 바지를 모방한 것 같음. 이건 남성성을 모방한 것! 따라서 여성해방의 옷이 될 수 없음!'


'블루머는 남자의 바지를 모방했음! 즉 이건 남자가 되고 싶다는 욕구를 표출하는 사탄의 옷! 입는 여자들은 다 미친여자들임!'


'


등등 온갖 구설수가 있었긴 하지만 뭐 아무튼 결국엔 그럭저럭 보급, 정착이 됨.

 

 

unnamed.jpg

 

 

무려 블루머를 입고 자전거를 타도 되게 됨.

 

님들이 아는 우주갓명작 만화 '엠마'의 주인공 엠마는 막권 외전에 가면 자전거를 타면서 남주와 꽁냥거림.

 

그런 꽁냥거림도 블루머의 역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보면 됨.




사실 엠마 막권의 자전거 장면은 고증이 상당히 잘 된 장면임


1895년 즉 엠마의 배경과 그렇게 차이나지 않는 시기에 여성해방운동을 목적으로


'블루머를 입은 여성들의 자전거 경기대회'


도 열렸었거든. 원래 미국에서 열려다가 협박받아서 영국으로 개최지를 옮기긴 했지만...


암튼 이 경기를 시발점으로 여성들이 자전거를 타는 것이 보다 자유롭게 되었음.




워킹클래스의 여성인 엠마가 한 명의 사람으로서 독립하고, 사랑을 이뤄내는 만화의 내용을 보면


마지막 권에 엠마가 자전거를 타는 것은 여러가지로 참 의미깊다 하겠음.




 

그리고 드디어 본론인데,


이 블루머라는 옷이 1850년으로부터 대략 50년 후 극동의 옐로멍키들이 사는 섬나라에서 주목 받게 됨.

 

 

 

220px-Inokuchi_Akuri.jpg

 

 

일본 여자 체육의 어머니라 불리는 이구치 여사.

 

아님 뭐 걍 이구치라고 불러도 되고.

 

어쨌든 이 사람은 나름 괜찮은 가문에 태어나서 미국과 유럽을 유학한 당대 일본 여자 엘리트였는데,

 

이 사람이 블루머를 보고 '오 이거 좋은듯?' 하면서 일본에 보급이 시작됨.

 

정확히는 유럽의 체조를 보급하려고 했는데, 당시 일본 여학생들은 하카마를 입고 있어서 체조하기 영 곤란했기에 블루머를 도입함.

 

 

 

d69c7b20180514039177daa6884b1c4b72ebff737ffb7053007b05f83e718bba814c03b38c2f0d6dcefa895c02d8645d2e1eb6f51d790e219f3287bad8f5bff37837557c1a58b063d062ec342eea2388115ce9a424ddb2579cd7b364be00d1febff6bb5e7c6ef0547d78e56.png

 

이게 하카마임.

 

 

 

 

'아니 그런데 1900년대 일본이라고 해도 1850년대 미국, 유럽보다 꼰대기질은 더 심할 것 같은데 어캐 블루머가 보급됨?'

 

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건 재미있게도 전혀 예상 외 이벤트가 영향을 끼쳤음.


 

201905022191077327_10.jpg

 

 

1904년 러일전쟁을 겪으면서 메이지 정부는 국민 체력 증진에 큰 관심을 쏟았음.

 

건강한 인간이 건강한 인간을 낳을 것 아니겠음?

 

그리고 건강한 인간은 건강한 병사가 되겠지?

 

아님 건강한 관료, 작가, 농부, 어부, 조종사, 의사...


 

 

건강한 육체를 위해서는 운동이 필요하고, 그런 운동을 위해서는 운동복인 블루머를 입는 것이 좋았음.

 

건강한 여자가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을 것 아님?

 

그래서 몇몇 일본 사회의 어르신들이 구시렁거려도 걍 씹고 보급이 됨.

 

정부가 밀어주는데 어쩔꺼야?

 

 

 

암튼 이때 보급된 블루머의 모습은...

 

Sport_clothes_designed_by_Inokuchi_Akuri_01.jpg

 

 

1280px-Girls_first_basketball_team_-_NARA_-_285405.jpg

 

 

img_sports1.jpg

 

 

이랬음.

 

 

 

img_sports2.jpg

 

 

다이쇼 시대가 되면 놀랍게도 반팔과 종아리 노출이 그럭저럭 용인되기 시작함.

 

사담이지만 당시 교복 중 체육복은 상급생이 직접 만들어서 하급생에게 주었다고함.

 

그게 가정 수업 중 하나였다네.

 

남학생들은 어땠을지 모르겠다.

 



그런데 이쯤에서 혹시 누군가는 이런 생각을 할 수 도 있음.





'않이;; 왜 하필 체조임? 그냥 축구나 농구로 체력키울 수 도 있는 거 아님???'


'축구복 같은 건 좀 더 건전할 것 같은데, 왜 하필 음흉하게/비효율적이게/이상하게/하필이면 체조를 고른 거임?'


라는 의문을 말임.


그리고 이에 대한 답은


'경쟁의식은 전쟁을 위해 남겨야 하니까!'


라고 할 수 있음.



무슨 소리니? 싶을 수 있음.


사실 오늘날 우리가 월드컵이나 WBC, 롤드컵등을 보면서 느끼는 국가간대항의식을 고작 스포츠에서 느끼는 것을,


20세기 중반 이전까지의 사람들은 명예가 없다고 생각했음.


축구나 농구 등 많은 경쟁스포츠들의 역사는 대부분 하층민들이 즐기던 것이라 더욱 품위가 없다고 생각하기도 함.


즉 사람 대 사람, 공동체 대 공동체에서 느끼는 경쟁의식은


결투나 전쟁 등 좀 더 '명예로운 행위'로 발산하는 것이 옳으며,


축구나 농구 따위로 진지하게 경쟁하는 것은 명예도 품위도 없는 우스운 일이라 생각한 거임.






근대 체조의 발상지로 여겨지는 곳이 군국주의, 전체주의, 내셔널리즘이 강했던 북유럽 스웨덴, 독일 등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음.


따라서 역시 그 당시 근대국가였으며, 군국주의, 전체주의가 강했던 일본제국이란 나라가 건강한 신민을 만들기 위해 체조를 선택하고,


원활한 신민의 '생산'을 위해 체조복까지 고려한 것은 당시 역사의 흐름에서 자연스러운 것이었음.




즉 일본제국이란 국가가 무슨 유전자단위로 새겨진 일본인 특유의 변태본능으로 인해 하필 체조복에 꽂혀서 블루머를 직도입한 것이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국가를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될 부속품으로서의 머리텅텅 몸튼튼한 국민을 원했고, 그 방법론으로 체조를 많이 선택했으며,


일본의 블루머는 그런 역사의 흐름을 타고 정착된 옷이라 볼 수 있음.





물론 그렇다고 해서 블루머를 무슨 일제군인 양산을 위한 기능복 따위로 생각하는 건 곤란함.

 

축구나 농구 같은 스포츠가 아니라 전쟁을 위해 호승심, 경쟁심을 아끼라는 시대 속에서 일본에 정착하게 된 옷이기도 하지만,


 어쨌든 블루머와 함께 여학생들을 위한 체조가 같이 보급되는 등 블루머는 일본 내 여성들 인권해방과 증진에 나름 족적을 남겼음.




일제의 위정자들이 뭔 생각을 했던간에 당시 현장에서 뛰던 여성운동가들과 여성들에게 있어 블루머는 건강한 여성의 신체를 자유롭게 노출할 수 있는...


말하자면 여성의 신체 자유는 여성에게 있음을 옷 자체로 보여주던 의복이었음.

 

그래서 메이지-다이쇼-쇼와 무렵 동화를 보면,

 

여자가 주인공일 경우 상급생이 입는 블루머를 보고 부럽다고 생각하거나, 멋있다고 느끼거나 뭐 그런 묘사도 있음.

 

왜냐하면 좀 사는 집의 똑똑하고 진짜 자유롭고 당당한 언니 누나들이 입는 옷이 블루머였으니까.

 

img_sports3.jpg

 

 

어쨌든 종전 이후에도 좀 더 짧아졌다 뿐이지 사실 큰 노출은 없는 걸 볼 수 있음.

 

그러다가 1960년대 후반 들어서면서 슬슬 우리가 흔히 아는, 즉 몇몇 씹딱후들이 좋아하다 못해 환장하는 밀착형 블루머가 나오게 됨.

 

 

7c1df6a6f2d814369105e70e7fd7ab2199123a66868c2708372a562cf9420fb23c857c866731afcb1d62936599b9931503af473cc29b6201216f1823066fc3f42b00f5c70d1cdabe7ecf31d8385c5a8a8fff99b04bea684cf6ebd4fe38a2db7e.png

 

 

이런거.

 

 

 

예상 외로 보급당시부터 여학생들이 싫어한다거나, 학부모들이 좀 꺼려했다거나 암튼 반응이 썩 좋은 건 아니었음.

 

그런데도 90년대까지 이른바 일본식 밀착형 '브루마'는 보편화 됨.

 

이에 대해선 이것저것 말이 많은데...

 

뭐 일본 여자 배구팀 유니폼을 보고 유행했다거나, 당시 가장 큰 체육복 업체가 만들던 타입이 밀착형 부르마가 걍 구하기 쉬워서 그렇게 됐다거나...

 

하지만 어느것도 정설은 없음.

 

 

 

어쨌든, 세상이 변하면서 아무래도 저런 밀착형 브루마는 좀 아니다 싶은 여론이 강해지다 못해 도저히 무시못할 정도가 되면서,

 

82925053.jpg

 

밀착형 부르마는 대충 20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체육복 하의는 걍 평범한 반바지가 됨.

 

 

 

 

이걸 두고 종종 한국에선

 

'브루마가 반바지 되는 걸 두고 여론이 반대했다더라. 으휴 역시 쪽본은 변태들의 나라다.'

 

이런 소리가 들리는데 골방 오딱후들이 후욱후욱하면서 자기들끼리 씩씩거렸다면 모를까 걍 평범한 여론 자체는 대부분 환영하는 분위기였음.

 

 

 

174680bcf7352328d.jpg

 

 

사실 이쯤엔(이누야샤 애니판이 2000년에 나옴.) 이미 밀착형 부르마가 점점 저물어가던 시기고,

 

오타쿠 컨텐츠에서나 보편적으로 보이던 시대였음.

 

왜냐하면 어차피 창착물임으로 밀착형 부르마를 입히던 뭘 입히던 심의만 어기지 않으면 걍 보기 좋으면 땡이니까.

 

 

 

어쨌든 간략히 정리하자면, 일본식 밀착형 브루마는 여성해방운동을 위해 1850년대 만들어진 블루머가 원조임.


블루머라는 옷은 근대사속에서 '건강한 국민 생산을 위한 부품'으로서의 기능을 본의아니게 잠시 맡게 되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 블루머는 정말로 지난 세기 동안 여성해방운동에 나름의 족적을 남겼음.

 

남자들이 성착취를 하기 위해서 만들어낸 옷이 아니었고,


시대의 한계상 주로 남자였던 지배자들이 건강한 애기를 많이 낳아라~라는 목적을 위해 블루머를 보급하고, 체조를 보급하려고 했어도




그 시작은 여성들이 스스로의 몸과 복장에 대한 자유를 주장하고자 만든 옷이었으며, 선택 역시 여성들이 스스로 했음.

 

일본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최소 1960년대 까지는 걍 펑퍼짐한 반바지였음.

 

그러다 1960년대 후반~00년대에 밀착형 부르마가 좀 유행했었는데 왜 그랬는지 이유는 명징하게 정리된 건 없음.

 

밀착형 부르마는 보급 당시부터 이미 말이 많았고 전부 다 입은 것도 아니고 퇴출이 시작되자 빠르게 사라짐.

 

 

 

 




아 그리고 가끔 일바지, 통칭 몸뻬바지를 두고


'사실 몸뻬바지가 블루머에서 유래 된거거든요...' or '사실 블루머가 몸뻬바지에서 유래된거거든요...'


라면서 이러쿵 저러쿵 할 때가 있는데 사실무근임.




몸뻬바지는 일본 동북지방 작업/방한복에서 유래된 옷임.


일제가 조선인 일본인 대만인 가리지 않고 노동력을 쥐어짜내기 위해 보급시키다가


1941년에 외지 즉 한반도에서 착용이 강제되었고


1942년에는 내지 즉 일본 열도에서도 착용이 강제되었음.




그래서 '창가의 토토' 같은 당시 일제 아동으로서 삶을 그린 동화책 등을 보면


고학년이 되거나 해서


'드디어 블루머를 입는구나!!'


하고 좋아했지만 근로령이나 보국령이니 하는 명령으로 인해 꼬꼬마 초딩도 몸뻬바지를 강제로 입게 되면서 시무룩해하는 장면이 나오고 그럼.


참고로 노파심에 이야기 하지만 '창가의 토토'는 딱히 넷우익적 작품은 아니고 좀 밝은 아홉살 내 인생 같은 소설임.




아무튼 몸뻬바지를 입어야 하는 것이 법이었지만 가수나 댄서는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봐줘서 이걸로도 말이 많았던 모양임.


당시 일제 최고 댄서 였던 조선인 최승희가 1944년 도쿄 제국극장에서 공연하는 것을 두고


'아니 내지의 일본인인 우리도 몸뻬가 아닌 옷을 입으면 단속당하는데 아무리 유명인이라 해도 조선인이 기깔나게 입고 공연하는데 왜 단속안함??'


이런 징징거림도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음.


 






사설이 또 길었는데 아무튼 끗.

 

댓글

  • 극극심해어
    2022/05/04 22:36

    다스카보고 내ㅑ용 다 까먹었다

    (E7CRlp)


  • 게르마늄피부
    2022/05/04 22:37

    아무튼 브루마는 좋은데 사라져서 아쉽군

    (E7CRlp)


  • 않이즈기요
    2022/05/04 22:38

    복식사와드

    (E7CRlp)

(E7CRl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