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www.youtube.com/embed/WCmVtAdKtUA
Jared Polin 유투브에 게시된 테스트 영상입니다.
각 회사 상황마다 차이점은 있지만 이제는 af 성능이 촬영에 크게 단점으로 작용하는 바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천천히 재생해 보면 니콘 af 포인터만 실 촬영보다 한템포 늦은 위치에 표기되는 것이 확인됩니다.
포인터가 딜레이되서 표시되는 것과 실 촬영시 af 위치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포인터 위치는 한템포씩 처지는데 af는 제대로 들어가고 있는것으로 보여서 더 의문입니다.
이제는 다 상향평준화가 되서
다 좋은거 같에요
네 이제 바디들이 af는 열일 해주니 촬영자는 촬영에 집중하면 될 듯 하네요.
아주 가끔 먼산 보거나 포인트 놓칠 때만 잡아주면 될 것 같습니다.
니콘 종특입니다.. ㅋ62 ㅋ72 다 그래요.. ㅜㅜ
포인터는 늦게따라가는데 실제 검출는 눈에서 이뤄집니다.
펌업으로 한번 좋아졌으니.. 좀더 좋아지길 바래야겠죠?
포인터 늦게 표기되는 것 때문에 안써본 유저들은 니콘은 af 아직도 못따라간다고 하더라구요..
안습 ㅠ
원래 안써본애들이 말이 많죠. ㄷㄷ
뭔가 몰아일체되서, 자기가 사용하는데 최고라고 스스로 세뇌를 해야지 자존감이 높아지는건지 뭔지..
1세대부터 잘 쓰고있지만.. 특정 부분에서 부족했던건 사실이기도 하잖아요 ㅋ 시리즈가 ㅎㅎ 그래도 사진을 못찍을 정도는 아닌데.. ㄷㄷ
저도 1세대에서도 eye af 활용해서 촬영을 오래 해와서...생각보다 정확도 좋고 58n 만 사용하는데도 핀나간 사진없이 일 할 때 잘 사용했었습니다. 물론...막 동적인 촬영은 아니지만 정확도면에서 불편함은 없었네요.
저도 아침에 보고 올리려고 했는데 한발 늦었군요,.^^ 그래서 소니동에 올렸습니다.^^:;
최대한 동일 조건에서 하느라 3사 동일 "와이드 AF" 로 했다지만.. 예를들어 니콘은 3d 트레킹도 있고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최고의 눈 AF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때문에.. ㄷ ㄷ
암튼 엄청난 장비들에 비교하고 편집하느라 어려웠을텐데.. 이렇게라도 비교해줘서 넘 고맙네요. ㅎ
저의 개인적인 느낀점은..
니콘에서 이제야 정말 "빠른 피사체"를 찍을 쓸만한 바디가 나왔다!! ㄷ ㄷ
빠르고 정확한 렌즈들도 더 많이 나오면 좋겠습니다. ㅎㅎ
다행히 저렇게 정신없게 움직이는 피사체찍을일이 없다는게..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