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267872

a7m4 4k 60p 크롭에 대한 대안?

문득 든 생각인데요.
좋은 해상도의 광각 + 밝은 조리개 렌즈를 바꾸면 크롭이라도 쓸만하지 않을까 싶더라구요.
이사금? 맞나요? 24.4로 크롭 환산하면 50미리처럼 쓸 수도 있을 것 같고.
물론 광각을 위해선 또 무슨 16-35 같은걸 추가해야겠다는 필요를 느낄 것 같긴합니다만.
그래도 이렇게 쓰는 것도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었네요.
뻘글 죄송합니다 ㅠ

댓글
  • 뚝배기브레이커 2021/12/13 12:42

    1.5크롭이라 24mm는 환산 36mm입니다~ 16-35 마운트해도 환산 24-52mm 밖에 안돼서 초광각으로 찍으려면 12-24 같은걸 갖고 와야 되는게 문제죠 ㅎㅎ

    (xG6IVL)

  • 뚝배기브레이커 2021/12/13 12:43

    거기다 12-24 같은 렌즈는 전면에 필터를 못 써서 ND필터가 필수적인 영상에서는 애로사항이 많죠

    (xG6IVL)

  • TekunV 2021/12/13 12:44

    m3 쓸때 느낀건데요. 크롭 모드 4k 화질이 풀픽셀 대응이라서 화질이 은근 좋습니다.
    그리고 크롭모드에서 롤링 셔터가 대폭 감소되구요.
    그래서 영상만 보면 6600 사느니 a7m3 사는게 훨씬 좋더라구요.(노이즈, 풀프레임, 크롭모드시 롤링셔터,발열 등등)
    풀프레임 렌즈 대비 크롭 렌즈가 훨씬 저렴하기도 하지만 사이즈 무게도 작아서 은근 도움이 됩니다.ㅎㅎ

    (xG6IVL)

  • 술라이만 2021/12/13 12:47

    저도 영상에 대해 문외한이지만 전문이 아닌이상 일반적으로 영상에서 밝은 조리개 렌즈를 활용할 일이 많이 있나 싶네요.. 셔터스피드도 60p면 1/125 정도로 쓸테고 nd필터를 다양하게 들고 다니지 않는 한 어느정도 조리개를 조이고 쓰기도하고 영상은 사진에 비해 해상력차이를 느끼기 힘들기도 하구요.. 물론 전경 후경 흐림의 정도차이는 느끼기 쉬우니 낮은 조리개 값을 쓰면 그 차이는 많이 느껴지겠지만 문제점은 그냥 크롭이 되어진다는것 자체이지 않을까 싶네요.
    전문가들은 어차피 s3나 fx 사실테니 큰 문제는 없으실테고 저같이 사진 메인에 가끔씩 영상 찍는 사람들에게 m4가 필요한데 크롭되는게 불편하긴 할터라 전 m4 투바디 하면 광각 17-28 하나랑 50gm 하나 쓸 예정입니다

    (xG6IVL)

  • 이프릿 2021/12/13 13:07

    어차피 영상 찍을 때는 super35 기 때문에 크롭렌즈 사용하셔도 됩니다. 시그마 18-50 같은거 좋죠.

    (xG6IVL)

  • Eagleheart 2021/12/13 13:11

    광각보다는 크롭렌즈에서 해답을 찾으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xG6IVL)

(xG6IV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