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에게 '왜 한쪽 눈을 감아도 어두워지지 않는가' 라는 질문을 받고
처음엔 황당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상당히 흥미로운 질문이라고 생각했다.
즉 아이가 말하려는 것은 망막에 검출되는 포톤의 시그널은 한쪽 눈을 감은 것으로 반감될 텐데
어째서 그것을 '느끼지 못하는가' 라는 뜻이었다
그런 식으로 생각해본 적조차 없었기 때문에 잠시 논의를 해보았다.
'외부의 광량이 변하지 읺았음을 알고 있기 때문' 이라고 말하는 것이
생물학적이지 않은 고차원의(환원적이지 않은, 토톨로지(있는 그대로의)적인) 답변이겠지만,
기초적인 답변이 있었을까.
혹은 사실 항상 '한쪽 눈의 풍경'으로만 인식하고 있다고 답하는 것도
한 가지 답변이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한쪽 눈만으로 보고 있다.
불을 끈다 = 아무것도 안 보인다
불을 켠다 = 잘 보인다
광원이 약한 불을 켠다 = 어둡게 보인다
즉, 광량으로 인해 시야가 달라지는데,
어째서 빛을 받아들이는 기관인 눈이 2개에서 1개가 되었는데 시야가 어두워지지 않냐는 질문
아이가 정말 똑똑한듯 ㄷㄷ
일상에서 당연한것에 의문을 가지는 태도야 말로 진정한 과학자의 자세인 것이지.
그런의미에서 대학원생의 자격이 충분한 아이야 허허허
뇌에 달려있는 포토샵이 존나 열일을 하고있기 때문이죠
똑똑하네
대학원 보내자
아하 뭔말인지 이해했어
어 난 한번도 생각 못해봄
아하 뭔말인지 이해했어
어 난 한번도 생각 못해봄
똑똑하네
대학원 보내자
너어는..
저것과 비슷한 것으로 어떻게 캐패시터는 오프된 상이면서, 도체가 되는가 이것도 있지..
그리고 서실은 한눈으로 볼때랑 두눈으로 볼때 광량이 다름.
뇌에 달려있는 포토샵이 존나 열일을 하고있기 때문이죠
일상에서 당연한것에 의문을 가지는 태도야 말로 진정한 과학자의 자세인 것이지.
그런의미에서 대학원생의 자격이 충분한 아이야 허허허
왜 애한테 그래
그런말하지마
못됐어
제네바 협약 위반이다
왜 유게이는 세1ㄱ스를 못하지?
유 퍼킹!!
합연산이 아닌 거 아냐?
왼쪽 오른쪽이 각각 광량을 받는다고 해서 결과값이 각각 광량의 더해짐이 아닌 거 같은데
단위면적당 받는 광량은 같기때문이겠지
아 그럴 수도 있겠다.
그래서 각 눈을 합쳐서 이미지를 만들지만
각 눈의 기능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낸거아님?>
나는 멍청이라 사실 잘 모르고 그냥 추측해봄 ㅎㅎ
그냥 양쪽 눈 둘다 감으면 어두워진다.
안어두워지는건 그나마 눈 한쪽은 켜져있으니까 그런거.라고 설명하면 너무 무성의한가...?
'근데 왜 빛이 2개가 들어오다가 1개만 들어오는데 안 어두워지냐'가 질문이기 때문에
아이의 질문을 완전히 잘못 이해했음
눈 1개의 광량으로 충분하기 때문?
왜 거울은 좌우만 반대가 되고 상하는 그대로인가
그래서 눈 한쪽감으면 한쪽이 커버하고 있는 시야 부분은 완전히 어두워지잖아
근데 양쪽이 둘다 보고있는 시야의 광량이 달라지는건 아니니 그부분을 생각한거아닐까
불알 한 짝 없어도 애 낳을 수 있는 거랑 같은 원리
중복되는 광량은 알아서 뇌에서 쳐내는건가
내가 한 쪽 눈에만 백내장 걸려 보니 알겠더라.
뇌가 자동으로 잘보이는 쪽으로 텍스처를 입혀서 한 쪽 눈이 흐리게 보인다는 사실을 숨겨.
기본적으로 뇌에서 받아들이는 광량이 왼눈+오른눈이 아니기 때문
눈 두개가 각각 하나의 카메라기 때문이지...
그러니까 빛의 총량이 줄어들었는데 왜 어두워지지 않죠? 에 대한 답은
빛의 양이 준 만큼 그를 인지하는 센서, 망막의 면적이 같이 감소하였기 때문이야
2개의 카메라를 켜고 하나를 껐다고 어두워지지 않음.
눈은 각각의 할당을 공유하지 않으므로.
심리학자나 뇌신경학자 같은 분인가?
지금 옆에 심리학 개론 동영상 강의 듣고 있는데 이런 글 보니까 뭔가 신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