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 자게에서 가능이면 적폐거나 토왜.
상식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인과 관계를 증명하는 건 불가능.
백혈병이든 뭐든 암 발병 원인 자체를 찾는게 의학적으로 불가능,
병원가면 의사들도
왜 암에 걸렸는지 궁금하지도 않고 중요하지도 않고
그냥 암에 걸렸으니 그 이후가 중요함.
zzPio2021/12/07 14:19
가능하죠
토토로냐2021/12/07 14:20
급성백혈병과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는 쉽지 않을것 같네요
평소에 건강하던 사람도 갑자기 백혈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안타깝네
조상의지혜2021/12/07 14:21
백혈병이 20대에 갑자기 걸리기도 하는군요
제2021/12/07 14:22
"소아 백혈병 환우 돕기 행사" 이런거 예전에 들어보시지 않으셨나요?
토토로냐2021/12/07 14:23
백혈병은 혈액암의 일종이니까요
나이랑은 아무상관이 없죠
ASA1002021/12/07 14:25
더 어린아이도 갑자기 걸립니다.
사실은 걸린걸 늦게 발견하는거죠.
Premium™2021/12/07 14:35
국딩때 사촌형이 백혈병으로.....
자연인차차2021/12/07 14:35
제 아는 여자동생이 20대에 급성백혈병 걸려서 애 둘남기고
그만...
무서운병이더라구요..ㅠ ㅠ
ayus2021/12/07 14:21
아니 이런건 짤만 퍼오지말고 청원 링크라도 퍼오셈;
청원이라도 해주게
험프리박2021/12/07 14:22
제 조카 며느리가...
우리 집에 같이 살았는데...(아들 둘 있음)
24살에 백혈병(급성)으로 죽었습니다.
하루는 팔 여기 저기에...
멍 자국이 보이더라구요...
병원 가보라고 하니...
큰 병원 가보라고...
종합병원 갔더니..
백혈병이라고...
입원하고 딱 일주일만에 죽음...
우리나라에 급성 치료 가능한 분이..
몇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의사 잘 만나야 삽니다..
[♩]녹색짐승2021/12/07 14:35
백혈병 치료가 무슨 외과수술치료도 아니고
뭘 치료가 가능한 분이 몇 분...;;;
황금야채2021/12/07 14:22
안타깝지만 연관성을 입증하는건 힘들듯.
제2021/12/07 14:22
급성백혈병이 보통 연간 3000건 이상 진단됩니다. 하루 열 건씩 진단되는 거죠. 코로나 접종 이전에도.
접종 이후 건보공단 자료 한 번 비교해보면 될 것 같네요. 물론 의심만 되어도 코드가 달리니, 확진된 케이스로 한정해서 숫자를 세어보면 될 듯.
제2021/12/07 14:23
음....급성 진단은 그것보다 좀 적을 수 있겠네요. 하여튼 많이 생기는 병입니다. 주위에 있으면 알게 되고, 주위에 없으면 모를 뿐.
lIlIIIlIlIIIlI2021/12/07 14:24
화이자 아니라도 급성으로 걸리는 경우가많으니 인과밝히기는 불가능할듯
본넷위의길냥이2021/12/07 14:25
제 아는 지인도 코로나 백신 접종후 30살의 젊은나이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걸림
윤서방네.동네떡집2021/12/07 14:26
넌 맞았냐?
조상의지혜2021/12/07 14:35
통계자료 보니 감염,전파자 과반수 접종자인데다
국내 접종률 높아질 수록 감염자수 폭증한거 보고
맞을 필요 없겠다 싶어서 안맞았어 그니까 꺼져
nuln12021/12/07 14:27
자게 백신옹호론자들은 꼭 백신맞길^^
제2021/12/07 14:27
1999년 기사입니다.
혈액암] 백혈병 대표적...연간 2천명 발병 http://www.mk.co.kr/news/home/view/1999/03/16394/
급성 백혈병은 미성숙 골수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계 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주로 성인에 많고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백혈병 발생빈도는 96년 한해동안 2200명 정도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54%,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 33%를 차지하고 있다.
오래깊이2021/12/07 14:29
그렇다고 백신 안맞을수도 없고...
저도 2차접종하고 2일차에 두통이
너무 심해 이러다가 죽는게 아닌가
싶더군요...그래서 마눌이 원인규명한다고
고생할까 생각이 들어 혹시 죽으면
바로 장례치르라고...
본인이 아닌 가족이 부작용으로 사망
또는 고생하면 열불날듯
가능
부작용이면 가능
가능한데 자게에서는 불가능
.
여기 자게에서 가능이면 적폐거나 토왜.
상식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인과 관계를 증명하는 건 불가능.
백혈병이든 뭐든 암 발병 원인 자체를 찾는게 의학적으로 불가능,
병원가면 의사들도
왜 암에 걸렸는지 궁금하지도 않고 중요하지도 않고
그냥 암에 걸렸으니 그 이후가 중요함.
가능하죠
급성백혈병과 백신과의 인과관계를 밝히기는 쉽지 않을것 같네요
평소에 건강하던 사람도 갑자기 백혈병에 걸리는 경우가 있으니....
안타깝네
백혈병이 20대에 갑자기 걸리기도 하는군요
"소아 백혈병 환우 돕기 행사" 이런거 예전에 들어보시지 않으셨나요?
백혈병은 혈액암의 일종이니까요
나이랑은 아무상관이 없죠
더 어린아이도 갑자기 걸립니다.
사실은 걸린걸 늦게 발견하는거죠.
국딩때 사촌형이 백혈병으로.....
제 아는 여자동생이 20대에 급성백혈병 걸려서 애 둘남기고
그만...
무서운병이더라구요..ㅠ ㅠ
아니 이런건 짤만 퍼오지말고 청원 링크라도 퍼오셈;
청원이라도 해주게
제 조카 며느리가...
우리 집에 같이 살았는데...(아들 둘 있음)
24살에 백혈병(급성)으로 죽었습니다.
하루는 팔 여기 저기에...
멍 자국이 보이더라구요...
병원 가보라고 하니...
큰 병원 가보라고...
종합병원 갔더니..
백혈병이라고...
입원하고 딱 일주일만에 죽음...
우리나라에 급성 치료 가능한 분이..
몇 안된다고 하더라구요..
의사 잘 만나야 삽니다..
백혈병 치료가 무슨 외과수술치료도 아니고
뭘 치료가 가능한 분이 몇 분...;;;
안타깝지만 연관성을 입증하는건 힘들듯.
급성백혈병이 보통 연간 3000건 이상 진단됩니다. 하루 열 건씩 진단되는 거죠. 코로나 접종 이전에도.
접종 이후 건보공단 자료 한 번 비교해보면 될 것 같네요. 물론 의심만 되어도 코드가 달리니, 확진된 케이스로 한정해서 숫자를 세어보면 될 듯.
음....급성 진단은 그것보다 좀 적을 수 있겠네요. 하여튼 많이 생기는 병입니다. 주위에 있으면 알게 되고, 주위에 없으면 모를 뿐.
화이자 아니라도 급성으로 걸리는 경우가많으니 인과밝히기는 불가능할듯
제 아는 지인도 코로나 백신 접종후 30살의 젊은나이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 걸림
넌 맞았냐?
통계자료 보니 감염,전파자 과반수 접종자인데다
국내 접종률 높아질 수록 감염자수 폭증한거 보고
맞을 필요 없겠다 싶어서 안맞았어 그니까 꺼져
자게 백신옹호론자들은 꼭 백신맞길^^
1999년 기사입니다.
혈액암] 백혈병 대표적...연간 2천명 발병
http://www.mk.co.kr/news/home/view/1999/03/16394/
급성 백혈병은 미성숙 골수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계 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은 주로 성인에 많고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한다.
우리나라 백혈병 발생빈도는 96년 한해동안 2200명 정도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 54%,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이 33%를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고 백신 안맞을수도 없고...
저도 2차접종하고 2일차에 두통이
너무 심해 이러다가 죽는게 아닌가
싶더군요...그래서 마눌이 원인규명한다고
고생할까 생각이 들어 혹시 죽으면
바로 장례치르라고...
본인이 아닌 가족이 부작용으로 사망
또는 고생하면 열불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