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전쟁 당시 전쟁 기간 4개월 사이에 소련군 542명의 모가지를 딴 걸로 유명한 핀란드의 저격수 시모 해위해
근데 사실 시모 해위해가 저격을 실시한 거리는 생각외로 우리가 생각한 것 만큼 긴 거리는 아니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망원조준경을 안 씀 + 핀란드의 지형 특성상 숲이 많아서 장거리 저격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고
시모 해위해 본인의 증언과 전장 기록들을 교차검증해 보았을 때 그가 저격을 한 거리는 대략 100m ~ 200m 정도의 거리였다고 한다
즉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장거리 저격을 전문으로 하는 저격수보다는 지정사수에 가까운 위치였다고 할 수 있다
근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소음기도 없던 시절에 100m 안팎에서 소련군 모가지를 따고 다녔는데도 안 들켰다는 소리가 된다.
전설적인 저격수는 맞지
안들키고 500명 넘게 조졌잖아
"망원조준경을 안 쓰면 어떻게 멀리 있는 적을 맞추죠?"
"가까이 가서 쏘면 됩니다"
워낙 가까워서 금방 들키긴했는데 신들린 스키 솜씨로 순식간에 빠져나간걸로 알고있음ㅋㅋ
정보) 들키면 기관단총으로 쓸어버리고 튀었다
팩트) 몰래 쏴죽이면 저격이다.
괜히 스코프빼고 눈을 입에 물고 쏜게 아니구나
눈을 왜 입에 머금었을까 궁금함
코나 입에서 나오는 김때문에 그랬나
마즘
뭐야 더 개쩔어요
고스트네
산 같은데서 총쏘면 막 울려서
ㅅㅂ 어디서 쏘는거야? 할때
대가리 신속하게 다 따버린건가?
저기는 추운 지방이다보니 귀마개 이런거 많이들 할거고
바람불 때 쏘지 않았을까 귓가에 바람소리때문에 잘 못들을테니
워낙 가까워서 금방 들키긴했는데 신들린 스키 솜씨로 순식간에 빠져나간걸로 알고있음ㅋㅋ
그럼 아쳐나 어새신이라기보단 라이더네 ㅋㅋㅋ
저양반은 은신스킬 만렙이였지..
근데 스나이퍼는 은신스킬이 생명줄이라.
실제로 스나이퍼에게 더 중요시되는건 사격실력보다 오랫동안 숨어서 버틸 수 있는 능력이라더라.
마지막에 들켰잖아.
곧 전쟁끝나고 살아남지만.
전설적인 저격수는 맞지
안들키고 500명 넘게 조졌잖아
"망원조준경을 안 쓰면 어떻게 멀리 있는 적을 맞추죠?"
"가까이 가서 쏘면 됩니다"
팩트) 몰래 쏴죽이면 저격이다.
'화기류 or 원거리 투사체로 몰래 죽이면' 조건을 성립해야 저격이던가
안중근 의사께서 근거리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것도 저격에
들어가는거 같더라
목격자가 없으면 암살이다 랑 같은 말이었군
정보) 들키면 기관단총으로 쓸어버리고 튀었다
캐릭터가 SSR이라 그런지 스킬 밸런스가 개사기임
은신을 하는데 부무장을 기관총으로 했다고?
전설 맞네
망원경을 왜 안쓰시죠?
반사광때문에 쏘기전에 들켜요.
입에 눈은 왜 우겨넣는거죠?
안그러면 입김때문에 쏘기전에 들켜요.
사냥꾼 출신이라 진짜 사냥하듯이 임무수행했음....
리빙포인트) 안들키고 다죽이면 암살이다
안 잡히면 안 들킨거임.
저때 요즘같은 장거리 저격수 개념이 있었나 궁금하네..
마린이 500킬 했다고 해봐. 개 쩐거지.
스나이퍼가 아니라 어새신 클래스였고만
사실은 들켜도 들고있던 기관단총으로 조짐
혼자 콜옵하신분;;
총성이 크게 들릴텐데 계속 죽어가고 찾아도 사라지고 공포영화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