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과학자가 학술 교류를 위해 일산신도시의 한 연구단지를 찾았다.
과학자들은 한국의 모습이 신기한 듯 차 안에서 계속 바깥을 쳐다보고 있었다.
이후 러시아 과학자들이 사석에서 말하길
(소련의 아파트 단지)
"이 동네는 생긴 게 꼭 고향 같네요."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과학자가 학술 교류를 위해 일산신도시의 한 연구단지를 찾았다.
과학자들은 한국의 모습이 신기한 듯 차 안에서 계속 바깥을 쳐다보고 있었다.
이후 러시아 과학자들이 사석에서 말하길
(소련의 아파트 단지)
"이 동네는 생긴 게 꼭 고향 같네요."
"당신들의 아파트를 배꼈으니 당연하지요."
"자, 잠깐만... 서, 설마!"
"후후후, 신 소련에 오신 걸 환영하오. 이제부터 당신의 소련은 없소. '우리의 소련'이오."
'우리'? '당의 소련'이다. 이 자를 굴라그로
수상할정도로 아파트를 사랑하는 나라
따뜻한 남쪽나라에서 마더의 향기를 느낍니다.
공업화 급하게하는 과정에서 주택난이 심각했거든
그리고 평야가 많아도 사람이 살만한 평야는 그렇게 않많아서+겨울에 오지게 추워서 중앙난방이 절실해서
수상할정도로 아파트를 사랑하는 나라
따뜻한 남쪽나라에서 마더의 향기를 느낍니다.
"당신들의 아파트를 배꼈으니 당연하지요."
"자, 잠깐만... 서, 설마!"
"후후후, 신 소련에 오신 걸 환영하오. 이제부터 당신의 소련은 없소. '우리의 소련'이오."
'우리'? '당의 소련'이다. 이 자를 굴라그로
신 소련에 굴라그는 없다. 이 자를 철원으로 보내라
근데 우리나라야 지형이 산악이 졸라 많고 작다는 점때문에 효율성최고!로 아파트가 발전했다지만
소련이나 러시아쪽은 땅덩이도 넓고 평야도 많을텐데 아파트가 발전햇나보네
공업화 급하게하는 과정에서 주택난이 심각했거든
그리고 평야가 많아도 사람이 살만한 평야는 그렇게 않많아서+겨울에 오지게 추워서 중앙난방이 절실해서
모아놓고 관리하기에는 아파트 같은 집단주택이 최적이긴 하죠.
일단 기립하세요.
오지게 추운데 그게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소련도 도시는 주택난이었음
그래서 비슷비슷한 디자인으로 아파트를 대량 생산한거지
그래도 소련 사람들은 다챠라는 개인 별장까지 무상으로 받을 정도긴 했음 땅이 넓으니
진짜 ㅈ옷같음 뭔놈의 산이
단기간에 거주구역을 많이 만드려면 상당히 좋은 방법이긴 하지.
...발깃♡
아파트가 비싸고 아파트에 주로 사는 나라가 전세계적으로 적긴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