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하드 넣고 라이트룸 작업 한 뒤에 외장하드 다른 pc에 끼우면 보정값 그대로 되있나요?
안되있으면 뭘 같이 가져와야하나요?
https://cohabe.com/sisa/2183142
외장하드 넣고 라이트룸 작업 한 뒤에 외장하드 다른 pc에 끼우면 보정값 그대로 되있나요?
- 알백마 좋아도 너무 좋네요~ [3]
- 카우보이~ | 2021/10/08 23:37 | 1580
- 중국 사교육의 현장 ㄷ ㄷ ㄷ ㄷ ㄷ [16]
- CRimSon™ | 2021/10/08 22:43 | 1428
- 터미네이터 진짜 후속작 [17]
- 내이름은걘디 | 2021/10/08 20:35 | 1197
- 트릭컬) 정식오픈까지 시간벌이용 [11]
- 십장새끼 | 2021/10/08 16:14 | 1720
- 오토바이 사고로 27살에 왼팔을 잃은 여성 [22]
- AnYujin アン・ユジン | 2021/10/08 14:19 | 1264
- '오징어게임' 에미상을 휩쓸 것... [10]
- 亨通父 | 2021/10/08 12:15 | 1429
- 일본 고딩 커플이 여름을 즐기는 방법 만화.JPG [12]
- 고양이키우고싶다 | 2021/10/08 10:32 | 1427
- 초콜렛은 몇개까지 관통될까? [9]
- Stanla | 2021/10/08 07:31 | 1751
- 충간물에 대한 의문.jpg [12]
- 계란으로가위치기 | 2021/10/08 01:28 | 1110
- 오래된 코드 뭉치의 위험성.gif [3]
- AG-2C 세이렌 | 2021/10/07 23:00 | 1503
- 얘네 누구? [7]
- 지발 | 2021/10/07 20:49 | 1711
- 사이좋은 개새들. [10]
- 사이가도(彩画堂) | 2021/10/07 18:55 | 1546
- 버튜버) 1달 넘어서 이미지가 너무 멀어진 그녀 [12]
- 사오맞음 | 2021/10/07 16:52 | 1112
일단 첫번째 질문은 아니오입니다. 임포트 된 파일은 수정 없이 원본으로써 그대로 남습니다. 수정 된 파일은 내부적으로 알아서 관리 됩니다.
보정 된 값으로 사진 파일이 필요하시면 Export(내보내기)를 통해서 다른 곳으로 저장하면 됩니다.
말씀하신 상황에서는 외장 하드 폴더 한곳에는 원본을 모아두고 임포트, 다른 폴더에는 보정 된 파일들을 익스포트를 통해서 내보내시면 될 듯 합니다.
작업은 PC1에서 하고
익스포트 하는게 너무 오래 걸려서 PC2에서 하려고 해서
보정 적용된 값들 그대로
PC2에서 익스포트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 저는 변경 된 사진을 말씀하시는 줄 알았네요.
아래 나스님 말씀대로 카탈로그와 관련 데이터 모두를 복사하면 되는게 맞죠.
카탈로그와 관련 된 데이터는 c:users유저이름pictures 에 있었는데 이게 디폴트 값인지은 모르겠습니다. 그냥 현 카탈로그를 다음 이름으로 저장을 누르시면 아마 카탈로그가 있는 부분이 나올겁니다. 거기 여러 폴더와 카탈로그 파일을 통채로 복사하시면 됩니다.
다음 이름으로 저장=>다른 이름으로 저장
라이트룸 보정값이 있는 폴더를 통채로 복사하시면 됩니다.
저는 작업할때 작업폴더건마다 새 카탈로그 만들기한 후 그 작업폴더안에 들어가서 원하는 해당이름을 만들어서 작업을 합니다. 그러면 그 작업폴더내에 해당이름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Helper.lrdata, Previews.lrdata 폴더 및 해당이름.lrcat파일이 생기는데
이것들을 옮기려면 작업 폴더채로 모두 복사하시면됩니다.
즉 작업폴더안에 카탈로그파일을 만들어두었다면 손쉽게 그대로 복사해서
외장하드에 넣어서 작업하거나 다른 pc에 복사후 작업하셔도 되고, 작업한것은 다시 원래 pc에도 덮어쓰기 하면 되고요.
lrcat 파일자체를 실행하면 해당 카탈로그로 바로 실행됩니다.
즉 첫번째 질문은 가능하다 입니다.. 제가 그렇게 하는걸요. ㄷ
위에 말씀드린대로 라이트룸을 열고 새 카달로그를 만드는것을 그 외장하드 안에 만들고, 파일들을 찾아서 불러오기 하고 작업하면 되십니다.
네 됩니다
저도 그렇게 씁니다
설명은 윗분이 다 하셨으니 패스
저는 노트북이랑 데스크탑에서 번갈아가며 작업하는데, 그러려면 보정상태가 동기화되어야 해서 어쩔 수 없이 외장하드에 넣고 쓰는 중입니다
이거 말고 나스에 넣어서 쓰는 방법도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