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바디로 온후에 가장 어려운게 촛점입니다...
어느정도 분간이? 되는 물체들은 나름 쉬운데
근접한 물체 같은 경우에는 좀 힘들 더라구요
특히 1미터 이내에 있는 물체들;;; 그리고 특히 이중 상의 구분감이 흐릿한? 그런 물체들...
촛점 잡는 팁이 있으시다면... 한 수 부탁드립니다.
https://cohabe.com/sisa/2148666
RF 촛점 잡는 팁 있으신가요 ?
- zv-e10 구입 지금이 적기 일까요? [4]
- 깍두기97 | 2021/09/11 12:22 | 1273
- 국민지원금 사용처 [6]
- ThinkM | 2021/09/11 11:05 | 1291
- 이하늬가 장첸과 안된 이유 [10]
- Victus | 2021/09/10 21:15 | 481
- 치트키 시전하는 레고 [28]
- 368000683 | 2021/09/10 14:57 | 1192
- 오랜만에 사무실 책상 정리한후.JPG [53]
- 민준아아빠얌~♡ | 2021/09/10 13:11 | 1274
- 사고 하나로 완전 망하게 된 업종jpg [22]
- Azure◆Ray | 2021/09/10 10:54 | 949
- 반박불가 도쿄 올림픽 개막식 하이라이트 [8]
- 7275595088 | 2021/09/10 04:38 | 394
- imf에 대해 올바르고 꾸준한 교육이 필요한이유 [18]
- 필리아-00 | 2021/09/10 00:37 | 435
촛점링 까치발이 왼쪽으로 갈수록 가까운 촛점
오른쪽으로 갈수록 원거리 촛점이고
까치발 위치별로 대략적인 거리도 숙지하고
복잡한 패턴은 같은 거리에있는 단순한 패턴으로 촛점잡은후 구도 잡고 찍기
그리고 연습이요
사람에따라 손가락 능력치가 대단할수도.
삽손일수도
어떤것이던 단순한 연습이 아닌 생각하고 연구하는 연습을 하면 언젠가는 다 실력이 늘더군요.
손,팔을 쭉펴면 어깨부터 손끝중지까지 길이가 거의 70cm 됩니다. 이정도에서 최소 촛점 거리 잡으시고 찍으세요
예전 방식이라 어쩔 수 없이 연습으로 감을 키우는 것이 최선일 것입니다
광량이 확보된다면 조리개를 최대한 조이는게 유리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