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124152

이론상에만 존재했던 "초고체" 의 이차원화가 해외에서 성공

다운로드.jpg

 

일반적인 물질은 고체 / 액체 / 기체상태로 나뉘고

여기서 기체상태를 뛰어넘는 제4의 상태를 플라즈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220px-Liquid_helium_Rollin_film.jpg


극단적인 상황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형태로

"초유체" 라고 부르는 형태가 있음.

 

액체헬륨을 극단적으로 만들면 일반적인 액체상태를 뛰어넘는

초유동체가 만들어지는데 이 형태는

 

"미시물리학" 을 "거시물리학"으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형태임

 

 

fountain_1.jpg

 

초유체는 마찰이 존재하지 않으며

컵에 담으면 컵의 표면을 거슬러 올라가 밖으로 흐르고

물결이 치지 않으며 파동이 발생하지 않는 박망상태에서도 흐르고

심지어는 빛이 내뿜는 광자의 힘만으로도 흐르기도 함.

 

 

고체액체기체_그림1.jpg

 

그런데 헬륨4 를 절대영도에 한없이 가까운 0.2K 까지 내리면 초유체가 되지만

여기서 더 절대영도에 가깝게 내리면 고체화가 되는데 이 때 헬륨은

일반적인 고체와 다르게 "초유동 고체화" 일명 "초고체" 가 됨

 

단단한 고체가 흐른다는 개념을 동시에 가지는 초유동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게

그냥 머리속으로 상상이 가지 않는다면 그게 정상임

 

 

001_m.png

 

어쨋든 이런 초고체가 이론이 아닌 발견으로 증명된건 꽤나 오랜 일인데.

지금까지의 초고체 상태는 1차원적으로만 거시적 관찰이 가능했음.

 

 

002_m.png

 

이번 오스트리아 대학 광학, 양자 아카데미의 연구팀은

1차원적으로 증명된 초고체 헬륨에 광학핀셋을 이용해

초고체 헬륨을 이차원의 형태로 증명하는데 성공함.

 

 

 

그래서 이걸 이후 인류가 어떻게 쓸 수 있느냐고 하면

그냥 그런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증명이지 이걸 어디에 쓸 수 있거나 하는 개념은 아님

댓글
  • AquaStellar 2021/08/24 14:41

    노란색의 원자가 빈 공간으로 에너지의 손실 없이 1의 힘으로 1만큼 움직일 때
    여전히 고체이면서 녹색의 원자가 손실 없이 1의 힘으로 1만큼 "흐를 때" 이론상 흐르면서 고체상태임

  • 루리웹-7866477043 2021/08/24 14:33

    T-1000임

  • 고양이는 맛있어 2021/08/24 14:32

    흐르는 고체면 푸딩아니냐

  • AquaStellar 2021/08/24 14:30

    그 개념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면 당신도 갈 수 있다 물리학 대학원


  • 사라다이
    2021/08/24 14:28

    이제 어떤 논문이 틀린 말을 했는지 알아 볼수 있음.

    (kDclR4)


  • 고양이는 맛있어
    2021/08/24 14:29

    고체가 어떡게 흐를수 이떠 !

    (kDclR4)


  • AquaStellar
    2021/08/24 14:30

    그 개념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면 당신도 갈 수 있다 물리학 대학원

    (kDclR4)


  • 고양이는 맛있어
    2021/08/24 14:32

    흐르는 고체면 푸딩아니냐

    (kDclR4)


  • AquaStellar
    2021/08/24 14:33

    이렇게 한명이 대학원에서 멀어집니다

    (kDclR4)


  • 루리웹-7866477043
    2021/08/24 14:33

    T-1000임

    (kDclR4)


  • 고양이는 맛있어
    2021/08/24 14:33

    아 젠장 곤약인가

    (kDclR4)


  • 보석과 강철같이
    2021/08/24 14:47

    산 정상의 빙하도 흐른다. 떠내려간다고 하는게 정확할진 모르겠지만.

    (kDclR4)


  • 잠그미
    2021/08/24 14:31

    고체가 흐른다니 이게 뭔소리야 ㄷㄷ

    (kDclR4)


  • 동원짬찌
    2021/08/24 14:37

    '흐른다'라는 개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 거지
    애초에 뭘 놓고 '흐른다'라고 하는 거야

    (kDclR4)


  • 동원짬찌
    2021/08/24 14:39

    '중력에 따라 움직인다'라고 한다면 초유동체의 '컵 벽면을 따라 움직인다'라는 현상이 설명이 안 되고
    '형태를 잃고 움직인다'라고 한다면 고체의 성질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다'에 위배되고
    '흐른다'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느냐에 따라 다를 거 같은데

    (kDclR4)


  • AquaStellar
    2021/08/24 14:41

    노란색의 원자가 빈 공간으로 에너지의 손실 없이 1의 힘으로 1만큼 움직일 때
    여전히 고체이면서 녹색의 원자가 손실 없이 1의 힘으로 1만큼 "흐를 때" 이론상 흐르면서 고체상태임

    (kDclR4)


  • rollrooll
    2021/08/24 14:46

    유♂체

    (kDclR4)


  • 극극심해어
    2021/08/24 14:46

    이런게 하나하나 쌓여서 상상도 못했던 발전이 이루어지겠지

    (kDclR4)


  • 하늘의나라
    2021/08/24 14:47

    컵밖으로흐르면 따를때 운동에너지만큼 이동한후에 액체상태로 모여있는건가영

    (kDclR4)


  • WaitingForLove
    2021/08/24 14:47

    전기도 예전에는 아 그냥 그런게 있다고만 알았지
    후에는 산업의 중추지만

    (kDclR4)


  • 푸른고등어
    2021/08/24 14:47

    유리는 과냉각된 액체라서 사실 흐르고있다랑 비슷하게 이해하면 되나?

    (kDclR4)

(kDclR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