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뉴스에서는 "가해자 A군은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더욱 충격을....", "범인 A씨는 명문대 생으로 밝혀져 충격을...", "A씨는 대기업 사원으로 밝혀져...."
익명-jQ2NTI12021/07/24 13:44
애초에 고등수학 자체가 대학 준비 과정임. 원래 실생활에서는 중등 수학까지만 해도 충분함.
소서리2021/07/24 13:41
고등교육에 너무 필요없는 게 많다.
미분적분 이거 대학 가서 배워도 되지 않나?
익명-TQwMDkx2021/07/24 13:52
어떤 교육인지 궁금하다.
애당초 사회성 교육은 인위적인 학교 교육이 아닌 집단 생활을 서로의 가치관이 결합하몃 사이좋게, 싸우며 서로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거든.
그냥 쉽게 애들끼리 놀라고만 하면 되는 것임. 어른은 애들이 지나치게 싸울 떄 살짝만 간섭하면 되는 것이고
진짜는 이건데 근데 우리는 이런 걸 교육이라고 안 하더라고....
소서리2021/07/24 13:41
고등교육에 너무 필요없는 게 많다.
미분적분 이거 대학 가서 배워도 되지 않나?
풍야42021/07/24 13:43
근데 그걸 대학에서 배우면 공대 교육과정은 4년으로 부족하지 않나 싶음.
익명-jQ2NTI12021/07/24 13:44
애초에 고등수학 자체가 대학 준비 과정임. 원래 실생활에서는 중등 수학까지만 해도 충분함.
fnfldnpqtkd2021/07/24 13:45
한국이 불필요한거 ㅈㄴ 많이 가르치는거임
Kestrel2021/07/24 13:52
공대 교수님 갈수록 고등수학 범위 줄어든다고 개탄하시더라
초등맞춤법 선생님2021/07/24 13:53
그래서 그 불필요한 게 뭔데?
하미엘2021/07/24 13:41
라고 말해도 그렇게 안하면 도태 되지 않나 구조적으로 다가
인생 내리막2021/07/24 13:42
아직도 뉴스에서는 "가해자 A군은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더욱 충격을....", "범인 A씨는 명문대 생으로 밝혀져 충격을...", "A씨는 대기업 사원으로 밝혀져...."
둥지짓는G드래곤2021/07/24 13:42
근데 공부능력이 극으로 가면 뭔가 인간적인 부분이 결여되는 거 같은데?
노벨프로젝트2021/07/24 13:45
그래서 위에도 말했듯이
공부 잘해서 인성이 좋아지는게 아니라
인성 좋은 놈이 공부를 하는거라고
그 사람은 공부 안했으면 인성 더 좋았을꺼라고 함
나152021/07/24 13:54
공부를 잘하는 요인 중 하나가 제시되는 길을 이탈하지 않고 그대로 딸아가는 모나지 않은 성격이고 그런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길을 잘 따라가니까 성적이 잘 나올 확률이 높다. 는거고 그 외에 다른 성적이 좋을 요인들 - 지능이라던가 등등이 또 있으니까.
콩이네2021/07/24 13:54
공부만이 아니라 어떤거든 극으로 간 사람들은 다른 어떤 것이 결여되는 경우가 많드라
그게 좋은 거든 나쁜거든
익명-TQwMDkx2021/07/24 13:44
비뚤어지는 인성은 법과 주민번호(지문) 등의 사회적 통제로 유지하고 있거든
로리웹-30515773492021/07/24 13:46
이것도 일종의 언더도그마일 뿐이지 사회성 위주의 교육을 많이하는 유럽의 최근 사례들을 보면 딱히 인성이 더 나아보이지는 않음.
fnfldnpqtkd2021/07/24 13:47
어떤 근거로?
익명-TQwMDkx2021/07/24 13:52
어떤 교육인지 궁금하다.
애당초 사회성 교육은 인위적인 학교 교육이 아닌 집단 생활을 서로의 가치관이 결합하몃 사이좋게, 싸우며 서로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거든.
그냥 쉽게 애들끼리 놀라고만 하면 되는 것임. 어른은 애들이 지나치게 싸울 떄 살짝만 간섭하면 되는 것이고
진짜는 이건데 근데 우리는 이런 걸 교육이라고 안 하더라고....
아직도 뉴스에서는 "가해자 A군은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더욱 충격을....", "범인 A씨는 명문대 생으로 밝혀져 충격을...", "A씨는 대기업 사원으로 밝혀져...."
애초에 고등수학 자체가 대학 준비 과정임. 원래 실생활에서는 중등 수학까지만 해도 충분함.
고등교육에 너무 필요없는 게 많다.
미분적분 이거 대학 가서 배워도 되지 않나?
어떤 교육인지 궁금하다.
애당초 사회성 교육은 인위적인 학교 교육이 아닌 집단 생활을 서로의 가치관이 결합하몃 사이좋게, 싸우며 서로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거든.
그냥 쉽게 애들끼리 놀라고만 하면 되는 것임. 어른은 애들이 지나치게 싸울 떄 살짝만 간섭하면 되는 것이고
진짜는 이건데 근데 우리는 이런 걸 교육이라고 안 하더라고....
고등교육에 너무 필요없는 게 많다.
미분적분 이거 대학 가서 배워도 되지 않나?
근데 그걸 대학에서 배우면 공대 교육과정은 4년으로 부족하지 않나 싶음.
애초에 고등수학 자체가 대학 준비 과정임. 원래 실생활에서는 중등 수학까지만 해도 충분함.
한국이 불필요한거 ㅈㄴ 많이 가르치는거임
공대 교수님 갈수록 고등수학 범위 줄어든다고 개탄하시더라
그래서 그 불필요한 게 뭔데?
라고 말해도 그렇게 안하면 도태 되지 않나 구조적으로 다가
아직도 뉴스에서는 "가해자 A군은 학업성적이 우수하여 더욱 충격을....", "범인 A씨는 명문대 생으로 밝혀져 충격을...", "A씨는 대기업 사원으로 밝혀져...."
근데 공부능력이 극으로 가면 뭔가 인간적인 부분이 결여되는 거 같은데?
그래서 위에도 말했듯이
공부 잘해서 인성이 좋아지는게 아니라
인성 좋은 놈이 공부를 하는거라고
그 사람은 공부 안했으면 인성 더 좋았을꺼라고 함
공부를 잘하는 요인 중 하나가 제시되는 길을 이탈하지 않고 그대로 딸아가는 모나지 않은 성격이고 그런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길을 잘 따라가니까 성적이 잘 나올 확률이 높다. 는거고 그 외에 다른 성적이 좋을 요인들 - 지능이라던가 등등이 또 있으니까.
공부만이 아니라 어떤거든 극으로 간 사람들은 다른 어떤 것이 결여되는 경우가 많드라
그게 좋은 거든 나쁜거든
비뚤어지는 인성은 법과 주민번호(지문) 등의 사회적 통제로 유지하고 있거든
이것도 일종의 언더도그마일 뿐이지 사회성 위주의 교육을 많이하는 유럽의 최근 사례들을 보면 딱히 인성이 더 나아보이지는 않음.
어떤 근거로?
어떤 교육인지 궁금하다.
애당초 사회성 교육은 인위적인 학교 교육이 아닌 집단 생활을 서로의 가치관이 결합하몃 사이좋게, 싸우며 서로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거든.
그냥 쉽게 애들끼리 놀라고만 하면 되는 것임. 어른은 애들이 지나치게 싸울 떄 살짝만 간섭하면 되는 것이고
진짜는 이건데 근데 우리는 이런 걸 교육이라고 안 하더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