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출신 여성 사업가
그레이스 오카포.
나이지리아 한국문화센터에 다닐 때
강사로부터 선물받은 한국 화장품을 접하고
K뷰티에 눈을 떴다.
하지만 나이지리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하는 건 쉽지 않았고,
어렵사리 구한 한국 화장품도
어두운 피부톤에 어울리는 라인은 거의 없었다.
국제경영학 석사 과정을 밟기 위해
2015년 한국으로 유학온 오카포는
아프리카-한국 간 뷰티 산업에 다리를 놓기로 결심,
서울글로벌창업센터의 도움을 받아
올해 1월 화장품 브랜드를 론칭했다.
브랜드의 이름은 '닥터 지오 코스메틱'.
흑인이 K뷰티 브랜드를 론칭한 것으로는 첫 번째이다.
오카포가 닥터 지오 코스메틱의 첫 상품으로 선보인 건
파운데이션 쿠션.
어두운 피부톤에 어울리는 6가지 색조로 이루어진
이 파운데이션 쿠션들은 나이지리아 부족의 이름을 따서
밝은 색에서 어두운 색 순서로
Aisha (DG-01)
Ijeoma (DG-02)
Ella (DG-03)
Funmi (DG-04)
Bisi (DG-05)
Chioma (DG-06)
라고 제품명을 정했다.
아울러 아프리카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으로
양질의 한국 화장품을 접할 수 있도록
한국 중소형 뷰티 브랜드를 소개하는
온라인 장터 '뷰티피셜'도 개설했다.
사업가로서 투자자를 모을 때
상당수 투자자들이 '수익성이 낮을 것'이라거나
'물류체계가 미비하다'는 등의 이유로 난색을 표해 당황하기도 했지만
"내가 이런 선입견을 해소하겠다"고 말한 오카포는
외국인 + 유색인 + 여성이라는 점 때문에
한국에서 겪었던 어려움은 그리 많지 않았지만
한국어 실력이 부족해서 겪은 어려움이 대부분이었다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흑인이 화장해도 별반 차이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한 사람들을 위한 비포 앤 애프터 사진
↓
닥터 지오 코스메틱의 파운데이션 쿠션 사용 전후.
미국이나 유럽 시장도 생각하면 흑인대상으로 ㄹㅇ늘려야지
훨 났네
아프리카 시장이 잠재성이 크다던데
좀전까지 나루토글 보다가 들어와서 지라이야로 봤네
비비크림이 좋긴 하더라
훨 났네
멋지다
미국이나 유럽 시장도 생각하면 흑인대상으로 ㄹㅇ늘려야지
생각해봄 아프리카도 개척 초대형 시장 아닐까 싶기도 하네...
아니 미개척
좋네 저런아이디어
좀전까지 나루토글 보다가 들어와서 지라이야로 봤네
나의 지라이야
비비크림이 좋긴 하더라
이건 팔린다
와 뭐야 개쩔어
효과 확실하구만
아프리카 시장이 잠재성이 크다던데
아프리카 중국이 완전 먹는중인데
그런데 딱히 한국 화장품이어야할 이유가 있나?
다른 화중품은 저런거 못 하나?
의외로 한국화장품이 수출 효자상품이라 함
한국 화장법이 외국에서도 잘 먹히고 화장품 업계가 이미 발달되서?
브랜딩이라고 봐야됨
당장 BTS가 쓰는 제품들 연일 매진사례인거처럼
흑인이 아프리카에만 있는 것도 아니니 수익성 있지않을까
얼룩덜룩하던 얼굴 톤이 정리되니까 뭔가 깔끔해보이기는 하는구만...
와 씨 저정도면 사겠는데
멋지댜
원래부터 K뷰티가 흥한 원동력은 학생들도 살 수 있는 가격에 명품급 성능을 내는 미친 가성비였음
흑인에게도 잘 맞는 제품이 있다면 아프리카에도 시장성이 충분하겠지
아프리카쪽은 몰라도 미국이나 유럽쪽 흑인이나 라틴계에겐 잘팔릴거 같다
그거 생각난다. 영업사원 둘이 신발 없는 나라에 파견 갔더니
한 사람은 신발도 안 신는 국가에서 신발을 팔라고!? 라고 하고
한 사람은 신발 팔 사람이 이렇게 많다니!? 라고 했다는 썰.
개척자네
와 아주머니 사업 엄청 잘하시네
이야.. 이거 좋다.
화장하고 난후의 피부가 건강해 보인다
저 블루오션 개척이 성공적이었으면 좋겠다.
안그래도 효과 생각하고 있었는데 막짤보니 괜찮네
깔끔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