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014075

배스 블루길의 문제점

AKR20180505051300064_02_i_P2.jpg
단순히 토종 어류가 몰살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배스 블루길이 있는 곳은 엄청난 번식력으로 자생 새우, 피래미들을 몰살시켜서 물이 썪습니다.
새우, 피래미들이 수중 청소부죠..
새우, 피래미들이 있으면 유기물이나 부유물들을 먹어치워서 물이 깨끗해지는데
배스들이 새우, 피래미를 싹 먹어치우니 물 속이 개판 됩니다..
낚시 다녀보면, 아직 배스, 블루길이 침입하지 않은 토종터는 물이 깨끗하고 돌에 이끼같은 것도 많지 않고 냄새도 안나는데
배스 블루길이 이미 쫙 깔린 곳은 그야말로 똥물입니다.. 돌에 이끼는 두텁게 껴 있고 썩은 냄새가 진동을 하죠..
이상한 똥 같은 거 떠 다니고..
배스 블루길 퇴치가 시급함..
댓글
  • zoone 2021/06/05 11:43

    가물치 쏘가리 풀어서 잡는다던데, 가물치 쏘가리는 새우랑 피래미 안먹나요? 흠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45

    번식력이 비교가 안됩니다..
    배스 블루길은 토종 어류의 치어, 알을 먹고 순식간에 불어나 버리거든요..

    (Z09mhl)

  • 뚜굴 2021/06/05 11:48

    참붕어도 참붕어의 치어를 먹습니다.

    (Z09mhl)

  • 그냥가끔눈팅만 2021/06/05 11:46

    배스블루길은 이미 토종의 길을 걷고있습니다.
    퇴치불가에요.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47

    초평지 같은 경우 블루길 상당부분 퇴치가 됐습니다.
    집중적인 퇴치 사업을 펼친 결과죠..
    하면 다 됩니다.

    (Z09mhl)

  • 뚜굴 2021/06/05 11:51

    저수지는 가능 할수도 있습니다.

    (Z09mhl)

  • 그냥가끔눈팅만 2021/06/05 11:55

    배스는요? 초평지 배스털러 자주가는데요.
    생태계가 어느정도 알아서 조절해 줍니다.
    도태되는 황소개구리처럼요.
    초평지같은 저수지야 퇴치가 가능할지 몰라도
    한강수계나 서쪽 간척지등등 크기가 어마어마 한곳들이 많아요.
    퇴치 절대불가합니다.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57

    초평지도 말이 저수지지, 강을 끼고 있고 엄청 큽니다..

    (Z09mhl)

  • 뚜굴 2021/06/05 11:46

    파로호 수심 4~5m 바닥 보일정도로 물색 완전 좋은데,,왜 배스가 많쵸?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47

    진행 중일 겁니다..

    (Z09mhl)

  • 뚜굴 2021/06/05 11:49

    북한강 수계 배스,불루길 유입된지 30년도 더 됐을텐데요.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50

    북한강 수계도 예전엔 더 맑았죠..
    토종 어류도 더 많았고..

    (Z09mhl)

  • 뚜굴 2021/06/05 11:55

    30년 전에도 맑았고 지금도 맑습니다.
    주말 나들이로 화천이나 양구 함 바람쐬러 가보세요~좋습니다.
    토종어류중 특히 돈이되는 쏘가리 붕어 등등의 어류는 사람이 더 잡습니다.
    매년 방류 사업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금어기에,,쵸크질하는 어부들 엄청 많습니다.
    몰래 배띄우는 쏘가리꾼도 많고요.단속도 한께가 있고요.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56

    예전엔 더 맑았죠.
    강계는 그나마 물 흐름이 꾸준히 있으니
    배스 블루길에 의한 수질 오염이 덜 티가 나는 부분도 있을 거고요..

    (Z09mhl)

  • Hun 2021/06/05 11:47

    저거 잡아서 다른 곳에 방생한 인간들이 문제
    모르고 한 경우도 있지만 배스 낚시 하려고 일부러 방생한 인간ㄴ들도 있을겁니다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49

    굉장히 많습니다.
    '이식'한다고 하지요..
    배스 치어를 대량 방류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주로 새벽시간 대 남들 눈을 피해서 한다고 하더라고요..
    정말 이런 비양심적이고 개념없는 인간들 때문에 환경이 파괴되는 게 안타깝네요..

    (Z09mhl)

  • 뚜굴 2021/06/05 11:51

    강계에 퍼지는건 어쩔수 없지만 작은 소류지에 장사를 위해 일부러 퍼트리는 악덕업주 보면,,토나옵니다.저렇게 까지 해서 먹고 사는구나 하고 측은한 맘도 들고요.

    (Z09mhl)

  • ▷◁볼뻘건 2021/06/05 11:49

    최근들어 보면 자연적인지 몰라도 번식이 통제되고 억제되는거 같더군요.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49

    그런 면은 있는데 아직도 역부족이더라고요..

    (Z09mhl)

  • 씽씽라이더 2021/06/05 11:54

    근데 베스 블루길은 별로 맛이 없나요?

    (Z09mhl)

  • 한국참교육협회 2021/06/05 11:54

    맛있습니다.

    (Z09mhl)

  • 뚜굴 2021/06/05 11:58

    돈네 촌로들중 좋아 하시는 분은 일부러 잡으면 달라고 부탁 하더군요,,아무래도 돈안들이고 단백질도 보충할수있고 맛도 있답니다.애초의 유입 취지와 맞는 부분이긴한데,,토종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건 너무 안타깝습니다.

    (Z09mhl)

  • 씽씽라이더 2021/06/05 12:00

    맛있고 마구 잡아들이는데도, 번식 속도를 못따라간다는 거죠? ㄷㄷㄷ

    (Z09mhl)

  • redbus 2021/06/05 11:59

    저의 생각은 외래종에 앞서 이입이란 단어를 언급하고 싶습니다. 외래종이던 토종이던 그 곳에 살지 않는 물고기를 이입시키면 생태계는 혼란을 초래하게됩니다. 예를 들어 낙동강수계에 없던 강준치 끄리를 이입(자연이입포함)시키면서 낙동강수계는 외래종과 토종이입으로 혼란에 빠져있습니다.

    (Z09mhl)

(Z09m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