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까 저 effective mass(유효질량?) 이 음수값을
가지는게 루비듐이 가지는 자체적 특성 때문이란건가요?
성기사랑타릭2017/04/21 16:45
그러니까 girlfriend가 없는 이유가 바로
open issue gallery 때문이라는 거네요
Hopeless2017/04/21 16:43
질량이 음수가 가능함?ㄷㄷㄷ
기요미미끼2017/04/21 16:46
ㅇㄷ
구름몬스터2017/04/21 16:54
제가 대충 찾아봤는데
일단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란건 물질의 온도가 절대영도에 가깝게 냉각되었을 때 그 물질의 상이 변한다는 현상이고, 루비듐이란 물질을 절대영도에 가깝게, 즉 보스-아인슈타인 응축현상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면 루비듐의 상이 변하게 되고, 루비듐 자체적 특성으로 인하여 effective mass값이 음수가 된다는 것 같아여
음=여자의기운=나한테도 곧 사랑이?=드디어 크흡
음......
다가온대잖아요!
이과의 댓글은 도움이되고 흥미롭지만
문과의 댓글은 아프군요.
문과가 이렇게 해롭습니다 여러분.
그러니까 저 effective mass(유효질량?) 이 음수값을
가지는게 루비듐이 가지는 자체적 특성 때문이란건가요?
그러니까 girlfriend가 없는 이유가 바로
open issue gallery 때문이라는 거네요
질량이 음수가 가능함?ㄷㄷㄷ
ㅇㄷ
제가 대충 찾아봤는데
일단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이란건 물질의 온도가 절대영도에 가깝게 냉각되었을 때 그 물질의 상이 변한다는 현상이고, 루비듐이란 물질을 절대영도에 가깝게, 즉 보스-아인슈타인 응축현상이 발생하도록 유도하면 루비듐의 상이 변하게 되고, 루비듐 자체적 특성으로 인하여 effective mass값이 음수가 된다는 것 같아여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52&aid=0001001137
해당 기사입니다.
제가 문과인지라 이해는 못함...ㅎ
그러나 실제 루비듐의 질량이 음수값을 가지는건 아니고 외력이 작용했을 때 그 반대방향으로 가속도가 생기는 상태일 뿐임. 하지만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작은 외력에도 원래의 성질로 돌아가기 때문에 저 '음의 질량' 상태를 유지하는건 첨단 과학의 영역이겠죠
저도 문송이라 여기까지밖엔..
질량이라고 해서 꼭 무게를 달아서 몇 그램인가 눈으로 확인해야하는건 아님.
수학적인 계산에서 질량이 음이 되면 질량이 음이란 뜻임.
더 찾아보니까 유효질량은 고체 원자의 질량 증감에 따라 근사하는 방법이고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기체에 적용되는 개념인것 같은데.. 누구 해결해주실 분 계신가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