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나 중요한 팁이다. 재능의 한계로 글 쓰는 실력이 늘지 않을 수는 있어도 글 읽는 실력이랑 안목은 저거 하면 대폭 늘어남.
익명-TA0MjQ32020/04/16 16:23
이래서 영어로 메일 쓸때 어려움
같은 단어 반복하면 없어 보이는데, 아무래도 영어는 어휘를 다양히 못쓰다보니 자꾸 사전 뒤지게 되더라
타일러봤자2020/04/16 16:23
이게 반대로 영문 기사를 해석하다보면 같은 기사에 같은 단어를 중복해서 쓰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어서, 해석할라면 미침.
이번 문장에서 나왔던 단어가 다음 문장에 다른 단어로 등장하고, 알고보면 같은 의미의 단어인데 환장함. 게다가 기사에 등장하는 단어가 익숙한 단어일리가 없고
이게 읽을때는 자연스럽게 읽히는데 막상 쓰거나 말할때는 단조로워지더라
발전과 도약만 봐도
뭔가 도약이 좀 더 역동적이고 진취적이지 ㅇㅇ
왤케 해맑아ㅋㅋㅋㅋㅋㅋ
찾다보면 진짜 더 예쁘고 자연스럽고 딱 거기에 들어맞는 게 있음.
근데 웹소설에서는 앙대
오.... 이런방법이
찾다보면 진짜 더 예쁘고 자연스럽고 딱 거기에 들어맞는 게 있음.
이게 읽을때는 자연스럽게 읽히는데 막상 쓰거나 말할때는 단조로워지더라
괜히 책 많이 읽으란 말이 나온게 아님
상황에 따라 쓰이는 단어가 미묘하게 다름
그래서 책 읽을 때 단어 따오는 것도 있음 쉐도잉처럼
법조게 언어 생각남
꿀팁이네
왤케 해맑아ㅋㅋㅋㅋㅋㅋ
비슷한 뜻이라도 뉘앙스가 다를테니까?
발전과 도약만 봐도
뭔가 도약이 좀 더 역동적이고 진취적이지 ㅇㅇ
근데 웹소설에서는 앙대
존나 중요한 팁이다. 재능의 한계로 글 쓰는 실력이 늘지 않을 수는 있어도 글 읽는 실력이랑 안목은 저거 하면 대폭 늘어남.
이래서 영어로 메일 쓸때 어려움
같은 단어 반복하면 없어 보이는데, 아무래도 영어는 어휘를 다양히 못쓰다보니 자꾸 사전 뒤지게 되더라
이게 반대로 영문 기사를 해석하다보면 같은 기사에 같은 단어를 중복해서 쓰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어서, 해석할라면 미침.
이번 문장에서 나왔던 단어가 다음 문장에 다른 단어로 등장하고, 알고보면 같은 의미의 단어인데 환장함. 게다가 기사에 등장하는 단어가 익숙한 단어일리가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