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빛의 발생과 변화에 관련된 발견에 도움이 되는 견해에 대하여〉(1905년 3월 18일)
내용 : 광양자 가설(광전효과)
→ 이 논문으로 1921년 노벨상 받음
2. 〈분자 차원의 새로운 규정〉 (1905년 4월 30일)
내용 : 브라운 운동 기반
→ 이 논문으로 1906년 석사 건너뛰고 바로 박사학위 취득
3. 〈정지 액체 속에 떠 있는 작은 입자들의 운동에 대하여〉(1905년 5월 11일)
내용 : 브라운 운동
4.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대하여〉(1905년 6월 30일)
내용 : 특수상대성이론
5. 〈물체의 관성은 에너지 함량에 의존하는가〉(1905년 9월 27일)
내용 : E=mc^2
→ 이 논문은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발전함.
박사들이 학사따위에게 배우기엔 자존심이 상해서 같은 박사학위 수여해줬다는 게 정설의 학계
(아인슈타인은 취리히공대 수학(&물리)교육과를 수료해 교사 자격증이 있었고, 당시 취리히공대에 박사과정은 없었기에 옆에있던 취리히대학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음)
V53PL2020/04/15 15:24
(100년 후)???
V53PL2020/04/15 15:24
(100년 후)???
야쿠모 테루2020/04/15 15:24
아무도 이길 수가 없네
진짜 천재네
뷁투더퓨챠2020/04/15 15:24
참고)이론은 노벨상을 받을 수 없다
장덕식2020/04/15 15:31
오 첨알았네
신나는시너2020/04/15 15:32
확실한 검증이 필요한거?
흑봉투다2020/04/15 15:34
필즈상도 그렇고 검증해서 맞는거만 받을 수 있음
함부로 줬다가 틀린 이론이면 반납해야 하잖어
...............2020/04/15 15:35
그냥 노벨상자체가 실제로 일어난 대상에 한해서 상을 줌
Gattuso_82020/04/15 15:35
실험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주기때문...
치르-06488802692020/04/15 15:24
광전효과도 대단한 업적이다
다만 그의 다른 업적이 역사를 바꾸는 것들 뿐이었다
환상의사슴2020/04/15 15:27
아인슈타인같은 사람은 어떻게 태어난거지...
체이스너2020/04/15 15:31
저런 아인슈타인도 당황하게 만든 양자역학은 도덕책....
참은똥을싸는쾌감2020/04/15 15:34
아인슈타인이니까 당황만 했지
지금 사람들은 머리 찢어지고있자늠
피자 2020/04/15 15:35
둘다 개 쩌는거라 둘다 이해했다면 신이지
평범한정원사2020/04/15 15:36
가장 큰것들의 이론과 가장 작은것들의 이론이 이렇게 차이날줄 알았나 ㅋㅋㅋㅋㅋ
피자 2020/04/15 15:36
당시 기준으로
틀따끄2020/04/15 15:31
1. 〈빛의 발생과 변화에 관련된 발견에 도움이 되는 견해에 대하여〉(1905년 3월 18일)
내용 : 광양자 가설(광전효과)
→ 이 논문으로 1921년 노벨상 받음
2. 〈분자 차원의 새로운 규정〉 (1905년 4월 30일)
내용 : 브라운 운동 기반
→ 이 논문으로 1906년 석사 건너뛰고 바로 박사학위 취득
3. 〈정지 액체 속에 떠 있는 작은 입자들의 운동에 대하여〉(1905년 5월 11일)
내용 : 브라운 운동
4.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대하여〉(1905년 6월 30일)
내용 : 특수상대성이론
5. 〈물체의 관성은 에너지 함량에 의존하는가〉(1905년 9월 27일)
내용 : E=mc^2
→ 이 논문은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발전함.
박사들이 학사따위에게 배우기엔 자존심이 상해서 같은 박사학위 수여해줬다는 게 정설의 학계
(아인슈타인은 취리히공대 수학(&물리)교육과를 수료해 교사 자격증이 있었고, 당시 취리히공대에 박사과정은 없었기에 옆에있던 취리히대학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음)
행인A씨2020/04/15 15:34
1905년에 대체 무슨일이 일어난걸까...
☀️🌤⛅️🌥☁️🎬2020/04/15 15:31
하지만 그도 양자역학은...
Stigma2020/04/15 15:35
이게 왜 이러케 되는데염?
아무튼 그럼
이게 양자역학 아님?
가방끈이 짧아서 진짜 이런건지 궁금함ㅋ
람다릴리스2020/04/15 15:32
아인슈타인이 이정도면 어른인슈타인은 얼마나 대단했을까..
라쿤맨2020/04/15 15:34
독일인이니까 독일말장난을 해야지.
쯔바이슈타인이겠지.
참은똥을싸는쾌감2020/04/15 15:34
별로다
쯔바이슈타인이나 드라이슈타인이라고 했으면 ㅇㅈ했음
송야타2020/04/15 15:33
하지만 존 폰 노이만이 출동한다면 어떨까
sonar2020/04/15 15:32
특이점 그 자체
Deemo2020/04/15 15:33
광전효과도 개쩌는 거라...
사랑스런 앤틱기어2020/04/15 15:33
실제론 완벽한 실험을 통한 입증이 안되니까 안 준거
포논포논2020/04/15 15:34
몇번을 말하는데 그당시 사람들은 빠가가 아니라서 일반성대성 이론을 이해 못한게 아니라
실험 검증이 없어서 못 준거임
차도남2020/04/15 15:35
이건 아맞다가 아니라 노벨상은 증명없는 이론에 상 안준다
당시 기술력으로 증명이 안되서 주긴줘야겠는데 광양자설로 준거
오해하게 써놨네 기레기들처럼
광전효과도 대단한 업적이다
다만 그의 다른 업적이 역사를 바꾸는 것들 뿐이었다
참고)이론은 노벨상을 받을 수 없다
저런 아인슈타인도 당황하게 만든 양자역학은 도덕책....
1. 〈빛의 발생과 변화에 관련된 발견에 도움이 되는 견해에 대하여〉(1905년 3월 18일)
내용 : 광양자 가설(광전효과)
→ 이 논문으로 1921년 노벨상 받음
2. 〈분자 차원의 새로운 규정〉 (1905년 4월 30일)
내용 : 브라운 운동 기반
→ 이 논문으로 1906년 석사 건너뛰고 바로 박사학위 취득
3. 〈정지 액체 속에 떠 있는 작은 입자들의 운동에 대하여〉(1905년 5월 11일)
내용 : 브라운 운동
4.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대하여〉(1905년 6월 30일)
내용 : 특수상대성이론
5. 〈물체의 관성은 에너지 함량에 의존하는가〉(1905년 9월 27일)
내용 : E=mc^2
→ 이 논문은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발전함.
박사들이 학사따위에게 배우기엔 자존심이 상해서 같은 박사학위 수여해줬다는 게 정설의 학계
(아인슈타인은 취리히공대 수학(&물리)교육과를 수료해 교사 자격증이 있었고, 당시 취리히공대에 박사과정은 없었기에 옆에있던 취리히대학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음)
(100년 후)???
(100년 후)???
아무도 이길 수가 없네
진짜 천재네
참고)이론은 노벨상을 받을 수 없다
오 첨알았네
확실한 검증이 필요한거?
필즈상도 그렇고 검증해서 맞는거만 받을 수 있음
함부로 줬다가 틀린 이론이면 반납해야 하잖어
그냥 노벨상자체가 실제로 일어난 대상에 한해서 상을 줌
실험으로 검증이 가능해야 주기때문...
광전효과도 대단한 업적이다
다만 그의 다른 업적이 역사를 바꾸는 것들 뿐이었다
아인슈타인같은 사람은 어떻게 태어난거지...
저런 아인슈타인도 당황하게 만든 양자역학은 도덕책....
아인슈타인이니까 당황만 했지
지금 사람들은 머리 찢어지고있자늠
둘다 개 쩌는거라 둘다 이해했다면 신이지
가장 큰것들의 이론과 가장 작은것들의 이론이 이렇게 차이날줄 알았나 ㅋㅋㅋㅋㅋ
당시 기준으로
1. 〈빛의 발생과 변화에 관련된 발견에 도움이 되는 견해에 대하여〉(1905년 3월 18일)
내용 : 광양자 가설(광전효과)
→ 이 논문으로 1921년 노벨상 받음
2. 〈분자 차원의 새로운 규정〉 (1905년 4월 30일)
내용 : 브라운 운동 기반
→ 이 논문으로 1906년 석사 건너뛰고 바로 박사학위 취득
3. 〈정지 액체 속에 떠 있는 작은 입자들의 운동에 대하여〉(1905년 5월 11일)
내용 : 브라운 운동
4. 〈운동하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대하여〉(1905년 6월 30일)
내용 : 특수상대성이론
5. 〈물체의 관성은 에너지 함량에 의존하는가〉(1905년 9월 27일)
내용 : E=mc^2
→ 이 논문은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발전함.
박사들이 학사따위에게 배우기엔 자존심이 상해서 같은 박사학위 수여해줬다는 게 정설의 학계
(아인슈타인은 취리히공대 수학(&물리)교육과를 수료해 교사 자격증이 있었고, 당시 취리히공대에 박사과정은 없었기에 옆에있던 취리히대학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수여받음)
1905년에 대체 무슨일이 일어난걸까...
하지만 그도 양자역학은...
이게 왜 이러케 되는데염?
아무튼 그럼
이게 양자역학 아님?
가방끈이 짧아서 진짜 이런건지 궁금함ㅋ
아인슈타인이 이정도면 어른인슈타인은 얼마나 대단했을까..
독일인이니까 독일말장난을 해야지.
쯔바이슈타인이겠지.
별로다
쯔바이슈타인이나 드라이슈타인이라고 했으면 ㅇㅈ했음
하지만 존 폰 노이만이 출동한다면 어떨까
특이점 그 자체
광전효과도 개쩌는 거라...
실제론 완벽한 실험을 통한 입증이 안되니까 안 준거
몇번을 말하는데 그당시 사람들은 빠가가 아니라서 일반성대성 이론을 이해 못한게 아니라
실험 검증이 없어서 못 준거임
이건 아맞다가 아니라 노벨상은 증명없는 이론에 상 안준다
당시 기술력으로 증명이 안되서 주긴줘야겠는데 광양자설로 준거
오해하게 써놨네 기레기들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