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163569

집 지으려는 분들 이거하나만 명심 바랍니다 feat. 건축전공 전문가

제대로 된 건축물의 구조는 단 3개 뿐입니다.
1. 철근 콘크리트 구조 (가장 기본적이고 구조의 교과서)
2. 철골 구조(일반 철골입니다. 경량 철골이 아님)
3. 철근철골콘크리트 구조(가장 비싼 구조)
위의 세 종류의 구조만 제대로 된 건축물이라고 생각하면 맞습니다.
혹시 자기집 지으려는 분들. 건축가 만나서 상의하시려는 분들.
저거만 명심하면 됩니다.
만약에 건축가나 건축업자가 저 세개의 구조가 아닌 구조를 추천한다면 그놈은 100퍼센트 사기꾼이나 그저 당신 돈만 최대한 긁어내려는 놈이라고 생각하면 100퍼센트 맞습니다.
흔한 예로 경량 철골을 추천한다거나 목조를 추천한다거나 적조식 벽돌건축을 추천한다거나 등등 무조건 사기꾼입니다....
그런 놈둘이 흔히 하는 얘기가 조그만 집에는 1,2,3 의 구조가 필요없다거나 돈낭비라거나 비효율적이라거나 하는 헛소리입니다.
제가 언급한 저 3개위 구조만이 건축공학 교과서에서 건축물로서의 안전과 보수유지 등을 인정한 건축구조입니다. 여러분이 지으려는 집이 크건 작건 전혀 상관없습니다. 무조건 제 세개의 구조만이 정석입니다.
물론 이 글 보면 사기꾼 건축업자들이 댓글로 별 헛소릴 하겠지만 제가 건축공학 전문가입니다. 사기꾼들에게 잘대 속지 마시길...
Ps. 미국에 주택이 엄청 많은데 허리케인이 오면 전주 초토화되고 부서지죠?? 이유는 간단합니다. 저 세개의 구조가 아니기때문입니다. 저 세갸의 구조가 아닌 집은 그냥 판자집이라고 생각하면 맞습니다. 전부 사기꾼 건축업자들에게 당한거죠
83F017FF_0230_4170_81F4_9520CC1DB181.jpeg

댓글
  • 근절문화 2019/09/19 07:43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근데 요즘 시대에도 검증된 건축시공법을 무시하고 사기치는 사람이 있을까요? ㄷㄷㄷ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7:50

    있더라고요 혼자 집 지으면서 벽돌식으로

    (n2IRUM)

  • GX1user 2019/09/19 08:36

    양아치 많아요

    (n2IRUM)

  • 토마스~~ 2019/09/19 08:36

    옛날 무허가 집들 보루꾸로벽체만들고 스레트로 지붕올린집들 생각나네요

    (n2IRUM)

  • 대나무잎 2019/09/19 08:37

    잘못된 정보입니다 목조주택에 대해 공부해보지 않으신것 같습니다
    목조주택은 친환경적이고 제대로 지으면 100년 이상 수명이 깁니다
    캐나다에서는 경기장이나 학교도 목조로 짓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 경량 목조주택을 제대로 짓는 시공자가 거의 전무합니다
    댓글의 댓글 ▼

    (n2IRUM)

  • 로또단독일등당첨자 2019/09/19 07:44

    오~~ 글쿤요..
    참고하겠습니다.
    혹시또 담에 시간이 되심 요런류의 글 부탁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n2IRUM)

  • 갤쓰팔 2019/09/19 07:44

    이런글을 블로그나 카페 같은데 많이 게시해주세요.
    알아야 사기를 덜 당하니까요.

    (n2IRUM)

  • 하우릉 2019/09/19 07:45

    미국 건축업자는 다 사기꾼이었네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7:53

    벽돌식

    (n2IRUM)

  • 대나무잎 2019/09/19 08:38

    미국은 외벽마감이 벽돌이라도 뼈대와 구성은.목조입니다

    (n2IRUM)

  • [♩]녹색짐승 2019/09/19 07:45

    우리나라보다 단독주택이 훨씬 많은 미국이나 일본은 경량/중량 목조구조가 전체 주택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목조와 미국/일본의 목조에 차이라도 있는 건가요?

    (n2IRUM)

  • 조국사랑 2019/09/19 07:48

    법의 차이겠죠

    (n2IRUM)

  • [♩]녹색짐승 2019/09/19 07:49

    우리나라도 미국도 경량목조주택이 불법 아니죠.
    글쓴분은 목조주택은 구조적 하자가 있고 그걸 짓자고 하는 업자는 사기꾼이라고 말하니...

    (n2IRUM)

  • [♩]다잘될거야 2019/09/19 07:49

    국내에서는 목조건축물이 안 맞는건가요?

    (n2IRUM)

  • 그라시아스~ 2019/09/19 07:50

    예산, 작업환경, 친환경건축요소 등 여러가지 판단요소를 고려하여 시공법을 선택하는거지,
    구조적 안정성만 놓고 판단하여 "다른 것은 사기"라는 논리.....ㄷㄷㄷㄷ

    (n2IRUM)

  • 혼자살래요 2019/09/19 08:31

    무너져서 뒤지면 누구만 손해???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3

    전형적인 사기꾼 건축업자들 논리. 안전에는 타협이란 없습니다.

    (n2IRUM)

  • 지현홍재아빠 2019/09/19 07:50

    지역에 따른 기후환경과 (목조, 한옥, 흙집)
    용도에 따른 시공비용 (축사, 창고....)
    몇년을 사용할지에따른 내구연한 (가설건축물, 모델하우스등) 이런걸 생각하지도 않고
    무조건 철근, 철골, 철근철골구조만이 제대로된 건축물이다라고 하는말은
    글쓴이의 경험이 아주~~~ 제한적이라는걸 인증하는 이야기입니다

    (n2IRUM)

  • 혼자살래요 2019/09/19 08:32

    본인 살집 이야기 하는데... 뭔... 축사가 나와...
    밑에 5.5억 짜리 집에 이어서 이야기 하는 거자나...
    5.5억짜리 축사 짖는 이야기가 아니라고...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4

    전형적인 사기꾼 건축업자들 논리. 정석과 진리에는 예외가 없습니다

    (n2IRUM)

  • starrylife 2019/09/19 08:46

    지금 지현홍재와 아버님은....
    축사랑 모델하우스와 창고에 사려나...
    집이야기하잖아요
    기후환경이라...
    아마존이에요? 북극이에요? 이글루짓나? 수상가옥짓나?
    차 못들어가요? 건축자재못들어가요?

    (n2IRUM)

  • Ponik 2019/09/19 07:54

    위의 세 가지 구조가 아니어도 건축법에 맞게 지으면 문제 될 건 없죠.
    글쓴분이 지적하려는 부분은 정석으로 지으면 업자들이 수익을 많이 못 얻으니 다른 구조의 건축물로 설계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많이 빼 먹는다는 말씀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8:00

    안전하기도 한 공법 / 업자들 편법공법은 비공인된 기술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7:54

    맞는말 공법3가지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7:57

    그럼 전통적인한옥을 지은 선대 조상님들은 죄다...
    사기꾼인가요??

    (n2IRUM)

  • Lv7.토종비결 2019/09/19 08:12

    한옥이 딱히 좋은건축물은 아닌거 같아요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13

    그런가요??

    (n2IRUM)

  • Meisel 2019/09/19 08:16

    그때 철근 철골 콘크리트공법 있었으면 조상님들은 어떤 공사를 선택하셨을까여?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18

    물론 그땐 그게없었으니... 못했겠죠...
    당연히 철근콘크리트가 있었다면 지금의 고궁같은 전통건축물은 다 공구리일겁니다...
    근데 글쓴이는 위 세가지 빼곤 다 사기라 하여 그런거죠

    (n2IRUM)

  • 에디베더 2019/09/19 08:31

    댓글 보소 ㅋㅋㅋㅋㅋㅋㅋ 조선시대에 철근이 있었을리가 ㅋㅋㅋㅋㅋㅋ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34

    제가 철근있다고 안했는데요???

    (n2IRUM)

  • 태양의서쪽 2019/09/19 08:38

    그때는 철근 철골이 없었지요...대신 두툼한 원목이 철골을 대신한 것 같은데요..

    (n2IRUM)

  • 아직도정신못차리네 2019/09/19 08:38

    글쓴이는 근래 지어지고 있는 주택에 대한 공법을 말씀하시는거 같아요.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39

    뭐 그런거같습니다만...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40

    그쵸.. 그때 비싼 한옥은 두툼한 원목이고..
    서민들이 사는 집은 짚과 흙으로 바르고 뼈대는 대나무나 그런걸 썻을테니깐요

    (n2IRUM)

  • 光の魔術師 2019/09/19 07:58

    고궁은 제대로 된 건축물이 아니라는건가!?

    (n2IRUM)

  • 자드락 2019/09/19 07:59

    사기당함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07

    누구한테 사기당한걸까요?

    (n2IRUM)

  • [d700]자연스럽꾼 2019/09/19 08:11

    닉보세유.ㄷㄷㄷ

    (n2IRUM)

  • 귓방망이깎는노인 2019/09/19 08:13

    그때는 위 세가지 공법이 없을때고 지금은 안정성이고 가성비를 따져봤을때 위 세가지 공법외 다른것은 별로라는 말인듯 합니다.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13

    어느분 닉 보면 되죠??

    (n2IRUM)

  • Lv7.토종비결 2019/09/19 08:14

    그당시에는 최고의 건축물이지만 지금은 더좋은 공법의 건축방법이 있죠
    시기의 차이라 봅니다
    글쓴이 기준에서 작성해본글입니다

    (n2IRUM)

  • 光の魔術師 2019/09/19 08:24

    그 당시의 없는 건축방법인건 맞지만...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건축공법인데 아니라고 하기에는..

    (n2IRUM)

  • 光の魔術師 2019/09/19 08:24

    몰라요~~그냥 가볍게 무시~

    (n2IRUM)

  • 레몬 향기 2019/09/19 07:59

    공구리가 최고조 ㄷㄷㄷ

    (n2IRUM)

  • 어린놈이꿈을꾸었구나 2019/09/19 07:59

    조금 한 방향만 보는것 아닌지?
    아 나도 그럼 사기꾼? ㅎㄷ ㄷ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8:16

    그게 안전하기는 한듯요 / 목조주택은 검증되지 않은 비공인 공법 / 공학적인면에서는 저 세가지 공법이 안정적 단단히 지지 축과 축을 이음새 단단

    (n2IRUM)

  • [♩]『미얼』 2019/09/19 08:03

    건축공학 전문가면 뭐하는 분이세요?? 전 토목공학 전공하고 건설회사 10년째 다니는데 나도 전문가라고 해도 되는감...
    from SLRoid

    (n2IRUM)

  • 오늘부터가자 2019/09/19 08:11

    구조기술사라도 있나보죠

    (n2IRUM)

  • 직렬5기통 2019/09/19 08:04

    벽돌도 먼저 철근콘크리트로 지은 다음에 겉에 마감만 벽돌로 한게 아닌가요?

    (n2IRUM)

  • [5D]龍 2019/09/19 08:06

    구조자체가 조적조인 건축물도 있습니다

    (n2IRUM)

  • 난사진이다 2019/09/19 08:19

    벽돌로만 짓더라고요 2층 주택을요ㅋ 노가다업자들 야매공법

    (n2IRUM)

  • Lv.7[AQUA]™ 2019/09/19 08:05

    그냥 알아서 하는거져 돈이라도 좀 보태 주시고 그런말 하셔야...

    (n2IRUM)

  • panoramio 2019/09/19 08:05

    글쓴이 바보 입증글.

    (n2IRUM)

  • D700... 2019/09/19 08:05

    한옥은요..?
    기와집 같은거...
    요즘 집에 관심이 생겨서 궁금하네요..ㄷㄷ

    (n2IRUM)

  • [5D]龍 2019/09/19 08:05

    전문가도 아니고 현직도 아니지만 건축공학으로 학위했는데 이말에는 공감이 많이 안가네요...
    철콘 철골 철콘골복합구조가 자중에따른 지진피해는 더 클수 있다는것(단층제외)은 안배우셨나봅니다..
    단독주택 트렌드는 목조를 향하고 있는데 다 사기꾼입니까?
    오시공에따른 하자를 말햐고싶으신거라면 위 세가지 구조도 마찬가지이지요
    지반상황 건축주상황 등에 맞는공법을 추천하는것이 맞는것 아닐까요? 지진발생우려적고 지반약한곳에 구조가 튼튼하니 철콘골 복합구조로 가시지요 하는 집장사꾼이 사기꾼 아닐까요?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6

    잘못 배웠네요

    (n2IRUM)

  • [♩]『미얼』 2019/09/19 08:05

    미국은 허리케인 등 자연재해사 재앙급으로 오기때문에 차라리 철거 후 다시 만들기 편리한 구조로 짓다보니 목조주택 많이 한다고 들은거 같은데요
    from SLRoid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7

    뭔 개소리??ㅋㅋㅋㅋ처음 지을때부터 철거하고 다시 짓는것을 고려한다??ㅋㅋㅋㅋ개그하시는거져??

    (n2IRUM)

  • DJ. 나스 2019/09/19 08:06

    저게 틀린말은 아니긴한데
    ‘~~는 무조건 ~~다’ 라고
    강하게 피력하는 사람말은
    무조건 거르라.

    (n2IRUM)

  • G0MDORY 2019/09/19 08:07

    와이프가 건축사입니다. 하나만 명심하랍니다.
    절대로 무조건 목조주택은 피하라고.

    (n2IRUM)

  • 직렬5기통 2019/09/19 08:12

    목조는 딱 봐도... 썩고 벌레 생기고 할거 같아요.

    (n2IRUM)

  • Lv7.토종비결 2019/09/19 08:17

    시공시 방수 통풍 만 잘 지켜서 시공하면 그런거 안생깁니다

    (n2IRUM)

  • G0MDORY 2019/09/19 08:41

    그렇게 잘 시공하는 업체가 거의 없고 문제는 터무니없이 바가지 씌운 높은 가격이랍니다.

    (n2IRUM)

  • 태양의서쪽 2019/09/19 08:43

    그런데 그게 참 어렵다고 합니다..
    시공하는 사람도 잘 모르는 경우가 있는데 아파트와 달리 주택의 경우 앞 집이 하나 지어지면 그바람골 자체가 조금 달라져도 습기 잘 안빠지는 경우가 생긴다고도 합니다..
    그러면 정원을 흙이 아니라 석재 이런 걸로 교환해 주어야 한다는군요..

    (n2IRUM)

  • Cloud Candy 2019/09/19 08:07

    잘못된 정보로 오도하지 마세요, 건물의 규모,예산에 따라 구조를 정하는 것이지 꼭 그 3가지 공법만 제대로 된것은 아닙니다. 1층주택 같은 경우는 경량목구조,경량철골구조가 효율적이고, 3층이하까지는 비용은 비싸지만 glulam을 이용한 중목구조도 많이 사용됩니다. 컨테이너를 아용한 건축물도 있고요. 건축구조는 목적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고 그러한 자유로움이 풍요로운 건축문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8

    전형적인 사기꾼 건축업자들 논리.

    (n2IRUM)

  • [♩]녹색짐승 2019/09/19 08:07

    예전 글 보니 아직 졸업도 안한 학부생 같은데 전문가...? ㅎㅎㅎ

    (n2IRUM)

  • 우주리조트 2019/09/19 08:08

    지진에는 목조가 더 유리하지요. 지역과 환경에 따른 가장 합리적인 건축법을 택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n2IRUM)

  • 겨울보리 2019/09/19 08:09

    목구조가 단열에서 2배 가까이 유리하지 않나요?

    (n2IRUM)

  • [5D]龍 2019/09/19 08:10

    구조재로 단열 논하기는 어렵습니다

    (n2IRUM)

  • 홍차슬러시 2019/09/19 08:09

    글쓴이 의도는 알겠는데 목구조 조적조 또한 건축구조기준에 명시되어있습니다
    어디서 줏어들은얘기로 교과서니머니 하는 글은 안쓰게 좋은거같네요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09

    닉넴이 어울리십니다

    (n2IRUM)

  • 某某™ 2019/09/19 08:11

    이게 먼 소리야

    (n2IRUM)

  • 뉴코만두 2019/09/19 08:11

    집 안지어보신분인듯 ,, 철콘빼고 다른공법 건축은 업자들이 엄청 남겨먹는줄 아시네요 . 마진율은 다 비슷하고 각분야의 기공들 일당도 비슷하고 ㅡ오히려 목구조, 경량철골,스틸등은 면적당 자재량이 투명해서 더 빼먹기 힘든데 ㅡ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8

    전형적인 사기꾼 건축업자들 논리.

    (n2IRUM)

  • 스키낚시꾼 2019/09/19 08:12

    경량철골구조도 좋아요 추천해요
    단. 시공실적이 많은 전문업체에다 해야하죠.
    어디 듣보잡 시공업체말만 믿고 하면 안되죠!
    님이 말하는 업자는 기냥 동네업자인듯해요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39

    경령철골은 그냥 쓰레기입니다. 건축에서 발생할수 있는 모든 문제점 종합졍원

    (n2IRUM)

  • 갸가가아이가 2019/09/19 08:12

    아시는게 세가지가 아니구요?

    (n2IRUM)

  • Cloud Candy 2019/09/19 08:14

    일본은 지진이 많아서 주택은 전부 목조입니다. 일전에 목조건축물을 몇채 설계하엿고 2010년정도 정보공유차 미야자키에가서 목재건축물 구조설계 및 중목구조 제작업체을 찾아간 적이 있는데 우리와는 정반대로 목조가 거의 모든 주택에 활용됩니다. 우리나라도 조선시대까지는 목구조를 활용한 한옥이 주를 이루엇으나 현재 콘크리트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석회암이 많아서 콘크리트 단가가 저렴하고, 전쟁으로 건축용 목재가 잘 없었던 것도 한몫합니다. 최근부터 산림청에서 우리나라 목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경우 최대1억까지 저리융자와 지원을 해주기로 하는 정책이 생긴 것을 보면 앞으로 더욱 목조구조가 많이 활용될 가능성도 있을 것 같네요.

    (n2IRUM)

  • 앱등이6S 2019/09/19 08:14

    돔형식으로 지으면 태풍 그까이꺼 라는데 그건 사실인가요?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42

    제가 업급한 세개의 구조로만 지어도 태풍에 1도 영향없습니다

    (n2IRUM)

  • 뽈락구이 2019/09/19 08:15

    유튭 집지어주는 사람 영상 보면 거진 목재로 하던데 ㄸㄷ

    (n2IRUM)

  • K.S.H 2019/09/19 08:15

    현직 건축사입니다. 그저 웃고갑니다.ㅋㅋ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43

    전 구조기술사입니다. 그림쟁이 건축사가 어딜 덤빕니까??끽해야 미다스 돌리는 주제에...

    (n2IRUM)

  • 군사잡지 2019/09/19 08:17

    캘리포니아 99% 목조임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19

    귀국하셨3?

    (n2IRUM)

  • 군사잡지 2019/09/19 08:23

    담달 또 나감 ㅎㄷㄷㄷㄷ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35

    이참에 국적을 바꾸셔도 되겠3...

    (n2IRUM)

  • 拔劍一殺 2019/09/19 08:18

    전문가라면 기술사 자격증부터 까고 이야기하세요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19

    건축학박사와 기술사 두개다 있으믄 인정해드리는걸로 하죠?

    (n2IRUM)

  • Cloud Candy 2019/09/19 08:28

    실례지만 건축학은 역사쪽만 박사가 있고 간축공학 박사가 맞는듯합니다. 기술사 따려면요.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35

    아... 그렇군요

    (n2IRUM)

  • 헛소리하고자빠졌네 2019/09/19 08:44

    건축공학박사이자 구조기술사 장인입니다

    (n2IRUM)

  • 분홍빛캔디 2019/09/19 08:18

    요즘 돌고돌아 다시 목조가 트렌드입니다.목조도 건축방식의 차이인거지 튼튼하고 오래갑니다.저도 건설사일하고 있는데.. 위3개말고 사기꾼으로 매도하는 기적의논리 잘 봤습니다

    (n2IRUM)

  • yonlge 2019/09/19 08:1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말도안되는 말을 이리 자신있게!!

    (n2IRUM)

  • 파란나미 2019/09/19 08:20

    절대라는 말을 쓰는 사람은 걸러야 함.
    집이란 지역, 기후, 토양, 생활양식 등등 수많은 조건에 맞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거지 절대 제일 좋은건 없음.

    (n2IRUM)

  • 아스트로글라이드 2019/09/19 08:22

    제가 이런 댓들을 달 줄은 몰랏습니다..
    정말 닉값하는 글이네요..

    (n2IRUM)

  • [A7M3]24240 2019/09/19 08:25

    건축공학과 1학년 학부생이 건축공학개론 수업듣고 쓴글 같음ㅋㅋ

    (n2IRUM)

  • 스트렛킴 2019/09/19 08:25

    일리있는 말인데 돈이 비싸서

    (n2IRUM)

  • 무엇으로채울까 2019/09/19 08:26

    하하하하.. 재미있는 분이시네요...
    스틸 공법, 경량이나 중목구조로 집 지은 사람들은 전부 사기 맞았네요...
    태풍과 지진으로 유명한 옆나라 집들은 대부분 목구조에 케뮤로 마감하는데 이건 어떻게 설명하십니까?

    (n2IRUM)

  • Just_Canon 2019/09/19 08:27

    똥은 닦고 가야지 ㄷ ㄷ ㄷ

    (n2IRUM)

  • [⊙_⊙]부드러운외모 2019/09/19 08:27

    닉네임 그대로네요.
    책상머리 지식

    (n2IRUM)

  • pprem 2019/09/19 08:29

    누가 그래요 참나
    신공법이 얼마나많은데
    위에것도 시공을 잘해야지.부실이 문제고
    튼튼싸게 하면 시공단가가 올라가는데 정말 전문가 맞나요?

    (n2IRUM)

  • 핑크가답이다 2019/09/19 08:29

    이것도 상관있겠죠?

    (n2IRUM)

  • Stile 2019/09/19 08:31

    4억을 들여 새로 지었다구여???? 저렴하게 잘 지었네요

    (n2IRUM)

  • 호호상냥이 2019/09/19 08:30

    동의합니다.. 요즘 목조를 많이들 지으시는데 국내에는 맞지 않는 방식입니다..
    북미에서 목조가 많은 이유는 북미는 목재가 싸기 때문입니다.. 우린 목재를 수입해와서 지으니 철콘과 별로 차이가 없습니다. 그리고 우린 4계절이 있기때문에 목재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10년사시다가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n2IRUM)

  • inputoutput 2019/09/19 08:30

    뭐 정답은없지만 종특 dna가 욕심이많아서 어떤 업종이던간에 사기꾼이 70%라고 보시면됨

    (n2IRUM)

  • Free_snaper 2019/09/19 08:33

    세상에 제일쓸데 없는 이론이 내가알기론 이죠
    그쪽이 건축공학자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업하고 있는 저는 그저 웃습니다 ㅎㅎㅎㅎㅎㅎ 그리고 건축공학자 라니 우린 그런 명칭 잘 안써서 낯선데 맞으세요?

    (n2IRUM)

  • 짱가! 2019/09/19 08:33

    글쓴이의 닉이 정답

    (n2IRUM)

  • 1970/01/01 09:00

    삭제된 댓글입니다

    (n2IRUM)

  • 매크로포토 2019/09/19 08:33

    우리나라 여름에 습하고 겨울에 춥고 해서 목조가 안 맞다고 하시는 듯
    게다가 공사를 제대로 안하죠. 썩어버리니

    (n2IRUM)

  • SilverSoul™ 2019/09/19 08:35

    여기가 카테고리5짜리 허리케인이 덮치는 플로리다도 아니고 진도 7,8지진 빵빵 터지는 곳도 아니고, 구조적 강점으로만 선택하는건 합리적이지 못하죠. 가격, 건축기간, 친환경성 이런것도 고려해야죠. 집지어놓고 50년 100년 살것도 아니고요.

    (n2IRUM)

  • Narchiss 2019/09/19 08:35

    좋은 글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논란글이 되었네요 ㄷㄷㄷ

    (n2IRUM)

  • 호랑이형 2019/09/19 08:36

    저 셋 중에선 어느게 가장 튼튼한가요

    (n2IRUM)

  • 어이없어 2019/09/19 08:37

    차는 1억이상 대형차가 안전하고 좋음
    이거랑 다를바 없는거 같은데....

    (n2IRUM)

  • kodykody 2019/09/19 08:38

    제대로 엉터리 전문가네요.

    (n2IRUM)

  • 암쏴레 2019/09/19 08:38

    현직 건축사 말이(지금 옆에있음)
    극단적인 말이긴 하고 여러가지 상황들이 있겠지만
    이 말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사람은 거르라네요 ㅋㅋㅋㅋㅋ
    신공정 어쩌구 더 빼먹기 힘들다 어쩌구 다 개소리라고 ㅋ

    (n2IRUM)

  • 물굽이 2019/09/19 08:38

    목조랑 온돌하고 궁합이 안맞아요

    (n2IRUM)

  • 천국의맛 2019/09/19 08:54

    그 어려운 걸 조상님들이 해냈네요. ㄷㄷㄷ

    (n2IRUM)

  • ☆뽀록잠팅™ 2019/09/19 08:41

    그냥 본인이 건축전문가라는걸 증빙해보세요

    (n2IRUM)

  • marzana 2019/09/19 08:44

    현직 건축 설계에 있습니다. 코끼리는 코만 있지 않습니다.

    (n2IRUM)

  • Daksal.TM 2019/09/19 08:45

    튼튼한거로 따지면 인정하는데
    목조주택이나 조적조가 까이는건 머지? ㅋㅋㅋㅋ

    (n2IRUM)

  • Lv7친절반니 2019/09/19 08:47

    현업 건설업자입니다
    100%인정 또 인정합니다

    (n2IRUM)

  • [후지]태담 2019/09/19 08:48

    ㅇㄷ 합니다.

    (n2IRUM)

  • 비오는날여행하기 2019/09/19 08:48

    한옥 전문가 들으면 뒷목 잡을 글이네...

    (n2IRUM)

  • allepo 2019/09/19 08:53

    ㅇ,,ㅈ,,, ,ㅇ
    from SLRoid

    (n2IRUM)

  • allepo 2019/09/19 08:53

    ,
    from SLRoid

    (n2IRUM)

  • wsj1122 2019/09/19 08:55

    "내가 전문가인데 다른건 다사기고 이게 최고야." 라는 사람들이 대부분 사기꾼 이던데..

    (n2IRUM)

  • 660원입금바람 2019/09/19 08:56

    누가 1,2층 단독주택 집짓는데 철근철골콘크리트를 씁니까? 철근콘크리트가 최적인건 인정하겠습니다만, 철골콘크리트는 좀...
    요샌 2층이상이면 내진설계 필수라 목조도 내진설계 다 합니다. 미국처럼 허리케인 날라오면 모르겠으나 법적으로 문제없는집 짓는데 사기라니요?ㅋㅋㅋㅋ
    사기꾼들은 철골로 지어도 사기칩니다. SD400인지 SD500철근인지, 철골용접 강접합,핀접합 제대로 시공하는지 일반인들이 구분 가능하다고 보세요?

    (n2IRUM)

  • allepo 2019/09/19 08:58

    from SLRoid

    (n2IRUM)

  • Na_rin 2019/09/19 08:58

    미국인들이 다 사기꾼이었다니ㅠㅠㅠㅠㅠㅠ

    (n2IRUM)

(n2I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