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110497

EOS RP 화이트밸런스 틀어짐??

어제 처음 RP를 들여서 테스트컷을 찍는데 이상한 점이 있어서요...
미러리스의 장점 중에 하나가 LCD에 보여지는대로 저장되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어제 테스트컷 찍는 중에 LCD에 보여졌던 화이트밸런스와 저장된 사진의 화이트밸런스가 완전히 다르더라구요.
AWB로 화이트 우선일 때 종종 화이트밸런스가 틀어지네요.
촬영은 형광등 아래에서 했어요.
이건 순전히 제 느낌인데 AWB 화이트 우선 모드로 찍었을 경우 LCD에는 화이트우선 모드로 보여지는데
정작 저장되는 사진은 분위기 우선 모드로 저장되는 느낌이었어요. 캘빈값이 낮아져서 저장되는 느낌?? ㅎㅎ
다른 곳에 초점을 맞추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구요. 매번 있는 증상은 아니고 가끔있어요.
다른 분들도 이런 증상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댓글
  • 潾霧 2019/08/01 10:20

    플리커 아닌가요?

    (35vTbJ)

  • 램프의 바바 2019/08/01 10:30

    제가 알기론 플리커는 사진 중간에 어두운 부분이 생기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35vTbJ)

  • 팬시190422 2019/08/01 12:06

    그건 육안으로 확인하기 가장 쉽고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라서 그렇게 설명들을 많이 하죠

    (35vTbJ)

  • 마루토스 2019/08/01 10:20

    셔터속도가 1/60보다 빠르셨죠? 그럼 당연한 일입니다만...
    플리커현상이잖아요.

    (35vTbJ)

  • 램프의 바바 2019/08/01 10:33

    위에 댓글에 쓰기도 했지만 플리커현상이 화이트밸런스에 영향을 주기도 하나요? 한번 이렇게 화이트밸런스가 틀어지면 촬영 프레임을 바꾸지 않는 한 계속 틀어진 화이트밸런스로 촬영이 되더라구요.

    (35vTbJ)

  • 마루토스 2019/08/01 10:38

    플리커, 교류조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셔서
    잘못된 근거로 잘못된 가설을 세우셔서 얻은 결론이어서 그렇습니다.
    플리커는 주사율에 의한 명암차외에
    조명 켜고 끔에 따른 초록발색과 그에 따른 화밸엉클어짐 현상을 동반합니다.
    교류조명하에서 플리커로 인해 화밸과 색이 이상해졌을때 해법은
    1. 조명을 순간광으로 바꾸거나
    2. 셔터속도가 1/60이하가 되게 하거나
    둘중 하나이지, 프레임을 바꾸는게 아닙니다.
    설정과 조명이 그대로면 프레임 상관없이 플리커는 나타나니까요.

    (35vTbJ)

  • 전체이용가 2019/08/01 11:08

    같은 상황에서 연사해보시면 아마 화벨이 다 다를거에요 ㅎㅎ 플리커가 맞는것같습니다

    (35vTbJ)

  • 1dxm2]hanassu 2019/08/01 12:11

    플리커.....

    (35vTbJ)

  • PERFECTmoment 2019/08/01 12:18

    플리커 또는 라이브뷰 오프

    (35vTbJ)

  • 예약쟈1 2019/08/01 12:45

    글쓴분은 LCD와 저장된 사진의 화이트밸런스 차이를 이야기 하시는거 같네요..
    플리커라면 LCD에서도 화밸 틀어짐이 보이고, 사진에서도 똑같이 나타날텐데,,

    (35vTbJ)

(35vTb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