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092387

마운트와 화질

최근 캐논 니콘에서 풀프 미러리스에 힘을 쏟고 있는데요
하나같이 큰 마운트를 사용하기때문에 광학성능이 좋다고 광고하네요 소니 e마운트는 작은축에 속하는건가요?

댓글
  • 또시구리 2019/07/18 21:11

    삼 사 중에는 제일 작죠 .
    그런데 큰 마운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학성능이 좋다고
    광고하는 걸 전 본적이 없어서..
    그런 광고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궁금해서 그러는데
    화면 캡쳐나 링크부탁드려도 될까요??

    (xmMT8e)

  • 노인네라네 2019/07/18 21:39

    링크 필요없이 사실입니다
    캐논은 dalr로 넘어오면서 마운트 확장
    니콘은 수동과 동일
    이 차이가 캐논의 독주 1위상태를 만들었어요
    화질좋은 랜즈도 쉽게 만들고요

    (xmMT8e)

  • 또시구리 2019/07/18 21:44

    저어기 밑에 자림님 댓글 처럼 저런 내용은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만,
    현 시점 센서의 우위를 보이지못하는
    캐논,니콘 측에서 ,
    마운트 크기가 광학성능에 유리한
    결과를 만들고 그에따른 우수한 이미지품질을 이끌어낸다는 말을
    할만큼 현재 뚜렷한 결과물을 현재 내놓은게 없는 상황에서
    그러한 광고를 했다기에 어떤식으로 광고를 했을까 궁금해서
    댓글을 달았습니다.

    (xmMT8e)

  • 자림♡ 2019/07/18 21:55

    http://www.nikon-image.co.kr/product/nikkor/nikkor_z_50mm_f/1.8_s
    니콘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대구경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
    근거리 촬영 시에도, 대구경 렌즈 특유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아름다운 배경 흐림 효과를 만끽할 수 있습니다.
    Z 마운트이기 때문에 실현된 렌즈 배치에 의해,
    대구경 렌즈 특유의 자연스럽고 부드러우며 아름다운 배경 흐림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그외에도 마이크로 사이트 등에서도 언급을 많이 합니다.
    http://www.nikonusa.com/en/nikon-products/camera-lenses/mirrorless-...

    (xmMT8e)

  • 자림♡ 2019/07/18 21:56

    마운트의 이점에 대해서는 세줄로 설명하고 있네요

    (xmMT8e)

  • 자림♡ 2019/07/18 21:56

    아 혹시나 해서 말씀드립니다만, 태클을 걸려는건 아니고, 현재 정보가 그렇다는...이야깁니다...^^;;;

    (xmMT8e)

  • 자림♡ 2019/07/18 22:01

    캐논은 다른 요소와 섞어서 은유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구경은 같기 때문에 굳이 구경을 강조하지 않고 있죠.
    다만, 백포커스가 짧아진것과 결부시켜서 광고에서 꼭 구경이야기는 합니다.

    (xmMT8e)

  • 또시구리 2019/07/18 22:01

    개인적으로 니콘 팬보이 (?) 자처하는 사람인데..
    뭔가 마케팅이 아쉽네요 ㅋ
    아니면 아직 결과물이 나온게 없어서 그른가싶기도 하구요

    (xmMT8e)

  • 자림♡ 2019/07/18 22:07

    여담입니다만... 사실 생각해보면,
    캐논은 짧아진 플렌지백과 기존의 대구경을 섞어서 놀랄만한 렌즈들을 내놓고 있는 반면,
    아직은 고급 렌즈를 내놓고 있어서 제대로 판단하긴 어렵지만, 소니 니콘에 비해서는 긴 플렌지백으로 인해, 차후 이지초이스 렌즈들도 조금 클 가능성이 있습니다.
    니콘은 대구경 짧은 마운트를 내놓은 반면,
    렌즈 포트폴리오는 아직도 짧아진 대형 마운트를 적절히 설명하진 못하는 느낌입니다.
    다만, 현재 나온 렌즈들이 기본기가 탄탄한면이 있기 때문에,
    차후 50.2나 20.8 같은, 화질을 올리려면 커져야 되는 렌즈들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쨌든 두 메이커 모두 마운트 변화에 따른 결과물이 아직 좀 부족한게 사실이지만,
    차후 렌즈군이 갖춰지는 과정을 보는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xmMT8e)

  • 후치오리발 2019/07/18 21:11

    제일 처음에 내놓은거라 좀 작은거 같네요 캐논이나 니콘이나 둘다 마운트가 작아서 라는 dslr 시절을 거쳐와서 특히나 니콘은 ㅋㅋMF일때부터 같은 마운트라 이번에 아주 작정하고 대구경으로 만들어서 내놨죠. 여러모로 유리하다고 합니다.

    (xmMT8e)

  • 자림♡ 2019/07/18 21:41

    캐논은 마운트 구경을 54mm 로 그냥 유지했어요, 동일합니다.
    DSLR이 작거나, RF마운트가 크거나 하지 않아요. 같습니다.
    캐논이 영리했던거죠.
    모든 FD 렌즈군을 버리고 EF로 넘어오면서 아예 크게 만들었으니 ㅎㅎ

    (xmMT8e)

  • 자림♡ 2019/07/18 21:43

    개인적으로는 소니도 처음엔 넥스가 이렇게 많이 팔릴거란 생각은 안했을듯여.......
    풀프레임에 대한 고려 자체가 없지는 않았을 테지만......
    되긴 되지만, 굳이 해야하나? 라는 생각일 가능성이 크다고 봐요 ㅋㅋㅋㅋ
    그러다가 잘 팔리니까 어 한번 해보자! 이런 느낌이 크지 않을까....
    소니의 경우는 하나의 플랫폼을 만들면 쉽게 바꾸지 않는 성향이 크기도 하고 해서...
    풀프레임도 E마운트로 내놓은것같고요 ㅎㅎ

    (xmMT8e)

  • 후치오리발 2019/07/18 21:46

    오 그렇군요. 애초에 컸으니까 그대로 유지라..그러면 왜 굳이 마운트 설계를 바꿨을까요 그냥 EF렌즈 네이티브로 쓰게 해줘도 됐을텐데. 희한하네요

    (xmMT8e)

  • 자림♡ 2019/07/18 22:00

    캐논은 다음과 같은 이유를 근거로 들고 있으며 실제로도 타당합니다. ^^
    EF를 그대로 썼다면, 광학계 자체가, 특히 광각계에서 렌즈가 크고 왜곡을 인위적으로 줘야하니까요...그게 결국 광학적 마이너스가 되었을테죠.
    또한, 마운트의 전자적인 규격이 30년이 되어가다보니,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을겁니다.
    실제로도 내부적으로 클럭이나 전압등이 계속 변하다 보니, 캐논 자체적으로도 되고 안되고가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렌즈 카스트 제도....죠..
    렌즈의 등급을 매긴거라기 보단, 통신이 되고 안되고, 좀 어색하게 되고 빠르게 되고
    뭐 이런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바디 자체의 크기도 무시할수 없겠죠.
    쓸모없이 큰 부분이었기 때문에, 바디의 크기를 줄이는데도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xmMT8e)

  • 후치오리발 2019/07/18 22:05

    아아 저런 이유가 또 있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xmMT8e)

  • ClassicLens 2019/07/18 21:20

    애초에 크롭용 경박단소컨셉의 카운트를 그대로 쓴게 잘못이쥬
    그때 풀프용 마운트 구경 좀더 키워서 만들었어야하는데
    이제 와서 렌즈만 커지니 렌즈 모양새가 좀 항아리마냥 안이쁘긴합니다
    근데 광학적으로는 크게차이없어요

    (xmMT8e)

  • 자림♡ 2019/07/18 21:32

    풀프레임 지원 마운트 중에는 가장 작은편입니다.
    니콘 F마운트도 동일한 크기고요. 그래서 이번에 바꿨죠.
    풀프레임 센서 대각선 길이가 44mm 정도입니다.
    그런데 소니 E마운트 내경은 46mm 정도죠. 매우 작죠.
    그럼 왜 마운트가 작으면 안좋으냐?.
    디지털 센서는 우물형태로 생겼습니다.
    각 픽셀별로 분리벽이 있죠.
    이유는 컬러 필터를 통과해서 걸러진 빛이, 다른색 픽셀에 들어가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다른 픽셀에 들어가면 색이 섞여서 정확한 색이 안나오겠죠.
    필름은 평판위에 유제가 발라진 구조라서 그냥 대각선으로 들어가도 어지간히 빛이 다 들어가죠.
    그래서 디지털에 새로이 나온 개념이 수직입사입니다.
    최대한 렌즈에서 수직으로 입사해줘야, 주변부까지 광량저하나, 색 변화가 없지요.
    주변부까지 최대한 고르게 평면적으로 수직으로 쏴주는 개념입니다.
    그런데 마운트 구경이 작으면 이 수직입사를 고려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대구경 렌즈의 경우에 렌즈의 곡률이 있는데 반해, 마운트 입구는 좁으므로...
    마운트 구조물을 감안한다면 실제 빛이 지나갈 수 있는 경로가 매우 좁아집니다.
    그리고 수직입사와 수차제어와 균형을 잡는게 어렵죠.
    실제로 소니 개발자들은 망원단의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한적도 있습니다.
    만약 구경이 크다면 그냥 접안렌즈까지 다 최대한 곡률이 적은 평면적 렌즈를 쓸수 있습니다.
    그러면 수차 제어의 난이도가 하락하죠.
    캐논 RF마운트의 54mm나, 니콘 Z 시리즈의 55mm 구경이면, 센서의 대각선 길이보다 10mm 이상 차이가 나게 되므로, 대물렌즈부터 접안렌즈까지 모두 다 큰 렌즈알 때려박고 이미지 서클 크게 만들면 됩니다. 마운트 부위 자체가 크기 때문에 AF 모듈 등 기구부를 넣어도 여유가 있다는 장점도 있고요.
    물론 마운트 크기 자체가 크다는건, 결국 부피에서는 손해이긴 합니다만,
    어차피 수직입사 고려때문에 소니도 렌즈 크기가 꽤 크다는점을 감안하면 그냥 거기서 거깁니다.
    결과적으로는, 마운트 크기가 크면 유리한건 사실입니다.
    다만 지금의 광학기술은 거의 상향 평준화가 되어서, 시그마나 캐논 니콘 소니 다 기술적으로는 엇비슷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단지, 어떤 방향성을 추구할것인가 라는 부분이 각 회사가 다 다르죠.
    작다면 어떻게 극복할것인가 라는건 소니쪽에서 증명하고 있고,
    크다면 어떤 이득이 있는가는 캐논이 잘 보여주고 있고,
    일단 화질을 위해서 다 때려박으면 얼마나 평등하게 커질수 있는가는 시그마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

    (xmMT8e)

  • 자림♡ 2019/07/18 21:40

    한편으로 니콘 F마운트도 같은 46mm 였는데,
    덕분에 렌즈들이 다들 길죠.... 2470이나 1424도 타사에 비해서 깁니다. 대신 가늘죠.
    구경을 키워봐야 어차피 입구가 좁으니...
    그냥 앞 단에서 입사각을 최대한 줄여서 내놓는거죠.
    다만, 이 경우, 외부에서 입사되는 빛에 비해서 경통내부에서 손실되는 광량이 있습니다.
    최적화 한다고 해도 짧은것보단 긴 쪽이 손실이 크겠죠.
    그래서 이런 부분때문에라도 화질이 더 올라갑니다.

    (xmMT8e)

  • 끼이끼이 2019/07/18 21:40

    간단하게 말씀드릴게요.
    1. 플랜지백이 길수록 조리개의 마운트 구경 의존도가 높아짐.
    2. 마운트 구경이 클수록 주변부 제어가 용이해짐.
    3. 단 2의 경우 렌즈의 대형화 시대인 현 시점 큰 차이 없음.
    그런데 소니는 마운트 구경보다도 자림님이 말씀하신 항아리 형태가 더 문제죠. 소형화를 위해 그립부와 마운트 사이에 손가락 넣을공간을 위해 마운트 구경과 같은 길이부가 필요한거죠.
    이 부분이 나중에 언젠가 발목잡을수도 있습니다.

    (xmMT8e)

  • 자림♡ 2019/07/18 21:45

    지금도 이미 불편을 호소하시는분이 많죠...
    특히 백사금같은 경우는 좀 심한거같아요 ㅠ

    (xmMT8e)

  • 끼이끼이 2019/07/18 21:48

    작은 렌즈를 보면 참 괜찮은거같은데..
    큰 렌즈일수록 좀 밸런스가 다 망가지는듯 해요.
    85GM부터가 이미 엉망이었다봅니다.. 결과물은 좋지만요.

    (xmMT8e)

  • 사진은모바일로 2019/07/18 21:49

    카메라가지고 장난많이 쳤는데 소니 미러리스 마운트 작은것보고 왜 이리했을까?하고 신기했더랬습니다.
    아 전자회사지! 라는 생각

    (xmMT8e)

(xmMT8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