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 스탯을 어떻게 찍은걸까요?!
체력도 중요하지만 정신력도 높아야 되는거 같아요
거기다 짧은 시간안에 빠른 계산도 있어야되니
체력 = 100
민첩 = 100
의지 = 100
지력 = 10
행운 = 50
으로 봅니다.
The맑은내일2019/02/07 00:34
경의를 표합니다.
채나린2019/02/07 02:17
어떻게 해서든 답을 찾으려는 의지..
짠하기도 하고..ㅜㅜ
모든 일에 저런 노력을 할 줄 아는 학생같네요.ㅋ
이제 노력만큼 행운도 따르길..^^
근혜2019/02/07 04:24
틀린이유
스치듯우리2019/02/07 05:05
26번 이렇게 계산하는거 맞나요?
어벤쥬스2019/02/07 06:57
아니 근데 저런거 진짜 사회나와서 단한번도
쓴적없는데...정석같은건 전공할때만하고
중고등학교 수학은 실용수학하는게
사는데 더 플러스 있지 않나요?
정말 우리나라 교육계도 변화가 필요함
베나자르2019/02/07 09:18
한문제 풀고 장렬히 전사할듯 ㅋㅋ
보이트2019/02/07 09:36
틀린문제는 직관적으로 '정사각형하고 똑같네' 정도 알아채면 쉬운 문제네요..
수열이 실생활에서 쓰일 일이 크게 없긴 한데다.. 그나마 쓰이는 이자계산같은거는 그냥 공식에 변수 대입해서 답 나오는게 대부분인지라 굳이 이걸 10대에 배워야 할까..? 라는 생각이 있긴 합니다.
고르고132019/02/08 08:39
고딩때 수포자...
지금 50나이에 수학의 정석 풀고 있는데
수학이 이렇게 재밌는 분야였구나 함서 신나게 푸는중입니다.
2dosa2019/02/08 08:45
저런류 문제하나있음 나머지 다 찍고
저거하나 진지하게 그리면서 품 ㅎㅎ 나머진 풀어볼려는
흔적하나 없이 깨끗한데 ㅎㅎ
증명의나락2019/02/08 09:37
수학의 실용성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중학교 수학은 물론이고 고등학교 수학까지 실생활에서 얼마든지 유용하게 쓰입니다. 써보지 않은 사람들이 지레짐작해서 소용없는 학문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파트만 나열해봐도 이 정도는 됩니다.
중학교 수준 - 함수, 방정식, 평균, 도형의 성질, 삼각비, 피타고라스 정리
고등학교 수준 - 중학교의 상위 과목(함수/방정식/삼각함수), 로그, 순열조합, 수열의 합, 무한급수, 통계, 적분
특히 중학교 과정의 피타고라스 정리나 고등학교 과정에서 로그, 순열/조합같은 건 한번 익혀두면 평생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틀렸다..
헛;;; 스탯을 어떻게 찍은걸까요?!
체력도 중요하지만 정신력도 높아야 되는거 같아요
거기다 짧은 시간안에 빠른 계산도 있어야되니
체력 = 100
민첩 = 100
의지 = 100
지력 = 10
행운 = 50
으로 봅니다.
경의를 표합니다.
어떻게 해서든 답을 찾으려는 의지..
짠하기도 하고..ㅜㅜ
모든 일에 저런 노력을 할 줄 아는 학생같네요.ㅋ
이제 노력만큼 행운도 따르길..^^
틀린이유
26번 이렇게 계산하는거 맞나요?
아니 근데 저런거 진짜 사회나와서 단한번도
쓴적없는데...정석같은건 전공할때만하고
중고등학교 수학은 실용수학하는게
사는데 더 플러스 있지 않나요?
정말 우리나라 교육계도 변화가 필요함
한문제 풀고 장렬히 전사할듯 ㅋㅋ
틀린문제는 직관적으로 '정사각형하고 똑같네' 정도 알아채면 쉬운 문제네요..
수열이 실생활에서 쓰일 일이 크게 없긴 한데다.. 그나마 쓰이는 이자계산같은거는 그냥 공식에 변수 대입해서 답 나오는게 대부분인지라 굳이 이걸 10대에 배워야 할까..? 라는 생각이 있긴 합니다.
고딩때 수포자...
지금 50나이에 수학의 정석 풀고 있는데
수학이 이렇게 재밌는 분야였구나 함서 신나게 푸는중입니다.
저런류 문제하나있음 나머지 다 찍고
저거하나 진지하게 그리면서 품 ㅎㅎ 나머진 풀어볼려는
흔적하나 없이 깨끗한데 ㅎㅎ
수학의 실용성에 대한 얘기가 나와서 말인데, 중학교 수학은 물론이고 고등학교 수학까지 실생활에서 얼마든지 유용하게 쓰입니다. 써보지 않은 사람들이 지레짐작해서 소용없는 학문이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파트만 나열해봐도 이 정도는 됩니다.
중학교 수준 - 함수, 방정식, 평균, 도형의 성질, 삼각비, 피타고라스 정리
고등학교 수준 - 중학교의 상위 과목(함수/방정식/삼각함수), 로그, 순열조합, 수열의 합, 무한급수, 통계, 적분
특히 중학교 과정의 피타고라스 정리나 고등학교 과정에서 로그, 순열/조합같은 건 한번 익혀두면 평생을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습니다.
저거 몰라도 살아가는데 지장없음.수학은 초등때 기초부터 소질없으면 그시간에 다른거 배우게 하는게 훨 나음
와 이건 그냥 맞았다고 해주자.
머리 쓰는거 싫어하시는거 같은데 시험지에 벽돌쌓는 실력을 토대로 나가셔서 벽돌 쌓으시면 반듯하게 잘 쌓으실거같음
처음 문제 풀이식: Yk=(9K^2-9K+2)/2
둘째 문제 풀이식: 각 단의 마지막 숫자를 기준으로 항수를 다시 하면 문제 의 66번 항은 11번째. 새로운 항수를 기준으로Yk=2k^2-1
셋째 문제 풀이식: Yk=(2k^3+K)/3
넷째 문제 풀이식: Yk="4K"
가로 따로 세로 따로 풀면 초등학생도 풀어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