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08062

독일 전쟁해군(Kriegsmarine)용 D.F. 7x50 제2차세계대전 쌍안경 - (2)

안녕하세요.
저는 지나번 제2차 세계대전중 독일군이 사용하였던 쌍안경 소장품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것과 연장선에 있는 전쟁해군(Kriegsmarine)용 D.F. 7x50 쌍안경을 소개해드리려합니다.
독일군은 6 x 30 쌍안경을 모든 부문에서 사용되는 표준 광학 장치로 사용했는데, 이보다 더 큰 7x50 유형의 쌍안경은 갑판 또는 해안 관찰과 같은 전문 인력들에게 지급 되었습니다
KakaoTalk_20251002_215124028_02.jpg
[ 독일 북해함대 전쟁해군(Kriegsmarine)용 D.F. 7x50 쌍안경 ]
▣ 생산년도 : 1940년
▣ 제 작 처 : 칼 자이스의 예나(Carl Zeiss Jena) 공장
▣ 제작수량 : 1,000개
▣ 기타
1) 시야가 좋고 시준이 잘 되어 있으며, 모든 장치가 정상적이고 원활하게 작동합니다.
2) Zeiss 제조사 마크와 Kriegsmarine 승인 마크가 있는 정품 케이스가 포함됩니다.
3) 원래의 망원경 어깨끈이 있으나 아쉽게도 전용 케이스에는 사용에 불편해서 인지 잘라버려서 아래 부분만 달려있습니다.
위 사진의 소장품은 1940년 칼 자이스社의 예나(Carl Zeiss Jena) 공장에서 생산된 D.F. 7x50 모델로 이는 북해(Nordsee, 노르트제)에서 작전 중인 독일 해군인 크릭스마리네(Kriegsmarine) 부대용으로 단 1,000개만 제작되었습니다
크릭스마리네(Kriegsmarine)는 1935년~1945년까지 존재했던 독일 국방군 소속의 해군(전쟁해군)의 명칭입니다.
정확히는 전쟁해군으로 해석하는게 맞다고 합니다.
독일어에 대한 지식은 전무합니다만 크릭스마리네(Kriegsmarine)는 대부분의 자료에서 전쟁해군(?)으로 되어 있어 왜 그런지 자료를 좀 더 찾아보니 오늘날 독일 사람들은 마리네(Marine)라는 단어 단독만으로도 해군이라는 느낌을 가진다고 하는데 당시에는 어원이 다른 언어에서 왔기에 해군이라는 군의 뉘앙스가 강하지 않아 크릭스(Kriegs, 전쟁)이라는 단어를 붙여서 전쟁과 연동되는 느낌을 강조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라 합니다.
저도 군용 라이카를 설명하면서 Marine이란 단어로 인해 초기에는 해병대란 단어를 사용한 적이 있으나 독일군 편제에는 해병대가 없다고합니다.
D.F.라는 단어는 독일어 도펠페른로어(Doppelfernrohr)로서 쌍안경을 의미하는 약어입니다.
♣독일 국방군 (출처: 나무위키)
어원은 "Krieg"와 "Marine"의 합성인데, Krieg의 뜻은 "전쟁"이지만 Marine의 원래 뜻은 "해군"이 아니다. Marine는 로망스어계 차용어로서 라틴어 "Mare"(바다)에서 왔으며, 그 뜻은 "해상에 관한"(형용사) 및 "그러한 것"(명사)이다. 즉, 선박과 선원 등 "해양력 전반"을 가리키며, 이는 독일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로망스어권에서는 marine의 뒤에 붙는 수식어로써 상선단과 어선단, "전쟁선단"(해군)을 구별했다.
image03.png
( 독일 국방군의 구분 명칭 )
위 구분표를 보니 제가 소장한 Leica 군용 바디들에게서 볼 수 있는 낯익은 각인들입니다.
Heer, W.H. , Luftwaffen-Eigentum, .....
▣ 쌍안경의 특징
이 쌍안경에는 두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특수 고정 시스템(일반 7x50 모델에 사용되는 베이클라이트와는 달리 쉽게 분리할 수 없음)을 갖춘 "방수 안구"(물이 튀는 데 강한 접안렌즈)가 장착되어 있어 항해 중 선상으로 바닷물이 튀어 물방울이나 악천후로 인한 이물이 접안렌즈에 침투하여 상이 흐려지거나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좌우 각1개씩 2개가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용의 특성상 저의 소장품과 같이 온전하고 완전한 접안렌즈를 가진 경우는 매우 드물다 할 수 있습니다.
KakaoTalk_20251002_221521361.jpg
( 방수안구 접안렌즈 )
1) 좌우가 동일한 형태
2) 왼쪽이 앞면, 오른쪽이 뒷면 장착부
3) 전용케이스 내부에는 방수안구의 수납공간 포켓이 2개소 있습니다.
KakaoTalk_20251002_222947746.jpg
(케이스 바닥의 방수안구 수납포켓 2개소 )
둘째,
대물렌즈 근처에 건조 카트리지가 있습니다.
KakaoTalk_20251002_221913461.jpg
( 독수리 마크가 각인된 하켄크로이츠 )
▣ 각인 설명
1) 왼쪽 접안렌즈 플레이트에는 크릭스마리네(Kriegsmarine)의 승인과 Carl Zeiss의 일련 번호 2075449와 관련된 "M IV/1" 독수리 마크.
KakaoTalk_20251002_215124028_04.jpg
2) "Transparenzbelag"를 나타내는 "T"와 Carl Zeiss Jena 로고가 있습니다
이는, 렌즈가 반사 방지 처리로 코팅되었음을 나타냅니다
(현재의 상태는 약간 퇴색되어 이제 더 밝은 방식으로 존재함).
3) 오른쪽 접안렌즈 플레이트에는 노르트제(Nordsee: 북해의 독일 이름)를 의미하는 "N"과 해당 임무를 나타내는 일련번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KakaoTalk_20251002_215124028_03.jpg
앞서 설명드린 빛 반사 방지 시스템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면
1934년부터 Carl Zeiss Jena 공장의 직원이었던 알렉산더 스마쿨러(Aleksander Smakula)가 개발하고 1935년 11월 1일에 특허를 받은 기술입니다.
이 반사 방지 코팅으로 구성된 일명 "Transparenzbelag"라고도 하는 반사 방지 처리가 안구 렌즈에만 장착되어 있어 렌즈의 빛 투과율을 80% 향상시켰는데 이 기술은 주로 독일 해군용 쌍안경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코팅 기술을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비밀을 발견할 때까지 몇 년 동안 독일의 군사 기밀로 남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 알렉산더 스마쿨라(Alexander Smakula)? ___ 출처: Wikipedia
알렉산더 스마쿨라(1900년~1983년 5월 17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오번)는 광학 간섭을 기반으로 한 반사 방지 렌즈 코팅을 발명한 것으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물리학자였습니다.
스마쿨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도브로보디 마을(현재 우크라이나 테르노필 주)의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테르노필 체육관에서 학업을 마친 후 그는 괴팅겐 대학교에 지원하여 1927년에 졸업했습니다. 그 후 그는 Robert Pohl 교수의 조수로 일했습니다.
오데사 대학에 잠시 머물렀던 후 Smakula는 하이델베르크에 있는 광학 연구소 소장으로 독일로 돌아왔습니다.
1934년부터 그는 예나에 있는 Carl Zeiss AG 회사에서 일했습니다. Zeiss에 있는 동안 1935년 Smakula는 광학 기술의 중요한 발전인 간섭 기반 광학 반사 방지 코팅을 발명하고 특허를 받았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스마쿨라는 나치 정권과 협력하여 미사일의 적외선 유도 작업을 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Smakula는 다른 독일 물리학자들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버지니아에서 적외선 기술을 위한 재료를 조사하는 일을 처음 했습니다.
1951년에 그는 MIT에서 교수직을 제안받았으며 그곳에서 주로 결정 물질에 대한 연구를 했습니다. Alexander Smakula는 1983년 5월 17일에 사망했으며 미국 매사추세츠주 오번에 묻혔습니다.
아래는 세계2차대전 당시 실제 사용하는 독일군 모습입니다.
스크린샷_2025_10_02_223508.png
( 소장품과 동일한 제품을 착용한 Kriegsmarine )
마지막으로 지난번과 이번의 크릭스마리네 망원경을 비교해 보세요.
KakaoTalk_20251002_222657851.jpg
( 크릭스마리네용 망원경 2종 )
KakaoTalk_20251002_223918371.jpg
( 전시장의 전시상태 )
라이카포럼의 모든 회원분들
안전운전하시고 행복한 추석되시길 바랍니다.
2025. 10. 02.
라이카관장
댓글
  • 라이카관장 2025/10/03 07:33

    추석 잘 보내세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cyI6FA)

  • 오스틴파워스 2025/10/03 07:13

    제품을 서사와 함께 읽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풍성한 한가위 연휴 보내세요.

    (cyI6FA)

  • 라이카관장 2025/10/03 07:34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항상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가위 잘 보내세요.

    (cyI6FA)

(cyI6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