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적으로 이랬다저랬다 하는 관세율 때문에 바이어=미국 의류업체들도 지쳐버림
처음에는 우리같은 원단 판매자/생산자들에게 관세 때문에 가격 좀 더 깎아달라고 부탁 아닌 부탁을 하다가
그거로도 한계가 오니까 결국 생각이 바뀜.
이번 여름 미팅 때 간 모든 의류 브랜드들이 공통 질문을 던짐.
"이거 원단 중국산이던데 다른 나라 원산지로 바꿀 수 있나요?"
한술 더 떠서 B모 브랜드는 아예 이번 8월말에 급작스럽게 한국 방문 오기로 함.
한국 와서 원단업체 스물몇군데를 둘러보면서 한국산 원단들을 더 디테일하게 고르기로 함.
-> 중국산 원단에서 다시 한국산 원단 옵션을 고려해보기 시작.
문제는 한국 섬유업계는 이미 거의 다 뒤져있는 반시체 상황이라
합성원단은 몰라도 양모 쪽은 가격 면에서 규모의 경제가 다 박살나서 가격이 두배 정도 되서
과연 한국산 원단이 얼마나 중국산을 대체할 수 있을지...
그러니까 지금 원단제조업을 하라는거지?
바로 청년창업 간다
한국도 대부분 방글라 말레이 같은 국가로 가서
국내 생산 하는 일부는 비싼돈 받는 의류업체 밖에 없을텐데
차라리 한국산이 나은 수준이 왔다니 이건 또 새롭네
요번에 한복 전시회 가보니까 한복 원단은 아직 살아있는 것 같던데
거긴 고급품라인일테니 해당이 안 되려나, 싼 거 찾는 모양이니...
그러기엔 이미 국내 업계가 반시체수준이라...
거기다 트럼프가 아무리 개막장질을 해도 4년 뒤에 날아갈 놈이고 이걸로 국내 섬유업계가 반등할 가능성은 거의 없음
이제 저런다는 정보 입수하면 트럼프가 그럼 한국에 관세 50% 추가 이 ㅈㄹ 함
그렇다고 한국산 원단 사업을 키우기도뭐한게
저 관세 또 바뀌면 중국산으로 돌아갈거아님....
왠 정신병자때매 뭔고생이냐 다들
국내에서 뽑는건 없을텐데 중국에 공장둬서 뽑는 업체는 있어도 ㅇㅇ
그러니까 지금 원단제조업을 하라는거지?
바로 청년창업 간다
그러기엔 이미 국내 업계가 반시체수준이라...
거기다 트럼프가 아무리 개막장질을 해도 4년 뒤에 날아갈 놈이고 이걸로 국내 섬유업계가 반등할 가능성은 거의 없음
는 뮤슨 트럼프 치킨아웃으로 중국산 고율관세 풀어줘 버리기~
그런 당신을 위해 섬유공장 웹소설!
인건비 바닥이어야 굴러가는 업계에 수질오염 환경파괴도 심한
전형적인 개발도상국 아님 못한다 사업이라서 힘들겠지 아무래도
차라리 한국산이 나은 수준이 왔다니 이건 또 새롭네
요번에 한복 전시회 가보니까 한복 원단은 아직 살아있는 것 같던데
거긴 고급품라인일테니 해당이 안 되려나, 싼 거 찾는 모양이니...
한복 원단이 일반 의류업체에서는 잘 안쓰이지않나
글쓴이 상황을 내가 모르니까 뭐라 말을 못하겠네
옷도 다양하고 섬유도 다양하고 원단도 다양하고 패턴도 다양하니까
스물 몇 곳 업체를 뒤졌다는 거 보면
이미 고려해봤을 확률이 높겠지만
한국도 대부분 방글라 말레이 같은 국가로 가서
국내 생산 하는 일부는 비싼돈 받는 의류업체 밖에 없을텐데
풀매수 가즈아아아..
어딘지는 모름
이제 저런다는 정보 입수하면 트럼프가 그럼 한국에 관세 50% 추가 이 ㅈㄹ 함
당장 일부 공장들이 중국 관세 피해서 베트남 이전한다니까 한 짓거리만 봐도 뻔하지
국내에서 뽑는건 없을텐데 중국에 공장둬서 뽑는 업체는 있어도 ㅇㅇ
있긴 함.거의 다 뒤졌지만
우리나라도 대부분이 배트남 아니면 라오스더라고. 중국에선 많이 나옴.
국내 업계라고 해봤자 결국 원단 수입해와서 제작하는 업체들이 남은 거지 원단단계부터 생산하는 건 중국산에 다 죽은지 오래일텐데
한국도 미국처럼 외국나간 생산업체 한국으로 가져와야지
가져와봤자 가격 경쟁이 안 되니깐 지금 관세전쟁땜에 중국산이 문제인거지 중국산 아니여도 다른 동남아시아하고 가격 경쟁을 이겨야 하는데 이제와서 한국으로 다시 생산돌리는 건 수지가 안 맞음 몇년뒤에 트럼프 사라지면 관세 전쟁이 또 어떻게 될지도 모르고
동남아 원단들은 아직 기술력이 따라오질 못해서 조금 어려움. 그쪽은 만든 원단으로 옷을 만드는 봉제업체들이 많고
한국꺼를 산다고?
다른 나라는 경쟁력 없나?
한국이 관세가 그나마 낮게 책정된 나라라 고려하는거지
다른 제조업 되는 나라들은 더 세게 쳐맞은곳도 많아서...
그렇다고 한국산 원단 사업을 키우기도뭐한게
저 관세 또 바뀌면 중국산으로 돌아갈거아님....
왠 정신병자때매 뭔고생이냐 다들
수건업체 지인 말로는 태국에서 수입하는게 가격과 품질 비율에서 좋다고 했었는데
한국에서 제조한 옷이면 몰라도 원단은 무리일텐데;
거의 광산이랑 비슷한 시기에 흥했다가 사라진 산업이자나
대구 섬유공단 다시 살아나나?
원단산업이 환경오염 goat 급이라 개발도상국까지 내려가야하는걸로 아는데
저러면 그냥 중국산 원단을 사서 택갈이 시킨 다음에 미국에 팔겠지. 아닌가?
그렇게 해달란거겠지 아마?
관세 올리면 국내(미국)껄 소비하겠지?
이게 정말 1차원적인 생각인게
당장 생산 설비가 없는데 어떻게 자국 제품을 소비하겠음
정권 바뀌면 어찌될지 모르는데 미국기업들이 잘도 미국에 공장을 세우겠다...
그냥 관세로 다른 나라에 갑질하고 싶은거지
미국을 위한 일은 절대 아닐듯 ㅋㅋㅋㅋㅋ
생산 설비의 문제도 있지만, 제일 큰 문제는. 저런 섬유산업같은 것들은 자동화조차 제대로 안됌.
자동화해봐야 자동화 굴리는 유지비도 뽑기 어려우니, 인도, 베트남, 중국, 각지로 나가는 중인거.
근데 저걸 미국인들이 어찌 만듬. 지금 임금의 100분의 1 받고 일해야 가격을 맞출텐데
아무리 인건비 후려쳐도 한국 섬유는 가격 경쟁이 안됨
동대문 활부각?
근데 원단은 중국산이 싫으면
꽤 괜찮은 다른 국가들 찾아보면 꽤 있어서
합성원단 공장들이 이미 코로나시기때 고사해서 될려나 모르겠음.
한국이 섬유 산업하던 시절에 나이키같은거 품질 엄청 좋았다고 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