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475082

조삼모사 트럼프 경제 정책

4S4A1697et33.jpg
미국 관세전쟁으로 전세계 경제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럴수록 마음의 안정을 찾고 침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사진 촬영으로 다녀 온 곳 중 보성 차밭이 아름답고 마음의 평화를 주는 곳입니다. 시간이 되면 한번 다녀 오시기 바랍니다.
ScreenShot_Tool__20250404141238.png
출처 야후
미국 증시는 지난주 주간 단위로 지수가 9% 넘게 하락하여 폭탄 맞은 분위기 입니다. 특히 목요일, 금요일 양일 하락폭이 10%가 넘었습니다.
트럼프가 4월 2일 장 마감후 발표한 상호관세 폭이 예상보다 크고 금요일 중국의 34% 보복관세 발표 및 파월 연준의장이 관세 전쟁으로 인한 인플레가 일시적이 아니라 오래 갈 수도 있어 당분간 금리 인하가 쉽지 않겠다는 발언이 미국 증시를 나락으로 가게 하였습니다.
ScreenShot_Tool__20250405104142.png
출처 핀비즈
주간 단위로 본 개별 종목 주가도 대부분의 빅테크나 반도체 주가가 많이 빠졌습니다. 스태크플레이션 우려로 금융주 낙폭도 겄습니다. 그나마 선방한 분야가 코카콜라와 같은 필수 소비재 뿐입니다.
ScreenShot_Tool__20250405103455.png
출처 블룸버그
올해 주요국가들의 주가 흐름입니다. 작년 좋았던 미국 나스닥, 일본, 인도 등이 하위권이고 반면 홍콩, 브라질, 독일 등이 상위권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 증시는 그나마 선방한 편입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가 근본 원인을 살펴 볼 필요가 있습니다. 8년전 트럼프 행정부 1기에는 임기 초 감세를 하고 그 다음 해에 관세 전쟁을 벌였습니다. 임기초에는 주가가 올랐지만 관세 전쟁을 시작하자 마자 주가는 하락하고 물가는 오르면서 미국민의 민심을 잃었습니다. 그 결과 중간 선거에서 민주당에게 패배하여 임기 말 레임덕 신세가 되었습니다.
트럼프 2기에서도 감세와 관세전쟁이라는 정책 기조는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순서가 바뀌었습니다. 관세전쟁을 먼저 벌이고 올해 말이나 내년에 감세 정책을 시행할 전망입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입니다. 첫째 1기에서는 미국 정부 부채가 심각하지 아니하여 감세 정책을 먼저 필 수 있는 여유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2기에는 이미 바이든 행정부의 흥청망청 재정지출로 정부 부채가 심각하여 감세 정책을 먼저 필 수 없어 도지라는 형태로 정부 지출을 줄이고 관세로 새로운 정부 수입원을 마련한 후 감세에 나서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중국 고사성어 중에 조삼모사 라는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원숭이를 많이 키우던 사람이 돈이 모자라 지면서 원숭이에게 주는 도토리를 줄이면서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주겠다고 하였더니 원숭이 들이 야단이 났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로 바꾸었더니 잠잠하더라는 것으로 같은 것을 다르게 받아들인 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사람과 원숭이는 조금 다릅니다. ㅎㅎ
트럼프 1기에서는 임기초 감세로 도토리를 4개 주고 2년차에 관세 전쟁으로 도토리 수를 줄인 것입니다. 그랬더니 2년차에 미국 국민 민심이 떠나서 중간 선거에서 패배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임기 1년차에는 관세 전쟁으로 물가도 오르고 주가도 누른 다음 임기 2년 차에는 감세 정책으로 주가 부양도 하고 물가도 전년 대비 낮출 경우 내년 11월 중간 선거에서 이길 수 있어 임기말 레임덕을 피할 수 있다는 속셈이 있는 것입니다.
ScreenShot_Tool__20250404161710.png
출처 시황맨티브 유튜브
1950년 이후 2일간 미국 지수가 10% 이상 하락한 적이 네번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때가 단기 저점이고 그 이후에는 반등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번주 미국 지수가 반등할 것인가? 역사적인 데이터만 보면 그럴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중국, 유럽, 캐나다와의 관세 전쟁이 쉽지 아니할 것입니다. 다만 베트남 같은 국가는 거의 백기 항복으로 미국에 대한 관세를 영으로 하겠다고 하면서 트럼프를 자국에 초청하였습니다. 그 여파로 베트남에서 생산이 많은 나이키가 금요일 3% 반등하였습니다. 과거 경제 위기에서는 연준이 금리를 낮추고 경제 부양을 하였지만 이번에는 중립적입니다 연준의 임무는 물가를 잡고 실업률이 높게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플레는 한번 오르면 쉽게 안 잡히지만 실업률을 낮춘은 경기부양은 쉽습니다. 따라서 파월 연준 의장이나 다른 연준 인사들의 입장은 관세 전쟁이 인플레에 미치는 여파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금리 인하는 시기 상조라고 보는 것입니다.
올해 1월초까지는 허니문 랠리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이후 관세 전쟁을 먼저 시작할 기미가 보인 후 트럼프 1기 때 관세 전쟁 시기 미국 주가가 안 좋을 것을 감안하여 "올해 미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글을 여러번 썼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주가는 거의 바닥권에 왔습니다. 그러나 관세 전쟁이 쉽게 마무리 될 것 같지 아니하고 일시적으로 미봉이 된 이후에도 앙금이 남아 빅테크 들의 해외 매출이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트럼프 분위기를 보면 터무니 없는 관세를 매겨 놓고 나서 인심 쓰듯이 10% 정도는 그대로 밀고 나가면 미국 물가가 상승하여 소비도 줄 것입니다. 따라서 미국 기업들의 올해 실적은 나빠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올해 미국 증시는 바닥은 왔지만 반등을 하다가 다시 내려오는 박스권이 연말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미국 증시는 5월이나 6월 기술적 반등이 나오면 비중을 줄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하반기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필 독일, 중국 및 추경 예산을 집행하고 새 정부가 들어 설 한국이 더 주가 상승 여지가 높다고 봅니다. 따라서 미국 주식 비중을 줄이면서 독일, 중국, 한국 주식 비중을 늘리는 것이 낫습니다. 미국 주식을 장기 투자할 분들은 내년2, 3월 정도가 매수 적기 일 것입니다. 내년 중간 선거를 앞두고 내년 2분기에는 감세 정책을 발표하면서 증시 부양을 할 것입니다. 현명한 판단을 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 PORSCHE 2025/04/06 04:11

    개새끼 진짜 ㅋㅋㅋ

    (kvrDMm)

(kvrD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