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351239

문과도 쉽게 이해하는 블랙홀이 존재하면 안되는 이유.jpg



img/24/03/21/18e6175554210d355.jpg

지금이야 다들 인정하는 블랙홀이지만


무려 상대성이론을 발견해 낸


아인슈타인은


블랙홀이 이론상으로 존재 불가능하며


현실에서도 존재하지 않을거라 예측했다


하지만 이러한 그의 예측은 크게 빗나갔는데


그가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문과도 쉽게 알 수 있도록


설명해줌



img/24/01/15/18d08fa1b6e10d355.jpg

여기 중성자별이 있다


중성자성은 밀도가 엄청 높다


왜냐하면



img/24/01/15/18d08facf8310d355.png

초신성이 터지기 직전


핵융합이 끝난 항성에서는


항성의 모든 성분이 중력에 의해


중심의 핵을 향해 떨어짐


그 속도는 가히 광속의 1/3까지 올라감


그중 별 핵에 있는 철 원자는


항성의 모든 질량을 받아내기 위해


압축된다



img/24/01/15/18d08fec6da10d355.jpg



이때 철 원소 주변을 돌고 있던 전자는 압축되어


원자핵에 달라붙음


그러면 양성자가 전자를 포획해서


양성자는 중성자로 변환됨


이렇게 중성자가 생성됨


철은 압축되어 작아지지만


중성자는 더 이상 작아지지 않음



img/24/01/15/18d08ffd52810d355.webp

이 딱딱한 중성자에


맞고 튕겨져간 물질들은 충격파를 발생시키고


별은 대폭발을 함


이렇게 해서 중성자만 남은 중성자성이 탄생함


근데 왜 중성자는 더이상 작아지지 않는 것일까?


그건 바로 '축퇴압' 때문임




img/24/01/15/18d090d87c610d355.webp


img/24/01/15/18d090d899c10d355.webp


세상에는 기본적으로 두개의 입자가 있음


물질에 관여하는 페르미 입자와


힘에 관여하는 보스입자가 있음


보스입자는 양자장을 통상의 수치 혹은 수치의 백터로 기술 할 수 있음



img/24/01/15/18d0908160f10d355.png

한편 페르미 입자는


2승 하면 0이 되는 특수한 수로 기술한다


2승 하면 0이 되는 수를



img/24/01/15/18d090a1e9c10d355.jpg

반가환수 또는 그라스만 수라고 부른다



보스 입자는 통상의 수로 기술하기 때문에


입자를 같은 위치에 두어도 계산할 수 있음


예를 들면 x입자를 같은 위치에 두면 x^2이라고 표현할 수 있음


반면 페르미 입자는 같은 위치에 두면 0 되어서


계산할 수 없다


그말인즉슨


페르미 입자는 같은 상태로 같은 장소에 존재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게 파울리의 배타원리라는 것임



img/24/01/15/18d090e46f310d355.jpg

이래서 우리는 사과를 통과하지 않고 잡을 수 있는것이다


좀 어려운거 같아서


좀더 직관적인 방법으로 설명하겠음



img/24/01/15/18d0911b71810d355.webp


여기 기차가 있음


여기서 기차는 위상공간이고


기차의 의자 하나에는 페르미 입자가 반드시 하나밖에 앉을 수 밖에 없음


하지만 위상공간은 좀 특수한 공간이라 운동량이 다르면 위치가 똑같더라도 다른 좌석이 존재함


어쨋든 페르미 입자


그러니깐 전자와 양성자 중성자들은 한 좌석에 한 입자만 있을 수 있다는 이야기임


그렇게 만석이 되면 기차라는 위상공간에는


더이상 입자가 들어올 수 없음


즉 1좌석=1입자


그러면 중성자별은 어떨까?



img/24/01/15/18d0917029310d355.jpg

중성자별은 중성자로 꽉꽉 차있음


따라서 준비된 좌석은 만석상태임


이 상태에선 단 하나의 중성자라도 빈 자리가 없으니깐 떨어져 나가버림


파울리의 배타원리는 이 한 좌석에 두 입자가 앉는걸 명백하게 금지하고 있기 때문임


이걸 축퇴압이라고 하며


중성자성을 더 이상 압축할 수 없게 만들 수 없는 이유다



img/24/01/15/18d091aa09710d355.jpg

근데 여기서 블랙홀이 등장함


블랙홀은 중성자성을 더 압축하면 탄생함


하지만 파울리의 배타원리는


이것을 절대 금지함


그럼 어떻게 블랙홀을 만들면 될까?



img/24/01/15/18d092febda10d355.jpg

노을아 내일까지 중성자별을 압축해 오렴



...은 농담이고




img/24/01/15/18d091bd0db10d355.jpg

거기서 또 등장하는게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임


이걸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입자의 위치와 운동을 동시에 관측할 수 없다는 것임


이걸 아까 축퇴압에 적용해 보겠음



img/24/01/15/18d09204c0410d355.jpg

기차의 모든 좌석에는 중성자들이 들어간 상태임


하지만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의 원리에 의해


좌석의 수가 변동함


예를 들어 입자의 운동을 정확히 관찰하면 관찰 할 수록


위치적 좌석의 수가 늘어난다


반대로 입자의 위치를 정확히 관찰 할 수록


운동적 좌석의 수가 늘어남



img/24/01/15/18d09233bc010d355.jpg

중성자성의 중성자는 서로 움직일 수 없을정도로 꽉 채워져 있음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중성자의 위치를 매우 정확히 관측하고 있다는 이야기임


중성자의 위치를 높은 레벨로 관측하고 있기 때문에


입자가 취할 수 있는 운동의 폭은 매우 커짐


그렇다


운동적 좌석의 수가 매우 많이 늘어나는 상황이 되어버림


그래서 중성자를 추가하면 추가할수록


더욱 중성자의 위치를 더 정확히 관측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되어버려



img/24/01/15/18d092dd3a710d355.jpg

운동적 좌석의 수는 더더욱 증가하고 증가한 좌석에는


중성자가 들어가기 충분함


이것이 바로 파울리의 배타원리를 어기지 않고


중성자성을 압축하는 방법임



img/24/01/15/18d09310ad110d355.jpg


중성자별은 위치적 좌석과 운동적 좌석 모두 만석이여서


더이상 중성자가 들어갈 수 없다



img/24/01/15/18d093217c810d355.png

보통 이상태에서 물질을 추가하면


추가된 체적만큼 중성자별의 체적이 증가함


중성자별은 조금 커지겠지만


하지만 실제로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남


중성자성에 물질을 추가하면 중성자의 위치가 보다 정확하게 관측되므로


운동적 공간 즉 좌석의 수가 증가함


이 좌석에 중성자가 들어감으로 인해


물질을 공급하면 공급할수록


중성자별의 체적은 축퇴압을 넘어 점점 작아진다



img/24/01/15/18d0938370810d355.jpg


이렇게 되면 중성자성의 중심에서 기묘한 현상이 발생함



img/24/01/15/18d093989dd10d355.jpg

중성자별의 중심의 밀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사건의 지평선이 나타남


그러나 이 단계에서는 사건에 지평선을 볼 수 없음


지평선이 중성자별 내부에 있기 때문임



img/24/01/15/18d093d34e510d355.jpg

이 중성자별에 물질을 계속 추가하면


중성자별은 계속 작아지고


사건의 지평선은 계속 커진다


그리고 결국 사건의 지평선이 중성자별의 표면을 삼켜버리고



img/24/01/15/18d093e50c810d355.jpg

이제 중성자별은 블랙홀이 되었음


댓글
  • 시노팡팡 2025/02/20 03:15

    노을이가 압축됨

  • 음덕음덕 2025/02/20 03:13

    아 완벽히 이해했어

    (nTWxfK)

  • 카드캡터 사쿠라 2025/02/20 03:14

    세줄 요약 어디감?

    (nTWxfK)

  • 시노팡팡 2025/02/20 03:15

    노을이가 압축됨

    (nTWxfK)

  • auxTomates 2025/02/20 03:15

    내가 들은 거랑 좀 다르네. 반대로, 아인슈타인은 이론적으론 가능하지만 실제론 불가능하다고 여겼다던데.

    (nTWxfK)

  • auxTomates 2025/02/20 03:17

    아 근데 비슷한 결로, 재밌는 거 있더라. 이렇게 블랙홀이 만들어지면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충돌하는 특이점이 만들어지는데 이게 너무 싫은 나머지 최근에 가설로 블랙홀 비스무리하지만 특이점은 아닌 게 제안되었다드라. 관측 상으론 블랙홀과 동일하게 보이기에 관측과도 모순은 없다나.

    (nTWxfK)

  • 히틀러친구아돌프 2025/02/20 03:17

    문과도 쉽게 이해한다매!!!

    (nTWxfK)

  • 야마다 사나에 2025/02/20 03:17

    결국 안에는 중성자가 있군

    (nTWxfK)

(nTWxfK)

  • 와 ㅋㅋ 그거 참 ㅂㅅ같은 생각인데? [4]
  • | 2025/02/21 12:37 | 593
  • 명조) 역시 명조는 아재픽 게임이구나 [5]
  • | 2025/02/21 11:14 | 393
  • 블루아카)머라 형용할수없는 느낌 [1]
  • | 2025/02/21 09:39 | 284
  • 캐나다가 미국의 51번째 주 발언에 크게 긁힌 이유 [8]
  • | 2025/02/21 09:31 | 801
  • 건담]시드에서 현실적인 캐릭터 [3]
  • | 2025/02/21 05:29 | 468
  • 봇치) 니지카가 리더일 수밖에 없는 이유 [0]
  • | 2025/02/21 00:22 | 765
  • 트릭컬)이번 프론티어 스토리에서 맘에 들었던 것 [0]
  • | 2025/02/20 23:11 | 1510
  • 강려크한 PC ㅋㅋㅋ [10]
  • | 2025/02/20 22:06 | 690
  • 흑인 여자 예수로 불타는 뮤지컬에 대해 알아보자 [5]
  • | 2025/02/20 21:02 | 889
  • 한국 역사상 가장 현명하셨을 아버지 JPG [19]
  • | 2025/02/20 19:53 | 1523
  • 팬아트!!! [9]
  • | 2025/02/20 18:37 | 807
  • 미국 대통령들이 오픈카 퍼레이드를 꺼리는 이유 [23]
  • | 2025/02/20 16:23 | 1659
  • 호연) 오 저 여우귀 로리캐는 귀엽네 [6]
  • | 2025/02/20 15:19 | 442
  • 전형적인 네토라레 클리셰 [6]
  • | 2025/02/20 14:20 | 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