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4302509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금액 위조를 방지한 방법


img/25/02/01/194bf26985245bc3a.jpg

동서고금 막론하고 금액 위조나 변조는


많은 사람들의 재산에 큰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범죄


현대 한국에서는 아라비아 숫자 옆에


괄호에 한글 표기를 해서 장난 치는 것을 원천봉쇄함


그럼 아라비아 숫자도 없고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기 전에는


이걸 어떻게 대처 했을까?





img/25/02/01/194bf251a5b45bc3a.png


알다시피 동아시아는 한자문화권으로


모든 공문서는 죄다 한자로 작성됨


그래서 숫자도 한자로 작성되었는데


역시나 당시에도 상도덕없는 놈들이 이걸로 장난치고 그랬음


그래서 기존에 쓰이는 한자 중에 발음이 비슷한 한자가


숫자 한자를 겸하게 되는데 이를 갖은자라고 부름


짤에 나오는게 대표적인 갖은자인데


다만 一 二 三 十 이외의 숫자 한자는 변조하기 어려워서


그대로 쓰는게 일반적이고


壹(1) 貳(2) 參(3) 拾(10) 정도가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함

댓글

  • Oasis_
    2025/02/01 10:49

    쿠데타의 필수소양이기도 함

    (PksOdK)


  • 점심입찰
    2025/02/01 10:49

    근대뿐만 아니라 지금도 오래된 제적등본의 생년월일은 갖은자로 되어있어서 수많은 동사무소 직원들의 골치를 썩이고 있다 ㅠㅠ

    (PksOdK)


  • 루리웹-4997129341
    2025/02/01 10:51

    ??? : 그거 못 읽겠다고 엄살은..나는 그걸 직접 전산에 입력해야 했어!

    (PksOdK)


  • 루리웹-9618013510
    2025/02/01 10:51

    저러면 그냥 아무나 대충 획 하나 더 긋는 정도는 방지된다만 작정하고 글자 지우거나 아예 통으로 위폐 찍어내는 건 뭐 방법이

    (PksOdK)


  • 한반도지역방위위원회
    2025/02/01 10:52

    그건 그래도 어느정도 티가 나니까

    (PksOdK)


  • TAKO_EATS
    2025/02/01 10:53

    참고로 요즘 위조방지 방법도 규정이 있는데
    첫째로 1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맨 앞에만 '일'자를 붙이고 그 뒤는 단위수만 적는다거나, 둘째로 원칙적으로 띄어쓰지 않는다는거
    예를들어 1,111,000 원이라고 하면 옆에 (금일백십일만원정)으로 띄어쓰기 없이 표시함이 원칙이라고 한다.
    가끔 '공문서 작성할 때 천원 단위로 띄어쓰라던데요', '읽기 어려운데요' 라는 사유로 금 일백십일만 일천원 정으로 쓰기도 하는데 원칙적으로 위변조 방지를 위함이므로 띄어쓰지 않는게 원칙이고 예외를 두지 않는다고 함.

    (PksOdK)

(PksO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