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에서 외주전권계약을 한 아트를 포함한 자체 아트자료를 애용해 제로베이스 diffusion 모델을 만들고
그 모델을 기반으로 ai 아트작업을 했을 경우
외주전권계약으로 회사에게 아트를 넘겨준 작가의 아트스타일이 복사가 되는데
이 경우 만들어진 ai의 작업물에 원 작가의 저작인격권이 적용되는가? 이슈.
보통 비슷한 케이스인 아트디렉터 스티일로 다른 아트팀이 그릴 땐 이슈가 안되긴 함.
트릭컬이 디얍이 나간 뒤에도 디얍 베이스 그림체로 그리는데
전혀 문제 없는 것도 이런 느낌이긴 한데
문제는 ai가 만든 아트에 대해서는 사용된 아트 원 작가의 저작인격권을 보장해야 한다! 는 주장이 지금 주류라는 거임
이 경우 외주계약을 한 회사는 외주작업물을 학습시킨 ai르 만들면 저작권 위반인데
문제는 어도비도 이 규정으로 외주넣은 사진과 그림, 이미지를 바탕으로 학습해서 파이어플라이를 굴리고 있다는 거임
진짜 머리아픈 이슈임
트릭컬은 디얍베이스에서 너무 멀어져버리긴했음
디얍베이스는 뭔가 다들 하찮고 억울해보이는 표정이 베이스
트릭컬은 디얍베이스에서 너무 멀어져버리긴했음
디얍베이스는 뭔가 다들 하찮고 억울해보이는 표정이 베이스
디얍도 당시 스타일과 지금 스타일이 달라져서
에피드에 디얍 입사하던 시절 베이스의 새로운 변종 느낌이긴 하지
뭐 이건 어디까지나 ㅇㅇ풍 그림체가 원작가의 저작인격권을 발생하지 않는 사례의 설명이었고
배경일러는 디얍느낌 나는데 애들 스탠딩은 확실히 아종이 되긴 했음
Ai창작물은 2차 창작 개념에 가깝다 봐야하는거 아닐까 원작자 허가하에서 허용되는 느낌으로
그러니까 저작권을 가지고 있으면 문제가 없어야 하는데
저작"인격"권은 저작권과 다르게 완전하게 회사에 맡기는 게 어려움
여기서 문제가 생기는 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