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시대 서갑을 입은 병사 상상도)
초나라 굴월의 노래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옵니다.
國殤(국상) : 애국자의 노래
굴원의 초사(楚辭) 中
操吳戈兮被犀甲(조오과혜피서갑)
操吳戈兮被犀甲(조오과혜피서갑)
: 오나라 창을 들고 무소(코뿔소) 갑옷 입고
車錯轂兮短兵接(차착곡혜단병접)
車錯轂兮短兵接(차착곡혜단병접)
: 차의 축이 부딪히고 짧은 병기가 접전을 펼친다
춘추 시대 오나라 지방의 병장기는
간장과 막야의 전설이 내려 올 정도로 명품이었고
갑옷 중에 최상급의 갑 옷은
코뿔소의 가죽으로 만든 서갑이었습니다.
코뿔소 가죽으로 갑옷은 창과 검이 베지 못 함은 물론
화살도 팅겨내는 훌륭한 방호력을 가졌으면서
철갑처럼 무겁지가 않아 활동력이 보장되는
보물급 갑옷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춘추시대 이미 보물급의 갑옷이었던 서갑은
그 보다 이전 상나라 시절에는
그냥 갑옷을 만드는 가장 흔한 재료였습니다.
철기가 보급 된 춘추시대 이전
상나라, 주나라 시절은 청동기 시대로
당시 금속은 갑옷을 만드는 재료로 부적합 했고
갑옷의 재료는 곧 서갑을 말했습니다
때문에 용맹한 병사들의 경우
코뿔소를 잡아 고기를 먹고
그 가죽으로 갑옷을 만들어
용맹히 전장에 나간다고 묘사를 했지요
(상나라 청동제 코뿔소 술병)
당시 발굴되는 유물로도 확인 되는 바
위 사진 처럼 코뿔소는 자세한 묘사가 가능할 정도로
중국에서 가까이 관찰 가능한 흔한 동물이었습니다.
그것이 춘추시대를 거치며 귀해지기 시작했기에
서갑이 점차 보물급의 갑옷을 의미하게 되었던 것이죠
이는 코뿔소 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상나라 청동제 코끼리 술잔)
코끼리 역시 청동기 술잔에 묘사된 모습은
바로 옆에서 자세히 관할한 결과임을 말해 줍니다
이는 글자에도 나타납니다
우리가 쓰는 코끼리 상 (象)이라는 한자는
사실상 코끼리의 모습을 그대로 그린 한자입니다.
고대 중국에서 코끼리는 화북지역까지
넓게 서식하던 흔한 동물이었던 것이죠
중국 북부와 황하강 유역에서 출토되는 코뿔소의 뼈,
코끼리의 뼈 등의 출토 위치를 표시한 것입니다.
황하유역에서 실제 출토 된
코끼리의 뼈입니다
고대 중국 코끼리의 분포도를 보면
황하 이북은 물론 지금의 북경 지방까지
상당히 북위도에도 코끼리가 넓게
서식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 당시 동아시아의 기후가
상당히 따뜻한 날씨였기 때문입니다.
기원전 3천년 경 세계의 기후는 지금보다 높았고
춘추시대를 기점으로 추워지면서
지금의 기후와 비슷하게 변화합니다
상나라 시절 갑골문 기록에 보이는
각종 코끼리, 코뿔소 등 열대동물의 묘사나
그런 동물을 활용한 기록이 춘추시대를 거치며
줄어 드는 것도 이런 기후 변화를 반증하죠
(중국 박물관에 전시 중인 상나라 시절 자연환경 상상도)
아마도 상나라 시대
중국의 황하 유역은 위의 모습과 비슷한
덥고 습한 아열대 지방의
기후 환경을 가졌으리라 추정합니다
때문에 우리가 아는 중국의 용이라는게
사실은 악어를 묘사한게 아니냐는 추측도 하게 되지요
기록상에 보이는 상나라의 묘사는
18번에 걸쳐 수도를 이전하고
사람을 인신 공양을 하는 등
마치 아메리카에 존재한
아스텍이나 마야 문명의 모습과
매우 흡사합니다
상나라는 사실 남미 지역의 문명처럼
정글을 개간하고 이동을 반복하며
도시를 세우는 국가였다는 것이죠
이 지역의 환경이
덥고 습한 아열대 기후라는 것은
나무가 울창한 정글이란 뜻입니다.
청동기 시절에는 이런
큰 나무를 벌목할 수 없었기에
도시와 도시 사이에는
커다란 숲과 정글이 가로막았을 것이고
점과 점으로 떨어진 지역에
각기 독립된 정착지를 만들며
거기 제후를 두었으니
우리가 아는 고대 봉건제도란게
이런 환경의 결과물입니다.
지금은 동남아 지방에 가야
발견 가능한 이런 동물들이
마치 우리가 고라니와 멧돼지를 발견하듯
흔하게 보이던 시절이 과거 시절의 일입니다.
이런 중국의 아열대 기후였던 중국의 황하 유역이
춘추시대를 거치며 온대기후로 변화한 것이
분명 중국 북부지방에서 서식중인 동물의
개체가 감소하는데 영향을 주었겠지만
사실 그중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바로 인간이었습니다
황하 유역의 물길을 바꿔가며
청동기에서 철기로 도구로 바꾸고
철기를 사용해 도시와 도시사이 존재하는
숲과 나무를 벌목하며 문명을 세웠던 인간은
여러 왕조를 거치며 주변의 숲을 밀고
강을 바꿔가며 경작을 지속적으로 확장했고
기온의 변화와 함께 주변 환경 자체를
인간이 바꿔 버립니다
3,000년 전의 삼림지대
1,500년 전의 삼림지대
지금의 중국 삼림지대
중국 문명이 처음 등장했을 때
황하강 유역은 정글지대였고
기온이 올라 간 이후에도
울창한 삼림지대로 한나라 시절 당나라 시절
왕족, 귀족들의 각종 사냥 기록을 보듯
야생동물이 풍성한 지역이었습니다
그러던 황하유역이 현재는 태반이 이런 풍경입니다
(황하강 유역의 농경지)
환경의 변화는 곧 농업생산력의 저하를 가져왔고
이는 인구의 부양력에도 영향을 주어
결국 고대 중국의 중심지 역시 변화하게 됩니다.
황하 유역의 낙양, 장안을 오가며
국가의 중심지와 수도를 세우던 오랜 전통은
이미 수나라, 당나라를 기점으로
사실상 강남지방의 곡물 생산력에
중국 왕조의 경제력을 의존하게 되면서
수양제 시절 강남의 곡식을 북방으로 옮기는 길
대운하를 건설해 이를 통해 유지를 하다
송나라에 이르면 아예 장안 등 북방지역으로
강남의 곡물을 이송하는 대운하의 중간 요충지인 도시
변경,개봉으로 수도를 이전 하였다가
명나라에 이르면 아예 변경지방에 불과했던
그 강남지방에서 일어난 왕조가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기에 이릅니다
물론 이후 북방을 방어한다는 안보적 이유로
북경이 수도가 되었지만
대운하를 통한 강남지방 곡물의
북방으로 운송은 중국 경제의 생명줄이었고
새로운 중심지가 된 강남지방은
현대에도 여전히 중국 경제의 중심지입니다
끝.
메소포타미아도 원래는 정글이었지만 지금은 중동 사막지대가 된거랑 같은거지. 너무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면 땅 지력도 망가지게 마련임
루리웹-0179989735
2023/04/14 15:11
메소포타미아도 원래는 정글이었지만 지금은 중동 사막지대가 된거랑 같은거지. 너무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면 땅 지력도 망가지게 마련임
루리웹-3526779281
2023/04/14 15:12
유게에 어울리지않는 훌륭한 글이다....